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nosodium Glutamate와 숙성온도 변화가 김치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and Temperature Change on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in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2, 2004년, pp.399 - 404  

이예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산업학부) ,  이명예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산업학부) ,  김순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의 숙성 시 무첨가(C-I, C-II) 및 MSG 첨가(M-I, M-II)와 숙성 방법으로 2$0^{\circ}C$에서 2일간 숙성시킨 후 1$0^{\circ}C$에서 5일간 숙성한 경우(C-I, M-I)와 1$0^{\circ}C$에서 7일간 숙성한 경우(C-II, M-II)로 구분하여 pH, 산도 총균수와 젖산균수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측정과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pH와 산도로 평가한 김치의 숙성은 MSG첨가가 무첨가보다, 1$0^{\circ}C$숙성김치가 온도변화구보다 숙성이 지연되었다. 총균수는 C-I 보다 M-I에서, C-II보다 M-II에서 낮았으나 젖산균수는 C-I 보다 M-I에서, C-II보다 M-II에서 높아 MSG첨가에 의하여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었다 C-I김치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 asparagine, homocystine, valine 및 serine으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33%를 차지하였다. C-II 김치에서는 이들 아미노산의 함량이 C-I에서보다 높음과 동시에 특히 g1utamic acid와 ornithine의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M-I김치에서는 homocystine, alanine, asparagine, valine 및 proline이 주 아미노산으로 total의 50%를 차지하였으며, M-II 김치에서는 glutamic acid, alanine, hydroxyproline, asparagine, homocystine, ornithine, valine 및 proline으로 total의 36%를 차지하였고, M-I 비하여 특히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및 ornithine의 함량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신맛은 MSG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낮았으며 2$0^{\circ}C$ 숙성 후 1$0^{\circ}C$로 옮긴 경우는 계속 1$0^{\circ}C$에서 숙성시킨 경우보다 숙성지연 효과가 낮았다. 아삭아삭한 맛은 산미의 결과와 반대로 온도변화구보다 저온구에서 MSG첨 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높았다. 맛난 맛과 종합적인 맛은 M-I이 C-1보다. M-II보다 C-II에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 김치의 숙성 시 상온에서 일정시간 숙성시킨 후 저온으로 옮겨 숙성 시키는 방법은 저온에서의 숙성지연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SG첨가는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을 높여 맛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보존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MSG) and fermentation methods (C-I; fermented for 5 days at 1$0^{\circ}C$ after 2$0^{\circ}C$ fermentation for 2 days, C-II; fermented for 7 days at 1$0^{\circ}C$, M-I; kimchi with MSG fer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SG 첨 가와 온도변화가 유리 아미 노산 함량에 미 치 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7일간 숙성시킨 김 치의 유리 아미노산과 그 유도체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Table 3에서와 같이 분리된 유리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의 종류는 29종이었으며 시료별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ee HJ. 2000. A study on commercial kimchi consumption of housewives in seoul and Chungbuk area. Korean J Food & Nutr 13: 221-225. 

  2. Park WP, Park KD, Chong YJ, Lee IS. 2002. Effect of calcium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28-432. 

  3. Min SG, Kim JH, Cho SK, Sin HS, Hong GH, Oh DG, Kim KN. 2003. Manufactures of functional kimchi using Bifidobacterium strain producing conjugated linoleic acid as star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1-114. 

  4. Cho Y, Rhee HS. 1979.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s. Korean J Food Sci Rechnol 11: 26-31. 

  5. Lee HO, Lee HJ, Woo SJ. 1994. Effect of cooked glutinous rice flour and soused shrimp on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 total vitamin C and ascorbic acid conten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0: 225-231. 

  6. Kang DH, Woo YS, Lee YK, Chung SY. 1983. Organic constituents in kimchi on free amino acids. Korean J Food & Nutr 12: 225-229. 

  7. Oh YA, Kim SD. 1997.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of salted chinese cabbage and kimchi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04-410. 

  8. Pyun JW, Hwang IK. 1987. Study on the taste characteristics of the chemical seasoning (MSG) mixed with the various contents of nucleotides. Korean Soc Food Sci 3: 71-77. 

  9. Kwok RHM. 1968. Chinese-restaurant syndrome. New Elgl J Med 278: 796-801. 

  10. Lemkey J, Reynolds WA. 1972. Incidence and extent of brain lesions in mice following ingestion of monosodium glutamate. Anat Rec 172: 353-357. 

  11. Takasaki Y. 1978. Studies on brain lesion by administation of monosodium L-glutamate to mice. Toxicology 9: 293-305. 

  12. Peng Y, Gubin J, Harper AE, Vavich MG. 1973. Food intake regulation: Amino acid toxicity and changes in rat brain and plasma amino acids. J Nutr 103: 608-617. 

  13. Stegubj LD, Filer LJ, Baker GL. 1986. Plasma glutamate concentrations in adult subjects ingesting monosodium L-glutamate in consomme. Am J Cli Nutr 42: 220-225. 

  14. Jang KS. 1990. Effect of mono sodium glutamate on the ferment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19: 342-348. 

  15. Hur BS. 2003. Developmental status of functional kimchi. 16th Symposium of Kimchi Res Center in Busan Univ p 20-21. 

  16. Ser SS, Kim MH, No HK, Kim SD. 2002. Cooking characteristics of coated rice with water homogenate of citrus fruits pee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318-325. 

  17. Herbert A, Joel LS. 1993.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2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 68-75. 

  18.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 Kim SD, Kim ID, Park IK, Kim MH, Youn KS. 1999. Effects of calcium lactate and acetate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333-338. 

  20. Kim YJ, Hong SI, Park NH, Chung TY. 1994. Effect of packaging material on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2-67. 

  21. So MH, Kim YB. 1995.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506-515. 

  22. Shin DH, Kim MS, Han JS, Lim DK, Back WS. 1996.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37-145. 

  23. Frederick K. 1963. Analytical microbi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and London. p 45-60. 

  24. Rhie SG, Chun SK. 1982.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n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Nutr & Food 11: 6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