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와 영유아의 영양상태와의 관계연구 - 전주지역 영양플러스 참여자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of guardians, and nutritional status of infants and toddlers - Nutrition-Plus program in Jeonju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3, 2018년, pp.242 - 253  

송은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주시의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 중인 115명의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영유아의 영양상태와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영유아의 바람직한 성장발달을 위한 영양관리와 보호자대상의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양지식의 총점은 15점 중 12.97점이며 '철분이 부족하면 빈혈에 걸리기 쉽다'가 99.1%로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철분은 동물성보다 식물성 단백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가 62.6%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식생활태도의 총점은 75점 만점 기준 53.38점이며 '술은 절대로 마시지 않는다'가 3.9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우유제품을 매일 먹는다'가 2.85점으로 가장 낮은 식생활태도 점수를 보였다.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는 교육수준과 가족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 24개월 영유아의 전체 평균 %EER은 97.56%이며,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은 98.81%, '보통'은 97.87%, '낮음'은 93.73%로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의 %EER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25개월 이상의 유아의 %EER은 81.47%이며,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은 84.17%, '보통'은 82.31%, '낮음'은 71.20%로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의 %EER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6 ~ 11개월 영아의 전체 평균 미량 영양소 섭취율은 칼슘, 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은 100%이상으로 적절하게 섭취하고 있으나 철은 92.38%, 비타민 A는 92.46%, 비타민 C는 95.50% 섭취하고 있었다. 12개월 이상의 유아는 칼슘에서 보호자의 영양지식 수준이 '높음' (97.71)과 '보통' (92.79)이 '낮음' (77.66)보다 칼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체 평균 섭취율은 인,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C는 100% 이상으로 섭취하고 있으나 칼슘은 92.01%, 철은 92.31%, 나이아신은 93.67%로 부족하게 섭취하였다. 식생활 태도 수준에 따른 %에너지 필요추정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에 대한 섭취 에너지 백분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량영양소인 티아민의 섭취량은 보호자의 식생활 태도 수준이 '보통' (142.67)일 때 '높음' (121.03), '낮음' (119.56)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12개월 이상의 유아의 미량 영양소의 섭취량 백분율을 분석한 결과, 인 섭취는 보호자의 식생활태도 수준이 '보통' (135.43)일 때 '높음' (114.62), '낮음' (124.74)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호자의 교육수준은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와 각각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보호자의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 간에도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보호자의 영양지식과 영유아의 칼슘 (r = 0.303, p < 0.01), 철 (r = 0.277, p < 0.01), 비타민 C (r = 0.221, p < 0.05), 리보플라빈 (r = 0.188, p < 0.05)의 섭취량 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전주시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영유아 보호자의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 수준은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하는데 부족함이 있으므로 영양플러스 교육내용 및 교육매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겠다. 향후 영양플러스 사업이나 영유아대상의 영양사업에서 보호자의 실질적인 영유아 영양관리 실천 기술과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양교육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of guardians, and nutritional status of infants and toddler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applicants for low-income family financing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에 관한 연구는 다수 있으나 영양적으로 취약계층인 영유아 보호자 및 영양플러스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의 영양플러스 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영유아의 영양상태와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주지역 영유아의 바람직한 성장발달을 위한 영양관리와 영유아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자료 개발 및 영양플러스 사업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에 충분한 영양공급이 중요한 이유는? Kim 등5은 영양지식 수준이 높은 어머니일수록 유아의 비만예방을 위한 식생활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Park & Park6은 어머니의 체질량 지수, 식생활태도 및 영양상태 등이 유아의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유아기는 성장발육이 왕성하고 두뇌발달이 거의 완성되며 신체의 모든 조절기능 및 사회 인지능력이 급격히 발달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충분한 영양공급이 매우 중요하겠다. 13 그러나 영유아기의 부적절한 영양섭취 및 신체적 요인 등은 저체중7 및 빈혈 등의 영양문제를 동반하여8,9 정상적인 성장 및 지능발달의 장애가 될 수 있다.
영양플러스 사업이란? 한편, 취약한 영유아 및 임신부의 영양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의 보건소에서는 영양플러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11-15 이 사업은 가구 규모별 기준 중위소득의 80% 미만인 임산부 및 영유아 중 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영양 섭취 불량 등의 영양위험요인을 가진 대상자에게 영양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하고 필수 영양소가 함유된 보충식품 패키지를 생애주기별로 제공하여 영양위험요인 개선 및 스스로의 식생활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업이다. 16 2014년 영양플러스사업 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13,14에 따르면 사업 참여 후 영유아의 영양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며, 영양적으로 취약집단인 보호자의 영양지식 향상 및 태도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보호자의 영양지식수준이 ‘낮음’군에서 12개월 이상의 유아에게 칼슘의 섭취율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미량영양소의 경우, 12개월 이상의 유아에서 보호자의 영양지식 수준이 ‘낮음’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칼슘의 섭취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영아기에는 모유나 분유를 통하여 칼슘섭취가 이루어지나, 12개월이지나 수유를 중단한 유아기에는 보호자의 식품 공급에 의해 칼슘섭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호자의 영양지식이 유아의 칼슘섭취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른 영양소의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평균 섭취율을 비교한 결과, 6 ~ 11개월의 영아의 경우 철을 가장 적게 섭취하였고, 12개월 이상의 유아의 경우 칼슘을 가장 적게 섭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exy U, Hilbig A. Update Sauglingsernahrung. Ernahr Umsch 2016; 63(12): 716-723. 

