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기간 중 모체의 식사 철 섭취상태와 생체이용률 및 철 영양상태의 변화
A Study on the Changes of Maternal Dietary Iron Intakes, Its Bioavailability, and Iron Status during Pregnanc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9 no.2, 2004년, pp.142 - 150  

이정아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종임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임현숙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crease both iron and enhancers for iron absorption through diets should be a basic strategy to sufficiently provide increased iron for pregnancy.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iron intakes of Korean pregnant women were short and their iron status deteriorated as pregnancy progressed. Howev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연구대상자의 혈액을, 임신 삼분기마다 12시간 이상 공복상태 하에서, 전완정맥에서 채취하였다. Hb 농도와 Het는 채혈 즉시 자동혈구분석기 (Coulter STK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남은 혈액을 3, 000 rpm에서 15분간 원심 .
  • 혈청 sTfR (serum soluble transferrin receptor) 농도는 IDeA sTfR kit (Orion Diagnostica, FIN-02101, Finland) 를 이용해 면역효소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혈청 ferritin 농도와 혈청 sTfR 농도로부터 sTfR: ferritin 비율을 구하였다.
  • 즉, 동물성 식품에서 섭취한 철의 40%를 헴철로 보았고 나머지를 비헴철로 보았으며, 기타 식품에서 섭취한 철은 모두 비헴철이라고 보았다. 다음으로 체내 철 저장량을 추정하였다. 즉각 개인의 혈청 ferritin 농도 1 ug/L당 철 저장량을 10 mg이라고 추정하였으며 (Jacobs 등 1980), 이에 따라 저장철 상태를 부족, 보통, 충분 세 단계로 구분했다.
  • 임신의 경과로 나타난 철 생체이용률이 증가하는 현상은, 임신이 진행되면서 체내 철 저장량이 유의하게 감 소하여, 철 흡수율이 증가했기 때문이며 비헴철의 경우는 이외에도 흡수향상인자의 섭취가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해 석된다. 본 연구대상자의 3/3분기 흡수율은 국내 선행연구 결과가 있는 중소도시지역 38주이상 임신부(Kim & Lee 1998)에서 조사된 총 철, 헴철 및 비헴철의 흡수율과 비교 할 때 각각 근사하였다. 그러나 서구인의 비임신 여성 자료 즉, 스웨덴 여성의 총 철 흡수율 14%, 프랑스 여성의 16%, 미국의 NHANES III로부터 얻은 성인여성의 16.
  • 즉, 부족상 태면 35%를, 보통상태면 28%를 그리고 충분상태면 23% 를 적용했다. 비헴철의 생체이용률은 체내 철저장상태와 식사의 철 이용률 두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식사 철 이용률은 식사 내 MPF 및 비타민 C 함량에 의거해 저, 중, 고세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 비헴철의 생체이용률은 체내 철저장상태와 식사의 철 이용률 두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식사 철 이용률은 식사 내 MPF 및 비타민 C 함량에 의거해 저, 중, 고세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즉, 끼니마다 MPF가 30 g미만이거나 비타민 C가 25 mg 미만인 경우를 저급 이용률 식사(low availability meal)로 보았고, 이 경우 개개인의 체내 저장철 상태가 부족한지, 보통인지 또는 충 분한지에 따라 비헴철 흡수율을 각각 5%, 4% 또는 3%로 계산하였다.
  • 연구대상자의 식사섭취상태는, 임신 삼분기마다 직접 면접하거나 또는 전화 인터뷰로, 1일간의 섭취량을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하였다. 이들 식사섭취상태 자료에 의거해 세 끼니와 간식별로 철, 비타민 C 및 MPF 섭취량을 구하였다.
  • 연구대상자의 연령, 교육수준, 가계소득수준, 분만횟수, 임신기간 등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 면접하거나 또는 전화 인터뷰로 조사하였다. 임신기간은 마지막 월경 일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 연구대상자의 혈액을, 임신 삼분기마다 12시간 이상 공복상태 하에서, 전완정맥에서 채취하였다. Hb 농도와 Het는 채혈 즉시 자동혈구분석기 (Coulter STK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연구대상자의 식사섭취상태는, 임신 삼분기마다 직접 면접하거나 또는 전화 인터뷰로, 1일간의 섭취량을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하였다. 이들 식사섭취상태 자료에 의거해 세 끼니와 간식별로 철, 비타민 C 및 MPF 섭취량을 구하였다. 간식은 횟수와 무관하게 모두 합해 1회의 간식으로 처리하였다.
