$\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알코올 대사 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에 미치는 아미노산의 영향
Effects of Amino Acids on the Activities of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9 = no.113, 2009년, pp.1321 - 1327  

차재영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정해정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정재준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양현주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김용택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이용수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의 주요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아미노산을 선택하였고, 효소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yeast와 rat liver 유래의 ADH 및 ALDH 효소를 대상으로 알코올 대사에 관련된 효소 활성의 촉진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Rat liver 유래의 ADH 활성은 처리한 아미노산 중에서 arginine에서 가장 높았다. Arginine의 첨가 농도를 달리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sim}50\;mg$/ml 농도에서 $118{\sim}120.6%$로 양성대조구의 90.6% 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yeast 유래의 ADH 활성은 methionine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methionine의 처리 농도를 달리한 경우에서는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Rat liver 유래의 ALDH 활성은 methionine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Methionine의 첨가 농도별 측정에서는 10 mg/ml에서 30 및 50 mg/ml 첨가 농도에서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이들 모든 처리 농도에서 양성대조구 보다 상당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yeast 유래의 ALDH 활성은 각 아미노산별 큰 차이는 없었으나, arginine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Arginine의 첨가 농도별 측정에서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구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모 유래 ALDH 및 rat liver 유래 ADH 효소 활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가진 arginine을 효모 배양에 첨가시킬 경우 세포 내 ALDH 및 ADH 활성 염색 정도가 증가함으로써 arginine은 ALDH 및 ADH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in vivo 실험계에서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아미노산 중에서는 arginie과 methionine이 ADH 및 ALDH 활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에 의해 알코올 분해뿐만 아니라 acetaldehyde의 분해도 촉진시킬 가능성이 높아 숙취해소 효과는 물론 간 보호 효과도 동시에 있을 것으로 시사 되어 진다. 따라서 arginine과 methionine과 같은 아미노산을 주류 제품에 첨가하게 될 경우 숙취해소 경감과 간 보호 효능을 어느 정도 나타낼 수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mparative effects of various amino acids on th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of yeast Saccharomyces cereviciae and rat liver homogenate in vitro. Methionin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yeast ADH among the amino aci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중에서 극히 일부 아미노산에 국한하여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영 향이 검토 되어 있을 뿐이다. ADH 효소의 상대적 활성도는각 생물 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23], 본 실험에서는 ADH 효소 활성도가 비교적 높은 yeast 및 rat liver 유래의효소를 사용하여 아미노산 종류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검토하였다. Rat liver 유래의 ADH 활성은 아미노산 중에서 arginine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Fig.
  • 음주 후 실제적으로느끼는 숙취 증상은 acetaldehyde의 독성 작용에 의한 것이므로 가장 바람직한 숙취 해소는 ALDH 효소 활성을 좀더 촉진시키는데 초점 이 맞추어져야 한다. 따라서 acetaldehyde의 분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ALDH 효소 활성에 미치는 각아미노산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Rat liver 유래의 ALDH 활성에 대한 각 아미노산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Fig.
  •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의주요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알려진 아미노산을 선택하였고, 효소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yeast와 rat liver 유래 의 ADH 및 ALDH 효소를 대상으로알코올 대사에 관련된 효소 활성의 촉진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Rat liver 유래의 ADH 활성은 처리한 아미노산 중에서 arginine에서 가장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rgmeyer, H U. 1974.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pp. 28 

  2. Cha, J. Y., J. S. Heo, and Y. S. Cho. 2008. Effect of zinc-enriched yeast FF-I0 strain on the alcoholic hepatotoxicity in alcohol feeding rats. Food Sci. Biotechnol. 17, 1207-1213 

  3. Crabtree, B. and E. A. Newsholme. 1972. The activities of phosphorylase, hexokinase, phosphofractokinase, lactate dehydrogenase and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in muscles from vertebrates and inberterates. Biochem. J. 126, 49-55 

  4. Duncan, D. B. 1959.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5. Gennady, P. M. 2002. Handbook of Detection of Enzymes on Electrophoretic Gels. pp. 27-33, 2nd ed. CRC Press, Inc., Boca Ration, FL, USA 

