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rench fries의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Acrylamide Formation in French Fri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6 = no.178, 2004년, pp.857 - 862  

김혜영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재영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청태 ((주)농심 개발본부 분석팀) ,  정소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오염물질과) ,  소유섭 (식품의약품안전청 오염물질과) ,  이종옥 (식품의약품안전청 오염물질과) ,  오상석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열온도, 가열시간, presoaking 처리, 침지액 pH 처리, 저장 온도의 변화에 따라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식품생산에 적용하여 식품 내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크릴아마이드의 저감화는 원료 내 아크릴아마이드 형성가능물질을 줄임으로써 일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험을 통해 냉장보관한 감자의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은 보관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감자의 환원당과 아미노산이 증가되어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후렌치 후라이는 $160-180^{\circ}C$ 온도에서 2-5분간 가열한다.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은 가열시간 및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조절함으로써 식품 내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아크릴아마이드는 $16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생성이 급속도록 증가되므로 식품을 조리 시 가열온도를 가능한 낮게 조절하는 방법도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줄일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60^{\circ}C$의 증류수에 45분간 침지하였을 때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이 약 80% 감소되었으며 침지과정은 후렌치 후라이 제조시 제품의 색감을 좋게 하기 위해 제조과정 중 포함되어 있으므로 침지온도와 침지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frying temperature and time, presoaking in distilled water, various pH buffer solutions, and storage temperature of french fries on acrylamide formation were investigated. Acrylamide concentration in french fries increased as fry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Presoaking of raw pota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아크릴아마이드 형성은 식품에 존재하는 전구체 양에 의한 것 뿐만 아니라 온도, 시간, 튀김기름의 성질, 식품 매트릭스의 성질 등 다양한 가공 조건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져  아크릴아마이드의 생성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의 형성 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이 높은 후렌치 후라이의 원료인 감자를 실험식품으로 선정하여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Yang JS, Lee MY, Park IJ, Kang SK. Occupational health: Simple analytical method for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workplace air absorbed by charcoal tube. Anal. Sci. Technol. 11: 139 (1998) 

  2. Ahn JS, Castle L. Tests for depolymerization of polyacrylamide as a potential source of acrylamide in heated foods. J. Agric. Food chem. 51: 6715-6718 (2003) 

  3. Smith EA, Prues SL, Oehme FW. Environmental degradation of polyacrylamides. 1. Effects of artifi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light, and pH. Ecotoxicol. Environ. Saf. 35: 121-135 (1995) 

  4. Smith EA, Prues SL, Oehme FW. Environmental degradation of polyacrylamides. 2. Effects of environmental(outdoor) exposure. Ecotoxicol. Environ. Saf. 37: 76-91 (1995) 

  5. Friedman M. Chemistry, biochemistry, and safety of acrylamide: A review. J. Agric. Food Chem. 51: 4504-4526 (2003) 

  6. Tareke E, Rydberg P, Karlsson P, Erikssoon S, T Rnqvist M. Analysis of acrylamide, a carcinogen formed in heated foodstuffs. J. Agric. Food Chem. 50: 4998-5006 (2002) 

  7. Tareke E, Rydberg P, Karlsson P, Erikssoon S, T Rnqvist M. Acrylamide: a cooking carcinogen? Chem. Res. Toxicol. 13: 517- 522 (2000) 

  8. Rosen J, Hellenas K-E. Analysis of acrylamide in cooked foods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st 127: 880-882 (2002) 

  9. Becalski A, Benjamin P-YL, Lewis D, Seaman SW. Acrylamide in foods: occurrence, sources, and modeling. J. Agric. Food Chem. 51: 802-808 (2003) 

  10. Gertz C, Klostermann S. Analysis of acrylamide and mechanism of its formation in deep-fried products. Eur. J. Lipid Sci. Technol. 104: 762-771 (2002) 

  11. Mottram DS, Wedzicha BL, Dodson AT. Acrylamide is formed in the Maillard reaction. Nature 419: 448-449 (2002) 

  12. Stadler RH, Blank I, Varga N, Robert F, Hau J, Guy AP, Robert M-C, Riediker, S. Acrylamide from Maillard reaction products. Nature 419: 449 (2002) 

  13. Barber DS, Hunt JR, Ehrich MF, Lehning EJ, LoPachin RM. Metabolism, toxicokinetics and hemoglobin adduct formation in rats following subacute and subchronic acrylamide dosing. Neurotoxicology. 22: 341-353 (2001) 

  14.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draft action plan for acrylamide in food.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 Accessed May 3, 2002. 

  15. JIFSAN/NCFST. Workshop on Acrylamide in Food. Available from: http://www.jifsan.umd.edu/acrylamide2002.htm. Accessed May 24, 2002. 

  16. Vattem DA, Shetty K. Acrylamide in food: a model for mechanism of formation and its reduction.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4: 331-338 (2003) 

  17. Park JY. Acrylamide Monitoring of Domestic Heat-Treated Food Products.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003) 

  18.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Exploratory data on acrylamide in foods.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 Accessed Apr. 3, 2002 

  19.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Exploratory data on acrylamide in foods.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dms/acrydat2.html. Accessed Jun. 1, 2003 

  20. SNFA. Acrylamide in food: Acrylamide in foodstuffs, consumption and intake. Available from: http://www.slv.se/engdefault.asp. Accessed Apr. 10, 2002 

  21. Konings EJM, Baars AJ, van Klaveren JD, Spanjer MC, Rensen PM, Hiemstra M, van Kooji JA, Peters PWJ. Acrylamide exposure from foods of the Dutch population and an assessment of the consequent risks. Food Chem. Toxicol. 41: 1569-1579 (2003) 

  22. Ono H, Chuda Y, Kobayashi H, Yoshida M. Analysis of acrylamide by LC-MS/MS and GC-MS in processed Japanese foods. Food Addit. Contam. 20: 215-220 (2003) 

  23. Brown R. Formation, occurrence and strategies to address acrylamide in food; Food Advisory Committee Meeting Acrylamide.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dms/acrybrow/sld025. htm. Accessed May 10, 2003 

  24. Jung MY, Choi DS, Ju JW. A novel technique for limitation of acrylamide formation in fried and baked corn chip and in french fries. J. Food Sci. 68: 1287-1290 (2003) 

  25. Amrein TM, Bachmann S, Noti A, Biedermann M., Barbosa MR, Biedermann-Brem S, Grob K, Keiser A, Realini P, Escher F, Amad R. Potential acrylamide formation, sugar and free asparagine in potatoes: A comparison of cultivars and farming systems. J. Agric. Food Chem. 51: 5556-5560 (2003) 

  26. Brierley ER, Bonner PLR, Cobb AH. Aspects of amino acid metabolism in stored potato tubers (cv. Pentland Dell). Plant Sci. 127: 17-24 (1997) 

  27. Marquez G, Anon MC. Influence of reducing sugars and amino acids in the color development of fried potatoes. J. Food Sci. 51: 157-160 (1986) 

  28. Nourian F, Ramaswamy HS, Kusnhalappa AC. Kinetics of quality change associated with potatoes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Lebensm. -Wiss. Technol. 36: 49-6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