  • 앞서 서술한 바, 임신기간 중 모체의 식사 철 생체이용률 을 고찰한 연구내용은 드물며 더욱이 임신 전 기간에 걸쳐 식사철 생체이용률의 변화를 고찰한 논문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 삼분기별로 모체의 체내 철 저장량을 추정하였고, 식사철의 섭취상태와 생체이용률을 분석하였고, 철 영양상태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임신부의 식사철 섭취를 증가시키거나 식사 철의 생체이용률 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앞서 서술한 바, 임신기간 중 모체의 식사 철 생체이용률 을 고찰한 연구내용은 드물며 더욱이 임신 전 기간에 걸쳐 식사철 생체이용률의 변화를 고찰한 논문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 삼분기별로 모체의 체내 철 저장량을 추정하였고, 식사철의 섭취상태와 생체이용률을 분석하였고, 철 영양상태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임신부의 식사철 섭취를 증가시키거나 식사 철의 생체이용률 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즉, 끼니마다 MPF가 30 g미만이거나 비타민 C가 25 mg 미만인 경우를 저급 이용률 식사(low availability meal)로 보았고, 이 경우 개개인의 체내 저장철 상태가 부족한지, 보통인지 또는 충 분한지에 따라 비헴철 흡수율을 각각 5%, 4% 또는 3%로 계산하였다. 중급 이용률 식사(medium availability meal)는 MPF가 30-90 g이거나 비타민 C가 25-75 mg인 경 우로 보았고, 이 경우 비헴철 흡수율을 저장 철의 세 상태별 로 각각 10%, 7% 또는 5%로 계산하였다. 한편 고급 이용률 식사(high availability meal)는 MPF가 90 g을 초과하거나 비타민 C가 75 mg을 넘을때 또는 MPF가 30~90 g 이면서 비타민 C가 25~75 mg인 경우로 판정했고, 이때의 비헴철 흡수율은 저장 철의 세 상태별로 각각 20%, 12% 또는 8%로 보았다.
  • 식사 철 이용률은 식사 내 MPF 및 비타민 C 함량에 의거해 저, 중, 고세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즉, 끼니마다 MPF가 30 g미만이거나 비타민 C가 25 mg 미만인 경우를 저급 이용률 식사(low availability meal)로 보았고, 이 경우 개개인의 체내 저장철 상태가 부족한지, 보통인지 또는 충 분한지에 따라 비헴철 흡수율을 각각 5%, 4% 또는 3%로 계산하였다. 중급 이용률 식사(medium availability meal)는 MPF가 30-90 g이거나 비타민 C가 25-75 mg인 경 우로 보았고, 이 경우 비헴철 흡수율을 저장 철의 세 상태별 로 각각 10%, 7% 또는 5%로 계산하였다.
  • 중급 이용률 식사(medium availability meal)는 MPF가 30-90 g이거나 비타민 C가 25-75 mg인 경 우로 보았고, 이 경우 비헴철 흡수율을 저장 철의 세 상태별 로 각각 10%, 7% 또는 5%로 계산하였다. 한편 고급 이용률 식사(high availability meal)는 MPF가 90 g을 초과하거나 비타민 C가 75 mg을 넘을때 또는 MPF가 30~90 g 이면서 비타민 C가 25~75 mg인 경우로 판정했고, 이때의 비헴철 흡수율은 저장 철의 세 상태별로 각각 20%, 12% 또는 8%로 보았다.
  • 분리하여 혈청을 얻었으며, 이를 분액해 -20에 보관하면서 분석에 사용하였다. 혈청 ferritin 농도는 125I immunoradiometric assay kit (Diagnostic Products Corp., USA)를 사용하였으며 gamma counter (Packard, Cobra II, USA)로 1분 동안의 결합비율(%B/MB)을 측정하여 정량 흐였다. 혈청 sTfR (serum soluble transferrin receptor) 농도는 IDeA sTfR kit (Orion Diagnostica, FIN-02101, Finland) 를 이용해 면역효소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 , USA)를 사용하였으며 gamma counter (Packard, Cobra II, USA)로 1분 동안의 결합비율(%B/MB)을 측정하여 정량 흐였다. 혈청 sTfR (serum soluble transferrin receptor) 농도는 IDeA sTfR kit (Orion Diagnostica, FIN-02101, Finland) 를 이용해 면역효소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혈청 ferritin 농도와 혈청 sTfR 농도로부터 sTfR: ferritin 비율을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를 위해 임신 1/3분기에 들 어선 여성 15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2/3분 기와 3/3분기까지 조사에 응한 연구대상자는 각각 72명과 55 명이었다.
  • 본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28.4 3.5세였고, 신장은 159.2 4.9 cm이었으며 분만 전 체중은 52.6  6.2kg이었다. 이들의 분만횟수는 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 삼 분기별로 모체의 체내 철 저장량을 추정하였고, 식사 철의 섭취상태와 생체이용률을 분석하였고, 철 영양상 태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임신 1/3분기에 들 어선 여성 15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2/3분 기와 3/3분기까지 조사에 응한 연구대상자는 각각 72명과 55 명이었다.
  • 본 연구를 위해, 산전관리를 받기 위해 광주시에 위치한 E 병원과 북구보건소를 방문한 임신 1/3분기에 들어선 임신부들 중,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여 자원한 151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1/3분기에 참여한 151명 중 2/3분기와 3/3분기 모두 식사섭취 상태 조사와 혈액 채취 과정을 마친 대상자는 각각 72명과 55명이었다.