  2. Han YS, Lee YS. The effect of informal grandparent-provided child care and support on married women's additional birth plans: A panel data analysis. J Korean Fam Resour Manage Assoc 2014; 18(2): 163-182. 

  3. Song HN. Grandparents' caring for grandchildre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Korean J Child Stud 2017; 38(1): 1-3. 

  4.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situ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from a low income family and its development model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5 [cited 2016 Oct 31]. Available from: http://kicce.re.kr. 

  5. Kim JW, Ha AW, Yoo KS.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their preschoolers' obesity and dietary habits. Korean J Food Cult 2008; 23(5): 646-654. 

  6. Park M, Park P. Factors related to eating habits and nutrition status of mother affecting on body mass index of children aged 1-5 year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102-111. 

  7. Shim JE, Yoon JH, Kim K, Paik HY. Association between picky eating behaviors and growth in preschool children. J Nutr Health 2013; 46(5): 418-426. 

  8. Kim BM. Factors influencing feeding practice and age of introduction of weaning food and their following nutritional status in low-income families of Seoul area.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4. 

  9. Kim DK, Kwak YH. Unrecognized anemia in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07; 18(5): 394-398. 

  10. Kim BY, Choi EH, Kang SK, Jun YH, Hong YJ, Kim SK. Weaning food practice and assessment in children with iron deficiency anemia.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9; 12(2): 215-220. 

  11. Park OJ, Lee MJ, Kim JH, Min SH, Lee HS. The effect of Nutrition Plus program among 0-5 year children in the Yeojoo area: The improvement in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fter nutrition supplement of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in parents/guardia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67-776. 

  12. Kim YS, Kim SR, Jang YH, Kim DS, Kwon KH. A case study on effects on Nutrition-Plus program - Based on infants and children under age 6 and their mothers in Naju. J Reg Stud 2011; 19(3): 145-157. 

  13. Kang JH, Ryu HK. A study of the sustainability of NutriPlus program effect - in Pohang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2): 206-214. 

  14. Park SA, Yoon EY. The effect of NutriPlus program among 1-5 year children in Daejeon area- The improvement in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nd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of parents -.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1): 1-10. 

  15. Rha YA, Park JY, Kim JY. A study on satisfaction and health eating index in subjects of Nutrition-Plus program focusing Seodaemun-gu in Seoul. Culin Sci Hosp Res 2016; 22(8): 172-181. 

  16.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Information about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Internet].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6 [cited 2016 Jul 8]. Available from: http://khealth.or.kr. 

  17. Jeonju Health Center. 2015 Health statistic in community Jeollabuk-do Jeonju [Internet]. Jeonju: Jeonju Health Center; 2016 [cited 2016 Oct 31]. Available from: http://health. jeonju.go.kr. 

  18. Yu OK, Park SH, Cha YS. Eating habits,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ult 2007; 22(6): 665-672. 

  19. Eom HS, Jeong MJ, Kim SB.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food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onbu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5): 574-581. 

  20. Joo EJ, Park ES. Comparison study of dietary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body weight perception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Jeonju, Korea and Jinan, China. Korean J Hum Ecol 2016; 25(1): 121-135. 

  21. Yoon SY. A study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 of pregnant women in Jeonju area [dissertation]. Iksan: Wonkwang University; 2009. 

  22. Kim SH, Park GS. Survey on actual situation and importance of use of snacks according to young children mother's nutrition knowledg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6; 26(2): 141-151. 

  23. Park SH, Son EJ, Chang KJ. Effect of green dietary life recognition and low-carbon green life practice on health-related dietary habits i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ch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5; 25(6): 952-962. 

  24. Seo SJ, Shim HS. A study on eating behavior, development outcomes of young children, and nutritional attitude and knowledge levels of mother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9; 19(6): 839-845. 

  25.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for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Internet].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6 [cited 2016 Jul 6]. Available from: http://khealth.or.kr.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2015. 

  2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2007 [Internet]. Chu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cited 2016 Jun 28]. Available from: http://cdc.go.kr. 

  28. Lee JS.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of a day care center in the low income area of Pusan II. A study on the effect of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the mothers. J Korean Soc Food Nutr 1993; 22(1): 34-39. 

  29. Jung SY. An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and unbalanced die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0. 

  30. Rho J, Kim H. A study on the knowledge,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odium, attitudes towards a low-salt diet of adults in the Jeonbuk area. Korean J Hum Ecol 2013; 22(4): 693-705. 

  3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6 Jun 28]. Available from: http://mohw.go.kr. 

  32.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1-12. 

  33. Kang SA, Shin HJ, Lim YH, Kim GA, Woo YH, Jun YH, Kim SK. A study of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on weaning of breast-fed infants, the age of 6 month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4): 453-461. 

  34. Song H. The effects of mother'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n their children's eating habits and obesity. Asian J Child Welf Dev 2013; 11(2): 67-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