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잔류농약, 무기물 분석에 의한 유기농 채소의 판별: 유기농 채소의 잔류농약 함량
Content of Pesticide Contaminants Content in Organic Vegetabl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1 no.1, 2004년, pp.57 - 62  

김형열 (서일대학 식품가공과) ,  이근보 (서일대학 식품가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홍천 유기농 재배단지 내에서 재배한 5종의 농산물 즉, 케일, 신선초, 셀러리, 상추 및 파와 가락동 시장에서 구입한 일반재배 야채를 시료로 하여 잔류농약의 성분함량을 측정하였다. 5종의 야채에서 잔류농약 성분 함량을 측정해본 결과, 일반재배 야채의 경우는 각각 93.5, 57.7, 112.4, 76.5, 65.2 ppm이 잔류하여 규격기준 대비 75.35, 70.68, 78.49, 70.49%의 잔류율을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유기농 야채의 경우는 각각 36.4, 21.0, 42.9, 29.1, 25.1 ppm이 잔류하여 전체적으로 규격기준의 30% 이하 잔류율을 나타내었고, 일반재배 야채의 38.93, 36.40, 38.17, 38.04, 38.50% 수준에 달하는 농약성분이 잔류하여 일반재배 야채 대비 40% 이하의 농약성분만이 함유되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sticide contaminants content was determined about both general vegetables marketed at Garak-dong market and organic vegetables cultivated at Hongchun, Kangwon-do. The vegetables were kale, Angelica Keiskei Koidz, celery, lettuce and Allium fistulosum. Pesticide contaminants content of 5 kinds ge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유기농산물을 원료로 사용하였다는 점은 제품의 상대 우위 확보 및 판매력과 동시에 순이익 증대로 이어지고 있으나 가장 큰 문제점은 정확한 분석 및 판별법이 확립되어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야채와 일반재배 야채에 대하여 몇 가지 항목의 표준지표를 설정하고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일반 야채와 유기농 재배야채의 판별을 시도해보고자 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Edwards, C.A. (1973) Persistent pesticides in the environment, $2^{nd}$ ed., CRC Press, Cleveland, p.74 

  2. Doull, J., Klaassen, C.D. and Amdur, M.O. (1980) Toxicology, $2^{nd}$ ed., Macmillan Pub. Co. New York, p.16 

  3. 이서래 (1982) 한국식품 중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에 관한 종합평가. 한국식품고학회지, 14, 82-93 

  4. 심애련, 최언호, 이서래 (1984) 과일채소중 말라티온 잔류분의 세척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16, 418-422 

  5. Kim, J.G. (1993) Analysis of pesticide contaminants in food. Kor. J. Env. Hlth. Soc., 19, 90-93 

  6. 이서래, 강순영 (1976) 남해안산 수산식품 중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8, 219-224 

  7. 보건복지부 (2000) 식품공전, p.51-116, 808-854 

  8. 환경청 (1982) 환경안전, p.425 

  9. Kim, Y.H., Kim, H.N., Kim, S.S. and Lee, S.R. (1979) Elimination of BHC residues in the polishing and cooking processes of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18-25 

  10. 김택겸, 김장억 (1999) Microwave를 이용한 인삼 중의 잔류 농약 추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4, 365-371 

  11. 農藥殘留分析法硏究班 (1995) 最新 農藥の殘留分析法, 中央法規出版社, p.512-636 

  12. 김장억 (1996) '96 국내 농산물중 농약잔류량 조사 - Procymidone의 잔류량 조사. 한국환경농학회, 32, 176-1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