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생산식품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분석
Acrylamide Monitoring of Domestic Food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6 = no.178, 2004년, pp.872 - 878  

박재영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청태 ((주)농심 개발본부 분석팀) ,  김혜영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금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소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오염물질과) ,  소유섭 (식품의약품안전청 오염물질과) ,  이종옥 (식품의약품안전청 오염물질과) ,  오상석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웨덴에서 발암 가능성이 높은 물질 아크릴아마이드가 굽거나 튀긴 음식에서 검출되었다고 발표한 후 아크릴아마이드에 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식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다양한 식품을 선택하여 327개 식품을 분석하였다 모티터링 결과 원료식품은 ND-17 ppb, 밥은 ND-14 ppb, 떡은 ND-<10 ppb, 빵은 <10-33 ppb, 유탕면은 ND-27 ppb, 영유아식은 ND-15 ppb, 후렌치 후라이는 141-1,118 ppb, 뻥튀기 누룽지 강냉이 및 건빵은 15-587 ppb,단백질 식품은 ND-<10 ppb, 포테이토 칩, 포테이토 스낵은 278-3,277 ppb, 크래커, 스낵, 비스킷은 13-459 ppb, 시리얼은 <10-236 ppb, 차 및 음료는 ND-24 ppb, 커피는 394-1026 ppb, 초콜릿은 13-30 ppb, 사탕, 캐러멜은 ND-34 ppb, 통조림은 ND-20 ppb, 버터, 마가린 및 유제품은 ND-<10 ppb, 장류은 ND-60 ppb, 소스는 ND-51 ppb, 기타(땅콩, 호두)는 ND-13 ppb 범위의 아크릴아마이드가 검출되었다 국내 제품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외국에서 분석된 아크릴아마이드 함량과 비슷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od products selected based on their annual sales and international acrylamid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for quantitation of acrylamide. Samples including raw food, substitute meal, snack, drink, and sauce products were analyzed by LC/MS/MS methods adopted by PDA. Upon comparison, concentratio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 내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후렌치후라이, 포테이토칩, tortilla chip,bread crust, crisp bread 등의 상업적으로 가공된 식품에서 높았고 식품군마다 다양한 아크릴아마이드 수치가 분석되었을 뿐만 아니라 같은 식품군의 다른 제품에서도 다양한 아크릴아마이드 수치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LC-MS/MS 분석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소비되는 식품 중 327개 식품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분석하여 제외국 식품군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NFA. Acrylamide in food: Acrylamide in foodstuffs, consumption and intake. Available from: http://www.slv.se/engdefault.asp. Accessed Apr. 10, 2002 

  2. U.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Exploratory data on acrylamide in foods.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 Accessed Apr. 3, 2002 

  3. U.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Exploratory data on acrylamide in foods.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dms/acrydat2.html Accessed Jun. 1, 2003 

  4. Park JY. Acrylamide monitoring of domestic heat-treated food products.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003) 

  5. U.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FDA draft action plan for acrylamide in food,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 Accessed May 3, 2002 

  6. Konings EJM, Baars AJ, van Klaveren JD, Spanjer MC, Rensen PM, Hiemstra M, van Kooji JA, Peters PWJ. Acrylamide exposure from foods of the Dutch population and an assessment of the consequent risks. Food Chem. Toxicol. 41: 1569-1579 (2003) 

  7. Ono H, Chuda Y, Kobayashi H, Yoshida M, Analysis of acrylamide by LC-MS/MS and GC-MS in processed Japanese foods. Food Addit. Contam. 20: 215-220 (2003) 

  8. U.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Office of Plant & Dairy Foods & Beverages. Detection and quantitation of acrylamide in foods. http://www.cfsan.fda.gov/~lrd/pestadd.html#acrylamide. Accessed Mar. 4, 2002 

  9. Koga K, Nakato Y, Tadano S, Hattori Y, Maki S. Determination of toxic chemicals in exhaust gas(VI)-determination of acrylamide by GC/MS and GC/FTID. J. Environ. Chem. 8: 189-502 (1998) 

  10. Barber DS, Hunt JR, Ehrich MF., Lehning EJ, LoPachin RM. Metabolism, toxicokinetics and hemoglobin adduct formation in rats following subacute and subchronic acrylamide dosing. Neurotoxicology. 22: 341-353 (2001) 

  11. Rosen J, Hellenas K-E. Analysis of acrylamide in cooked foods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st 127: 880-882 (2002) 

  12. Gertz C, Klostermann S. Analysis of acrylamide and mechanism of its formation in deep-fried products. Eur. J. Lipid Sci. Technol. 104: 762-771 (2002) 

  13. Ahn JS, Castle L, Clark DB, Lloyd AS, Philo MR, Speck DR. Verification of the findings of acrylamide in heated foods. Food Addit. Contam. 19: 1116-1124 (2002) 

  14. Castle L. Determination of acrylamide monomer in mushrooms grown on polyacrylamide gel. J. Agric. Food Chem. 41: 1261- 1263 (1993) 

  15. Yasuhara A, Tanaka Y, Hengel M, Shibamoto T. Gas chromatographic investigation of acrylamide formation in browning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51: 3999-4003 (2003) 

  16. Biedermann M, Noti A, Biedermann-Brem S, Mozzetti V, Grob K. Experiments on acrylamide formation and possibilities to decrease the potential of acrylamide formation on potatoes. Mitt. Lenbensm. Hyg. 93: 668-687 (2002) 

  17. U.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Exploratory data on acrylamide in foods.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 Accessed October. 1, 2002 

  18.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Analysis of acrylamide in processed foods in Japan. Available from: http://aa.iacfc.affrc.go.jp. Accessed Apr. 10, 2002 

  19. Swiss Federal Office of Public Health. Preliminary communication; Assessment of acrylamide intake by duplicate diet study. Available from: http://www.bag.admin.ch/verbrau/aktuell/d/DDS% 20acrylamide%20preliminary%20communication.pdf. Accessed Apr. 10, 2002 

  20. Becalski A, Lau BP-Y, Lewis D, Seaman SW. Acrylamide in foods: Occurrence, sources, and modeling. J. Agric. Food Chem. 51: 802-808 (2003) 

  21. Food Standards Agency. Paper and board packaging; Not likely to be a source of acrylamide in food. Available from: http://www. food.gov.uk. Accessed Apr. 10, 2002 

  22.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Office of Plant & Dairy Foods & Beverages. Detection and quantitation of acrylamide in Foods.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dms/acrylami.html. Accessed Sep. 3, 2002 

  23. SNFA. Acrylamide in food: Acrylamide in foodstuffs, consumption and intake. Available from: http://www.slv.se/engdefault.asp. Accessed Jun. 1, 2003 

  24. Kang DI. Annual production report of food items in Korea. Food J. Seoul, Korea. pp. 65-69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