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ibrio parahaemoiyticus에 대한 산초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3, 2004년, pp.500 - 504  

김정순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소) ,  구경모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 ,  정용현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 ,  양재길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 ,  이강권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초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등지 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우리 정서에 친숙한 식미와 향기를 가지는 아시아권의 공통적인 향신료이다.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생선회와 어패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발생 억제방안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성이 없는 새로운 천연 식품 보존제의 개발을 위하여 식품 및 향신료로서 적용 범위가 광범위한 산초를 대상으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천연항균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초나무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 분석에서 종자를 제외한 성분으로 제조한 산초의 주정추출물이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추출물의 온도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다양한 범위의 온도, pH에 대해서 매우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C-MS에 의한 산초 추출물의 분리, 동정 결과에서는 estragole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산초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을 줄일 수 있는 항균제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식품첨가제 및 포장재, 식품포장 외부 충진 물질, 살균소독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응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utilization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s a source of decontamination agents. The antimicrobial effe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was investigated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which is food-born disease organism. Ethanol extract of Z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생선회와 어패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Vibriopara- 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 발생 억제 방안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성이 없는 새로운 천연식품 보존제의 개발을 위하여 식품 및 향신료로서 적용 범위가 광범위한 산초를 대상으로 Vibrio parahaemolyticus°1] 대한 천연 항균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초나무 추출물의 항균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Vibrio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 분석에서 종자를 제외한 성분으로 제조한 산초의 주정 추출물이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추출물의 온도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다양한 범위의 온도, pH에 대해서 매우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또한 산초는 구중제, 해독 살 중 약, 감기약 등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가 다양하다(7). 이에 본 연구는 예로부터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는 산초의 Vibrio parahae- m况yticus에 대한 항균 활성의 확인과 물리적인 특징 및 그 유효성분을 파악하고 식품에서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식품의약품안정청. 2002. 식중독 발생상황. 한국의 식중독 발생현황. 식중독 발생건수와 환자수. 

  2. 工藤泰雄, 大橋 誠. 1990. 腸炎ビブリオ 第III集. 近代出版, 東京. p 26-36. 

  3. Park SK, Park JC. 1994.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coumaric acid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9: 506-511. 

  4. Choi SC, Jung JS. 1997. Studies on antimicrobial of impatiens balsamina extract (II). J Korean Fiber Soc 34: 393-399. 

  5. Park CS. 1998. Antibacterial activity of edible plan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89-96. 

  6. Yang JY, Han JH, Kang HR, Hwang MK, Lee JW. 2001. Antimicrobial effect of mustard, cinnamon, Japanese pepper and horseradish. J Fd Hyg Safety 16: 37-40. 

  7. Lee JW.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sancho fruit and tree (Zanthoxylum Schinfolium). Korean J Food & Nutr 11: 493-498. 

  8. Cho SH, Kim YR. 2001.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64-968. 

  9.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ogy 43: 148-155. 

  10. Chung KH, Lee SH, Lee YC, Kim JT.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27-132. 

  11. Chung SK, Jung JD, Cho SH.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71-377. 

  12. 채영암. 2001. 전통 향료 유전자원 산초 및 초피의 화학형 분류. 농업생명과학연구 5: 23-26. 

  13. Bahk JR, Park SH, Kim JO, Kim SW, Lee SY. 1997. The effect of estragole identified and extracts form Agastache rugosa O. Kuntze on the fungal growth and metabolism. J Fd Hyg Safety 12: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