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 중 사카린나트륨, 아세설팜칼륨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Estimated Dietary Intake of Sodium Saccharin and Acesulfame Potassium in Korea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5 = no.177, 2004년, pp.804 - 811  

김희연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평가부) ,  윤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평가부) ,  홍기형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최장덕 (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담당관실) ,  박성관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박희옥 (조선대학교 식품의약학과) ,  진명식 (조선대학교 식품의약학과) ,  최우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평가부) ,  박선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평가부) ,  이경주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평가부) ,  이철원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평가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 중 사카린나트륨 및 아세설팜칼륨이 사용 가능한 대상식품인 빵 또는 떡류, 김치류, 음료류, 어육가공품, 건과류, 아이스크림류, 잼류 및 발효유류 등 46종 755품목을 대상으로 인공감미료 2종에 대한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식이를 통해 실제 섭취되는 인공감미료의 총 섭취량을 조사하여 FAO/WHO의 ADI와 비교 검토함으로서 인공감미료의 실제 섭취량과 ADI간 안전수준평가 및 사용기준 개정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따라서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식품유형별, 연령대별, 성별 및 인공감미료별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국민영양조사자료에 근거하여 대상식품의 유형과 연령에 따른 인공감미료별 1인 1일당 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FAO/ WHO에서 설정한 ADI와 비교 검토한 결과, 총 검사건수 755건 중 57건의 인공감미료가 검출되어 7.6%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인공감미료별 검출건수와 검출율은 각각 사카린나트륨 49건(6.5%) 및 아세설팜칼륨 11건(1.5%)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식품별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한 결과 사카린나트륨은 단무지에서, 아세설팜칼륨은 아이스크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연령별 ${\Sigma}EDI$는 1.89-4.91 mg/man/day의 범위로 13-19세에서 인공감미료 섭취가 가장 많았으며 65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각 인공감미료를 연령대별로 보면 사카린나트륨은 30-49세, 아세설팜칼륨은 13-19세에서 가장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Sigma}EDI$는 남성은 5.91 mg/man/day, 여성은 4.89 mg/man/day으로 나타났다 국민영양조사표 등의 식품별 1인 1일당 섭취량과 인공감미료별 평균검출농도로부터 일일추정 섭취량을 산출하였을 때, 인공감미료별 ${\Sigma}EDI$는 사카린나트륨 4.13 mg/man/day, 아세설팜칼륨 1.25 mg/man/day로 각 인공감미료의 ADI를 국민평균체중 55 kg으로 환산한 275-825 mg/man/day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는 ADI 대비 0.2-1.5% 수준이었고 사용가능 대상식품의 이론적 TMDI의 1.2-13.5%의 수준으로 사용대상식품을 통한 인공감미료의 섭취는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an concentration of 2 artificial sweeteners, sodium saccharin and acesulfame K, in food samples and their daily intakes were estimated. Among 755 food samples, 57 contained these artificial sweeteners. Contribution rate to total estimated daily intake (%) of artificial sweeteners in food catego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카린나트륨과 아세설팜칼륨의 사용량, 사용빈도 및 국내섭취량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식품별, 인공감미료별 사용실태조사와 국민 영양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인공감미료 실제 섭취량을 추정하고 JECFA에서 설정한 각각의 ADI 및 현행 사용기준과 비교, 검토함으로서 실제 섭취량의 안전수준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 중 사카린나트륨 및 아세설팜 칼륨이 사용 가능한 대상식품인 빵 또는 떡류, 김치류, 음료류, 어육가공품, 건과류, 아이스크림류, 잼류 및 발효유류 등 46종 755품목을 대상으로 인공감미료 2종에 대한 사용실태를 파악 하고 식이를 통해 실제 섭취되는 인공감미료의 총 섭취량을 조사하여 FAO/WHO의 A이와 비교 검토함으로서 인공감미료의 실제 섭취량과 m간 안전수준평가 및 사용기준 개정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따라서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식품 유형별, 연령대별, 성별 및 인공감미료별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국민영양조사자료에 근거하여 대상식품의 유형과 연령에 따른 인공감미료별 1인 1일당 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FAO/ WHO에서 설정한 A이와 비교 검토한 결과, 총 검사건수 755건 중 57건의 인공감미료가 검출되어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ibney MJ. Dietary intake methods for estimating food additive intake. Regulatory Toxicol. Pharmacol. 30: 31-33 (1999) 

