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ε-Polylysine 혼합제제들의 식품부패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ε-Polylysine Mixture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4, 2004년, pp.705 - 710  

고은미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병용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epsilon$-Polylysine에 grapefruit seed extract와 glyceride를 각각 혼합한 항균보존제의 식품부패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MIC test와 실제 쌀밥에 적용하였다. 두 혼합 항균제 모두 clear zone을 나타내었으나, $\varepsilon$-polylysine과 grapefruit seed extract 혼합물이 $\varepsilon$-polylysine과 monoglyceride 혼합물보다 약 100배정도 낮은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을 보였다. Glyceride 첨가제의 실험에서 Bacilius cereus와 Pseudomonas aerugines의 경우 0.1 $\mu$L/mL에서 생육이 저해된 것에 반해 Escherishia coli의 경우 15 $\mu$L/mL에 저해되어 E. coli가 이 항균제에 대하여 강한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반 시 glyceride 흔합항균제를 여러 농도별 (0.3%, 0.5%, 1%)로 첨가시킨 쌀밥을 72시간동안 저장하였을 때 총균수는 항균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밥에 E. coli를 접종하여 항균제 농도에 따른 생육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항균제 농도가 높을수록 강하게 생육을 억제하였다. 항균제가 쌀밥의 관능에 미치는 영향은 맛, 냄새, 입안에서의 조직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1% 첨가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0.5%의 첨가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antimicrobial activity between $\varepsilon$-polylysine/grapefruit seed extract mixture and $\varepsilon$-polylysine/glyceride mixture against food-borne pathogen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각각 강력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e-pol- ylysine과 grapefruit seed extract의 혼합물 및 e-polylysine 과 glyceride 혼합물의 식품부패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 색하고, 포장 쌀밥이나 김밥 등에 적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쌀밥에 응용하였을 때 처리 농도에 따른 쌀밥의 관능적인 변화 및 항균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 Final cell concentration for each bacterium was approximately 1x10° CFU/mL.
  • 1)Final cell concentration for each bacterium was approximately , 1 x 10* 2 3 * 5 CFU/mL.
  • 2)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 =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elander, I.M, Nurmiaho-Lassila, E.-L, Ahvenainen, R, Rhoades, J, Roller, S. Chitosan disrupts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outer membrane of Gram-negative bact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vol.71, no.2, 235-244.

  2. Sakanaka, Senji, Aizawa, Masami, Kim, Mujo, Yamamoto, Takehiko.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on Growth and Cellular Adherence of an Oral Bacterium,Porphyromonas gingivalis.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60, no.5, 745-749.

  3. Tirillini, Bruno. Grapefruit: the last decade acquisitions. Fitoterapia, vol.71, no.suppl1, S29-S37.

  4. 10.1263/jbb.93.274 

  5. 10.1263/jbb.91.190 

  6. Verhaegh, Els G.A., Marshall, Douglas L., Oh, Deog-Hwan. Effect of monolaurin and lactic acid on Listeria monocytogenes attached to catfish fillet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vol.29, no.2, 403-410.

  7. Opalchenova, G, Obreshkova, D. Comparative studies on the activity of basil—an essential oil from Ocimum basilicum L.—against multidrug resistant clinical isolates of the genera Staphylococcus, Enterococcus and Pseudomonas by using different test methods. Journal of microbiological methods, vol.54, no.1, 105-110.

  8. Chaibi, A, Ababouch, L.H, Belasri, K, Boucetta, S, Busta, F.F. Inhibition of germination and vegetative growth of Bacillus cereus T and Clostridium botulinum 62A spores by essential oils. Food microbiology, vol.14, no.2, 161-174.

  9. Medeiros, Jorge R., Campos, Lurdes B., Mendonça, Susana C., Davin, Laurence B., Lewis, Norman G..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from invasive species of the Azores, Hedychium gardnerianum and Pittosporum undulatum. Phytochemistry, vol.64, no.2, 561-565.

  10. 정동선, 이영경.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을 이용한 항충치 활성을 지닌 발효이온음료 개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1, no.3, 399-4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