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쟈스민차가루를 이용한 식빵의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Jasmin Tea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17 no.1, 2004년, pp.41 - 46  

황윤경 (수원여자대학 식품과학부 제과제빵과) ,  현영희 (수원여자대학 식품과학부 제과제빵) ,  이윤신 (수원여자대학 식품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쟈스민차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쟈스민차 식빵의 무게, 부피, 색도를 비교하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효과적인 배합비를 찾고자 하였으며, 식빵에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된 부재료를 첨가하는 경우 부피가 감소하여 제빵적성이 감소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쟈스민차가루를 첨가하여 색과 향을 살리면서도 부피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활성 글루텐을 첨가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쟈스민차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식빵의 무게는 점차 증가하였으며(p<0.05), 쟈스민차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부피는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활성 글루텐 첨가에 의해서는 유의적인 부피의 보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쟈스민차가루를 첨가한 식빵 내부의 색도는 쟈스민차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는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적색도(a)는 쟈스민차가루를 첨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황색도(b)도 쟈스민차가루 첨가에 따라 점차 높은 값을 나타내어 쟈스민차 첨가 시 내부 색은 어두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맛과 풍미, 색, 조직감 모두 대조군을 제외하고는 2%, 3%군이 유사하게 높아, 전체적인 선호도는 쟈스민차 가루 2%, 3%, 3%+군이 유의한 차이 없이 대조군에 이어 높게 나왔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쟈스민차가루의 첨가량은 3%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빵 제조시 쟈스민차가루를 이용함으로써 쟈스민차가루의 기능성과 영양성분, 맛, 색, 향을 이용하여 제품의 다양성을 살릴 수 있다고 사료되며, 이 결과는 우수한 품질의 쟈스민차빵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e correlation between self efficacy and controllability. Particularl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 efficacy and external controllability. Based up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change causal attribution and self-efficacy is necessary. A number of theoretical relationships and empirical finding are confirmed by this data, and future proposals in research is suggested. 따라서 교사들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에 따라 수행평가에 대한 지원을 달리함으로써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며 보다 효과적인 수행평가가 실시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갈색 정도의 차이 문제이지 갈색란을 좋아함을 알 수 있었고, 교육에 의해 조금씩은 고정 관념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ique impact at 0.70 km/s and 0.91 km/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Eulerian hydrocode CTH simulation results. The Lagrangian code NET3D is superior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ratio of healthy bread with jasmin tea powder. The weight, volume, and color difference of bread with various jasmin tea powder was measured and the picture of bread was taken and the panel test was taken. The weight of bread was increased an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식빵에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된 부재료를 첨가하는 경우 부피가 감소하여 제빵적성이 감소한다.23)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활성 글루텐을 첨 가24) 하여 쟈스민차분말 첨가에 의한 식빵의 품질 저하를 개선하도록 하여 쟈스민차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무게, 부피, 색도 물성 등의 품질특성을 검토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적절한 배합비를 찾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쟈스민차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바쁜 현대인의 간편식 또는 간식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식빵에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된 부재료를 첨가하는 경우 부피가 감소하여 제빵적성이 감소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종태, 이수정, 황재관, 김철진, 안병학 : Propolis의 첨가가 식빵의 저장수명과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9(5). 982-986(1997) 

  2. 김은주, 김수민 : 제조방법별 솔잎 추출물을 이용한 제빵적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0(3). 542-547(1998) 

  3. 김영수, 하태열, 이상효, 이현유 : 미강에서 추출한 식이 섬유 추출물의 특성 및 제빵에의 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29(3). 502-508(1997) 

  4. 권혁련, 안명수 : 쌀가루와 기타 미분을 이용한 식빵 및 러스커의 제조방법과 물성에 관한 연구(1). 한국조리과학회지, 11(5). 479-486(1995) 

  5. 조미경, 이원종 : 비지와 막걸리박을 이용한 고식이섬유 빵의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5(4). 632-636(1996) 

  6. 김선영, 유정희 : 밀 및 자색고구마 가루의 제빵성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3(4). 492-499(1997) 

  7. 이경혜, 이영춘 : 발효빵에 미치는 Carboxymethyl Chitosan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9(1). 96-100(1997) 

  8. 김복란, 최용순, 이상영 : 메밀가루를 이용한 제빵 적성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2). 241-247(2000) 

  9. 강미영, 최영희, 최해춘 : 백미와 현미쌀빵의 특성 비교, 한국조리과학회지, 13(1). 64- 69(1999) 

  10. 조미경, 이원종 : 보리가루를 이용한 고식이섬유 빵의 제조, 한국식품과학회지, 28(4). 702-706(1996) 

  11. 강우원, 김귀영, 김종국, 오상룡 : 감잎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6(4). 336-341(2000) 

  12. 황윤경, 김태영 : 팽화흑진주미를 이용한 흑미빵의 품질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6(2). 167-172(2000) 

  13. 황윤경, 현영희, 이윤신 : 녹차가루를 이용한 식빵의 특성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4(4). 311-316(2001) 

  14. 최성희 : 우리차 세계의 차 바고 알고 마시기, 중앙생활사, 서울, p.21(2002) 

  15. 강선영 : 즐기며 마시는 전통차와 한방차,도서출판 둥지, 서울, p.60(1994) 

  16. 김종태 : 차 이야기, 오롬 시스템(주), 서울, p.26, p.70(1995) 

  17. Muramatsu, K., Fukuyo, M., and Hara, T. :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on plasma level in Cholesterol-fed rats, J. Nutr. Sci. Vitaminol, 32. 613(1986) 

  18. 김미혜, 김명철, 박종석, 박은지, 이종옥 : 다류소재 식품류 중의 항산화물질 함량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31(2). 273-279(1999) 

  19. 이호선, 손종연 : 시판 녹차, 홍차, 오룡차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15(4). 377-381(2002) 

  20. 박찬성 : 솔잎과 녹차 추출물이 식중독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6(1). 40-46(2000) 

  21. 정동효, 김종태 편저 : 차의 과학, 대광서림, 서울, p.193-233(2003) 

  22. 김정숙 : 녹차빵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1(6). 657-661(1998) 

  23. 황성연, 최원균, 이현자 : 녹차분말 첨가가 소맥분의 물리적 특성과 제빵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4(10). 34-39(2001) 

  24. 임정교, 김영희 : 가루녹차 첨가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5(4). 395-400(1999) 

  25. 오홍근 감수: 아로마 테라피, 삼호미디어, 서울, p153(2001) 

  26. Che, H., Rubenthaler, G.L., and Schanus, E.G. : Effect of apple fiber and cellulose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hear flour, J. Food Sci, 53. 304 (1988) 

  27. 정지영, 김창순 : 활성 글루텐과 수용성 gum 물질이 메밀빵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조리과학회지, 14(2). 168-176(1998) 

  28. Pomeranz, Y., Shogren, M.D., Fimmery, K.F., and Bechtel, D.B. : Fiber in breadmaking effects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 25(1977) 

  29. 강미영, 최영희, 최해춘 : Gum질, 지방질 및 활성 Gluten 첨가에 따른 쌀빵 특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9(4). 700-704(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