  2. Yukimasa M, Yuka K, Takashi H, Nobumi A, Masanori S, Yoshio I. Preparation an characterization of sulfite adducts. Toxicol. Environ. Health. Jpn. 41: 440-446 (1995) 

  3. Sumiko T, Tadashi S, Kenji I, Takeo K, Mieko K, Motohiro N, Hiromichi H, Toshinobu F, Hiroyuki K, Munehiko G, Yoshio S, Kiyoshi S, Kakuyuki O, Hiroshi M, Hisanori U, Teruo S, Yoshio I. Daily intake of non-naturally occurring chemically synthesized food additives from the processed foods purchased in Japan. J. Food Hyg. Soc. Jpn. 36: 93-101 (1995) 

  4. Sumiko T, Tadashi S, Motohiro N, Yoshinobu F, Hiroyuki K, Munehiko G, Yoshio S, Yasuko M, Zensho O, Minoru S, Kazuo N, Shigeru M, Shuichi E, Yayoi S, Hisanori U, Teruo S, Yoshio I.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chemically synthesized natural food additives from processed foods in Japan. J. Food Hyg. Soc. Jpn. 37: 308-318 (1996) 

  5. Sumiko T, Kaori F, Masa K, Tadashi S, Sachiko UH, Miyuki F, Noboru K, Yoshiko O, Kazuya F, Hiroshi S, Yoshio I. Naturally occurring of sulfites in raw and processed foods. J. Food Hyg. Soc. Jpn. 34: 303-313 (1993) 

  6. Sumiko T, Masako K, Yukihiro M, Tadashi S, Noboru K, Kazuya F, Kazuko W, Sachiko UH, Shigeaki I, Kazuya F, Hiroshi S, Yoshio I. Naturally occurring of nitrite existing in various raw and processed foods. J. Food Hyg. Soc. Jpn. 34: 294-302 (1993) 

  7. Sumiko T, Tadashi S, Nobutake U, Tateo K, Hiroshi S, Sachioko UH, Junko M, Noboru K, Yoshio I. Naturally occurring of orthophosphate ion in various rqu and processed foods by ion chromatography. J. Food Hyg. Soc. Jpn. 35: 56-65 (1994) 

  8. Sumiko T, Tadashi S, Koichiro O, Koji T, Tasuchi F, Yoshio I. Preparation of sample solution using pronase treatment for determination of food coal-tar dyes in foods. J. Food Hyg. Soc. Jpn.36: 68-76 (1994) 

  9. Tomomi K, Tomoko Y, Yoshie T, Nastsuyo H, Yoshiko T, Miki F, Masanori S, Sumiko, T, Tadashi S, Yosio I. Studies on daily Intake of Food Coal-tar Dye in Japan. J. Food Chem. Jpn. 2: 16-23 (1995) 

  10. Lee CW, Lee DS, Moon BS.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Korean J. Food Hyg. 4: 1-20 (1989) 

  11. Kim KS, Lee CW, Lee DS, Lee YJ, Yu SY, Kim YK, Lee JD, Moon BS, Shin MK.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I) (DHA, BHA, BHT). Ann. Report NIH 22: 443-454 (1985) 

  12. Kim KS, Lee CW, Lee DS, Lee YJ, Yu SY, Kim YK, Kim KN, Kim JH, Moon BS.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II) (Benzoic acid, Sorbic acid, ρ-Hydroxybenzoate ester). Ann. Report NIH 23: 631-642 (1986) 