  6. Han, S. K and H S. Lim. 2004. The effect of hangover drink using propolis on ethanol oxidatio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198-201 

  7. Helander, A. and O. Tottmar. 1988. Effect of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on human alcohol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Alcohol Clin. Exp. Res. 12, 643-646 

  8. Husenmoen, L. L., M. Fenger, N. Friedrich, J. S. Tolstrup, S. Beenfeldt Fredriksen, and A. Linneberg. 2008. The association of ADH and ALDH gene variants with alcohol drinking habit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lcohol Clin. Exp. Res. 32, 1984-1991 

  9. Hwang, J. Y., J. W. Ham, and S. H. Nam.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10. limuro, Y., B. U. Bradford, D. T. Forman, and R. G. Thurman. 1996. Glycine prevents alcohol-induced liver injury by decreasing alcohol in the rat stomach . Gastroenterology 110, 1536-1542 

  11. Kang, B. K, S. T. Jung and S. J. Kim. 2002.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y solvent separation on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44-248 

  12. Kim, D. H., D. S. Kim, and J. W. Choi. 1994. Effect of puffer fish extract on the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 system in alcohol treated rat. J. Korean Soc. Food Nutr. 23, 181-186 

  13. Kim, M. H, U. T. Chung, J. H Lee, Y. S. Park, M. K Shin, H S. Kim, D. H Kim, and H Y. Lee.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from Korea and China. Korean Medicinal Crop Sci. 8, 225-233 

  14. Koivula, T. and M. Koivusalo. 1975. Different form of rat liver aldehyde dehydrogenase and their subcellular distribution. Biochim. Biophys. Acta 397, 9-23 

  15. Lee, I. S., S. O. Lee, and H. S. Kim. 2002.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11-416 

  16. Lee, J. H., N. K Kim, D. Y. Lee, and C. H Lee. 1999. Protective effect of selected amino acids and food extracts on ethanol toxicity determent in rat liv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02-808 

  17. Lieber, C. S. 1985. Alcohol and the liver; metabolism of ethanol, metabolism effects and pathogenesis of injury. Acta Med. Scand. Suppl. 703, 11-55 

  18. Lowry, O. H, N. J. Rosebrough, A. L. Farr, and R. J. Randall.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9. Magonet, E., P. Hayen, D. Delfoge, E. Delaive, and J. Remarcle. 1992. Importance of the structural zinc atom for activity of yeast alcohol dehydrogenase. J. Biochem. 287, 361-365 

  20. Park, E. M., E. J. Ye, S. J. Kim, H I. Choi, and M. J. Bae. 2006.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 induced hangover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71-75 

  21. Park, S. C. 1993. Ethanol oxidation is accelerated by augmentation of malate-aspartate shuttle with aspartate. Korean J. Biochem. 25, 137-143 

  22. Peters, T. J. 1982. Ethanol metabolism. Bri. Med. Bull. 38, 17-20 

  23. Sachan, D. S. and Y. S. Chao 1994. Acetylcarnitine inhibits alcohol dehydrogena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3, 1496-1501 

  24. Schisler, N. J. and S. M. Singh. 1989. Effect of ethanol in vivo on enzymes which detoxify oxygen free radicals. Free Radic. Biol. Med. 7, 117-123 

  25. Seo, K Hand S. H. Kim. 2001. A study on the analysis of oriental functional beverage and on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f rat after drinking liquors. J. Korean Food Nutr. 14, 222-227 

  26. Swain, T., W. 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27. Yea, S. S., S. K. Lim, H. Y. SohnI I. N. Jin, I. K. Rhee, Y. H. Kim, J. H. Seu, and W, Park. 1997. Alcohol dehydrogenae of thermotolerant alcohol-producing yeas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386-390 

  28. Yin, M., K. Ikejima, G. E. Arteet V. Seabra, B. U. Bradford, H. Kono, I. Rusyn, and R. G. Thurman. 1998. Glycine accelerates recovery from alcohol-induced liver injury. J. Pharacol. Exp. Ther. 286, 1014-1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