데이터처리

  • Values are mean standard deviation. Values in each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zs multiple range test. 'MPF; meat, poultry, and fish eotal enhancing factors = MPF (g) vitamin C (mg)
  • Values in each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e multiple range test.
  • Values are mean standard deviation. Values in each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zs multiple range test. 'MPF; meat, poultry, and fish eotal enhancing factors = MPF (g) vitamin C (mg)
  • 모든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임신 삼분기 별 각 항목의 평균의 차이는 반복 측정 데이터의 일반선형모 형 (General Linear Model, repeated measure) 으로 유의성을 확인한 후, 분기별 평균의 차이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 < 0.
  • 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식사철 관련 인자와 철 영양상태 지표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AS package (Song 등 1993)를 이용하였다.
  • 모든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임신 삼분기 별 각 항목의 평균의 차이는 반복 측정 데이터의 일반선형모 형 (General Linear Model, repeated measure) 으로 유의성을 확인한 후, 분기별 평균의 차이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 < 0.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식사철 관련 인자와 철 영양상태 지표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식사철 관련 인자와 철 영양상태 지표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AS package (Song 등 1993)를 이용하였다.
  • 식사로 섭취된 철의 생체이용률은 Monsen 등(1978)의 방법에 의해 각, 연구대상자의 체내 철 저장량과 식사조성을 기초로하여 추정하였다. 우선 식사철을 다음과 같이 헴철과 비헴철로 구분하였다.
  • 간식은 횟수와 무관하게 모두 합해 1회의 간식으로 처리하였다. 철과 비타민 C 섭취량은 전문가용 컴퓨터 프로그램인 CAN-PRO (Computer Aided Nutrition-Professional, 한국영양정보센터 및 한국영양학회 2003)를 이용하여 구하였고 MPF 섭취량은 식사섭취상태조사 자료로부터 일일이 계산하였다. MPF (g)와 비타민 C (mg) 섭취량을 더해 총 흡수향상인자 섭취량을 산출하였다(Martinez-Torres & Layriss 197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hn HS, Park YS, Park SH (1996): Ecological studies of maternal-infant nutrition and feeding in urban low income area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intakes, and serum lipids content/fatty acids composition of the pregnants- Korean J Community Nutr 1(2): 201-214 

  2. Barrett JF, Whittaker PG, Williams JG, Lind T (1994): Absorption of non-haem iron from food during normal pregnancy. Br Medical J 309(6947): 79-82 

  3. Bjorn-Rasmussen E (1974): Iron absorption from wheat bread-influence of various amounts of bran. Nutr Metabol 19: 101-108 

  4.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1989): CDC criteria for anemia in children and childbearing-aged women. Morbid Mortal Week Rep 38: 400-404 

  5. Cook JD, Monsen ER (1976): Food iron absorption in human subjects. III.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nimal protein on nonheme iron absorption. Am J Clin Nutr 29: 859-867 

  6. Cook JD, Skikne BS (1989): Iron deficiency: definition and diagnosis. J Int Med 226: 349-355 

  7. Disler PB, Lynch SR, Charlton RW, Torrance JD, Bothwel TH, Walker RB, Mayet F (1975): The effect of tea on iron absorption. Gut 16: 193-199 

  8. ESWG (Expert Scientific Working Group) (1980): Summary of a report on assessment of the iron nutritional status of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Am J Clin Nutr 42: 1318-1330 

  9. Hallberg L, Rossander-Hulten L (1991): Iron requirements in mens-truating women. Am J Clin Nutr 54: 1047-1058 

  10. Hyun WJ, Lee JY, Kwak CS (1997): Dietary intakes and psychological stress of pregnant women in Taejon in relation to neonatal birth weight. Korean J Community Nutr 2(2): 169-178 

  11. Jacob RA, Sanstead HH, Klevay LM, Johnson LK (1980): Utility of serum ferritin as a measure of iron deficiency in normal males undergoing repetitive phlebotomy. Blood 56: 786-791 

  12. Kaneshige E (1981): Serum ferritin as an assessment of iron stores and other hematologic parameters during pregnancy. Obst Gyne 57: 238-242 

  13. Kim EK, Lee KH (1998): Assessment of the intake and availability of dietary iron and nutrition knowledge in pregnant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3(1): 53-61 