  13. Kim KS, Lee CW, Lee DS, Lee YJ, Yu SY, Kim YK, Kim KN, Hong KH, Kim HJ, Moon BS.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III) (Propionic acid, Sodium nitrite, Sodium sulfite (as $SO_2$ )). Ann. Report NIH 24: 719-732 (1987) 

  14. Lee CW, Kim BS, Kwak IS, Lee CH, Park SK, Huh SY, Ju SK, Kang KM, Park JS, Kim KS. A study on food additives from diet (Artificial sweeteners). Ann. Report KFDA 1: 67-74 (1997) 

  15. Lee CH, Park SK, Yun HJ, Park JS, Lee JO.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artificial sweetener and antioxidants i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19-524 (2000) 

  16. FAO/IPCS.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Food Additives. JECFA, Rome, Italy (1994) 

  17. Lee JO, Yun HJ, Lee CH, Park SK, Lee CW. A study for analytical method of synthetic color additives in foods (I). Ann. Report KFDA 2: 107-115 (1998) 

  18. Lee JO, Kim SH, Yun HJ, Lee CH, Park SK, Park JS, Jung YH, Chae SY, Kim EJ, Lee CW. A study for analytical method of synthetic color additives in foods (II). Ann. Report KFDA 3: 129-148 (1999) 

  19. JECFA. Safety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WHO Food Add. Series 42: 402-459 (1999) 

  20. Kim HY, Yoon HJ, Hong KH, Lee CH, Park SK, Choi JM, Park SY, Lee KJ, Oh SJ, Kim MS, Park SM, Lee CW. A study on intake of artificial sweeteners in foods (I). Ann. Report KFDA 6:169-176 (2003)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eoul, Korea (2001) 

  22. Hajimu I, Motohiro N, Yoshinobu F, Yoshio I, Takashi Y. Evaluation of the contents of BHA, BHT, propylene glycol, and sodium saccharin in foods and estimation of daily intake based on the results of official inspection in Japan in fiscal year 1994. J. Food Hyg. Soc. Jpn. 39: 89-100 (1998) 

  23. Shin KH, Lee YH, Lee YJ, Lee HD. A study on the food additives.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food colorants by HPLC). Ann. Report NIH 18: 377-381 (1981) 

  24. Hajimu I, Takiko S, Yoko K, Yuiko T, Takashi Y, Motohiro N, Yoshinobu F. Estimation of antifungal agent concentrations allowed as food additives in food and their daily intake based on official inspection results in Japan in fiscal year 1996. J. Food Hyg. Soc. Jpn. 40: 407-416 (1999) 

  25. Hajimu I, Takiko S, Yoko K, Yuiko T, Takashi Y, Motohiro N, Yoshinobu F. Estimation of preservative concentrations in food and their daily intake based on official inspection results in Japan in fiscal year 1996. J. Food Hyg. Soc. Jpn. 40:246-258 (1999) 

  26. Kim HY, Lee YJ, Hong KH, Ha SC, An MS, Cho JS, Kim KS. Intake of food additives in foods by total diet. Food Sci. Technol. 30: 767-774 (1998) 

  27. Leclercq C, Berardi D, Sorbillo MR, Lambe J. Intake of saccharin, aspartame, acesulfame K and cyclamate in Italian teenagers: present levels and projections. Food Add. Contam. 16: 99-109 (1999) 

  28. Renwick AG. Intake studies on low-calorie sweeteners: methods, results and comparisons. In: Intake Studies-Lessons Learnt. Corti A (ed). International Sweeteners Association, Brussels, Belgium. pp. 79-97 (1995) 

  29. Hulshof KFAM, Bouman M. Use of various types of sweeteners i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In: 1992 Dutch National Food Consumption Survey. Hulshof KFAM, Bouman M (eds). TNO Nutrition and Food Research Institute, Bonn, Germany (1995) 

  30. Hinson AL, Nicol WM. Monitoring sweetener consumption in Great Britain. Food Add. Contam. 9: 669-681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