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땅콩껍질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지닌 pratensein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atensein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the Peanut Sh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4 = no.176, 2004년, pp.643 - 647  

위지향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문제학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박근형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땅콩껍질에 함유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의 탐색을 위해 땅콩껍질을 MeOH로 추출하고 이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EtOAc 중성획분을 얻었다. 이 획분에 함유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을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다음 HPLC를 이용하여 1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1H-NMR$, MS 및 NOESY 분석에 의해 땅콩껍질로부터 분리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은 pratensein으로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peanut (Arachis hypogaea) shells was isolated and structurally elucidated. Peanut shell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MeOH) and concentrated in vacuo, MeOH extract was solvent-fractionated with ethyl acetate (EtOAc) and various buffer to obtain EtOAc acidic, ne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고한 바 있다(5, 6). 본 연구는 땅콩껍질에 함유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을 추가로 구명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oon JH, Park KH. Func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ea. J. the Korean Tea Soc. 1: 177-193 (1995) 

  2. Chi TH, Lee CY, Huang MT.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 ACS Symp. Series 506: 102-236 (1992) 

  3. Ensminger AH, Ensminger ME, Konlande JE, Robson JRK. Foods and Nutrition Encyclopedia. Vol. I. Pegus Press, CA, USA (1983) 

  4. Yen GC, Duh PD. Antimutagenic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peanut hulls. Biosci. Biotechnol. Biochem. 60: 1678-1700 (1998) 

  5. Wee JH, Park KH. Identification of 3-methoxy-4-hydroxybenzoic acid and 4-hydroxybenzoic acid with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from Arachis hypogaea shell. Korean J. Biotechnol. Bioeng. 15: 464-468 (2000) 

  6. Wee JH, Park KH. Isolation of 4-hydroxycinnamic acid, 3-methoxy- 4 hydroxycinnamic acid and 3,4-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from peanut (Arachis hypogaea) shell. Food Sci. Biotechnol. 10: 551-556 (2001) 

  7. Park KW, Park KH. Brassinosteroid in rice bran and polish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60-365 (1996) 

  8. Cho JY, Kim HK, Ma SJ, Moon JH, Park K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zelaic acid and 3,4-dihydroxybenzoic acid from buckwheat hull as antimicrobial substances. Food Sci. Biotechnol. 9: 313-316 (2000) 

  9. Lee SJ, Cho JY, Cho JI, Moon JH, Park KD, Lee YJ, Park K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Macrolactin A produced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CHO104 isolated from soil. J. Microbiol. Biotechnol. 14: 525-531 (2004) 

  10. Yim CK, Moon JH, Park KH.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hich exhibits antimicrobial activity, from fruits of Gardenia jasmin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86-1392 (1999) 

  11. Zaika LZ. Spices and herbs.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s determination. J. Food Safety 9: 97-118 (1988) 

  12. Fraishtat PD, Popravko SA, Vul'fson NS. Clover secondary metabolites VII. Isoflavones from the roots of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Bioorganiccheskaya Khimiya 6: 1722-1732 (1980) 

  13. Kobayashi M, Noguchi H, Sankawa U. Formation of charcones and isoflavones by callus culture of Glycyrrhiza uralensis with different production patterns. Chem. Pharm. Bull. 33: 3811-3816 (1985) 

  14. Kraft C, Jenett-Siems K, Siems K, Gupta MP, Bienzle U, Eich E. Antiplasmodial activity of isoflavones from Andira inermis. J. Ethnopharmacol. 73: 131-135 (2000) 

  15. Sharma RD. Effect of various isoflavones on lipid levels in tritontreated rats. Atherosclerosis 33: 371-375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