  14. Kim EK, Lee KH (1999): Iron status in pregnant women and their new-born infants. Korean J Nutr 32(7): 793-801 

  15. Knight EM, Spurlock BG, Edwards CH, Johnson AA, Oyemade UJ(1994): Biochemical profile of African American women during three trimesters of pregnancy and at delivery. J Nutr 124: 943S-953S 

  16.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ed. Jungang Press, Seoul 

  17. Kye SH, Paik HY (1993): Iron nutriture and related dietary factors in apparently healthy young Korean women (2): Analysis of iron in major food items and assessment of intake and availability of dietary iron. Korean J Nutr 26(6): 703-714 

  18. Layrisse M, Martinez-Torres C, Roche M (1968): Effect of interaction of various foods on iron absorption. Am J Clin Nutr 21: 1175-1182 

  19. Lee KH, Kim EK, Kim MK (1997): Iron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students in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Kor J Community Nutr 2(1): 23-32 

  20. Lee J-I, Lim H-S (2001a): A longitudinal study on maternal iron and folate status during and after pregnancy in Korean women. Kor J Community Nutr 6(2): 182-191 

  21. Lee J-I, Lim H-S (2001b): Iron status of pregnant women and evalua-ion of cut-off levels of Hb, Hct, TIBC, sTfR, sTfR: ferritin ratio for assessment of iron deficiency. Korean J Human Ecology 4(1) : 36-45 

  22. Lee J-I, Lee J-A, Lim H-S. Morning sickness reduces dietary diversity, nutrient intakes, and infant outcome of pregnant women. Unpubli-shed 

  23. Martinez-Torres C, Layriss M (1973): Nutritional factors in iron defi-ciency - food iron absorption. Clin Heamatol 2: 339 

  24. Monsen E.R, Hallberg L, Layrisse M, Hegsted M, Cook JD, Mertz W, Finch CA (1978): Estimation of available dietary iron. Am J Clin Nutr 31: 134-141 

  25. Moore CV, DubachR (1951): Observationson the absorption of iron from foods tagged with radio-iron. Trans Assoc Am Phys 64: 245-252 

  26. Nam HS, Ly SY (1992): A survey on iron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n J Nutr 25(5): 404-412 

  27. Park J-A, Yoon J-S (2001): A screening tool for identifying high risk pregnant women of Fe deficiency anemia. Korean J Community Nutr 6(5): 734-743 

  28. Raper NR, Rosernthal JC, Woteki CE (1984): Estimates of available iron in diets of individuals 1 year old and older in the Nationwide Food Consumption Survey. J Am Diet Assoc 84(7): 783-787 

  29. Scholl TO, Hediger ML (1994): Anemia and iron-deficiency anemia: a complication of data on pregnancy outcome. Am J Clin Nutr 59: 492S-501S 

  30. Song MS, Lee YJ, Cho SS, Kim BC (1993): Statistical analysis using SAS, Seoul, Jayu Academy 

  31. Song YS, Kim SH (1989): Nutritional status of rural women in relation to physical condition of offspring at birth. Korean J Nutr 22(6): 547-556 

  32. Skikne BS, Ferguson BJ, Simpson K, Baynes RD, Cook JD (1990): Serum transferrin receptor distinguishes anemia of chronic disease from iron deficiency. Blood 76: 49-54 

  33. Taylor DJ, Mallen C, McDougall N, Lind T (1982): Effect of iron sup-plementation on serum ferritin levels during and after pregnancy. Br J Obstet Gynecol 89: 1011-1017 

  34. Tseng M, Chakraborty H, Robinson DT, Mendez M, Kohlmeier L (1997): Adjustment of iron intake for dietary enhancers and inhi-bitors in population studies: Bioavailable iron in rural and urban residing Russian women and children. J Nutr 127: 1456-1468 

  35.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Human Nutrition Information Service (1992): Food Guide Pyramid, A Guide to Daily Food Choices, Home And Garden Bulletin No.252 

  36. Worthington-Roberts B (1997): The role of maternal nutrition in the prevention of birth defects. J Am Diet Assoc 97: S184-S185 

  37. Yip R, Johnson C, Dallman P (1984): Age-related changes in laboratory values used in the diagnosis of anemia and iron deficiency. Am J Clin Nutr 39: 427-436 

  38. Yu KH, Yoon JS (1999): A cross-sectional study of nutrient intakes by gestational age and pregnancy outcome (I). Korean J Nutr 32(8): 877-886 

  39. Yu KH, Yoon JS (2000):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hematological indices for assessment of iron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pregnant women (III). Korean J Nutr 33(5): 532-539 

  40. Yu KH, Yoon JS, Hahn YS (1999): A cross-sectional study of bioche-mical analysis and assessment of iron deficiency by gestational age (II). Korean J Nutr 32 (8) : 887-8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