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살수방식에 따른 재배용기내 Gas 조성 및 콩나물의 생육 변화
Growth of Soybean Sprouts and Concentration of $CO_2$ Produced in Culture Vessel Affected by Watering Method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49 no.3, 2004년, pp.167 - 171  

배경근 ((주)풀무원기술연구소) ,  남승우 ((주)풀무원기술연구소) ,  김경남 ((주)풀무원기술연구소) ,  황영현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콩나물 재배에서의 살수방법과 그에 따른 콩나물 생육형태와 수율변화를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다. 1. 살수방식에 따른 콩나물의 생육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왕복살수형, 용기담수형, 고정살수형 중 고정살수형 방식(재배통 상부에 하부타공된 고정형 물통설치에 의해 샤워형태로 살수)은 살수시 일시에 물을 샤워형식으로 쏟아내려 재배통 내부의 품온저하($22^{\circ}$ 유지), 내부 gas 배출, 유기물 제거 등의 효과가 탁월하여 콩나물 생육에 있어 몸통길이 13.3 cm로 다른 형식(15.2 cm, 15.9 cm)에 비해 짧았으나, 몸통두께(2.19 mm), 수율(535%)은 높게 나타나, 외관이 양호하고 부패가 억제되어 선도가 가장 잘 유지되었으며, 또한, 콩나물 재배시 필요한 용수량의 경우는 1회 살수량이 250∼300 L/통(원료콩 투입량 50 kg/통 기준)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고정살수형 방식은 내부 gas($\textrm{CO}_2$ 5% 이하)배출이 탁월하여 재배완료 후 콩나물의 색택향상 및 부분부패 방지효과 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었으며, 재배 6일차에 재배통 하부(바닥깔판으로부터 약 30 cm이내)의 $\textrm{CO}_2$ 농도는 4-6%, $\textrm{O}_2$ 농도는 13-14%이었다. 따라서 재배시 재배통내 적정 gas조건은 농도 10% 이상, $\textrm{CO}_2$ 농도 5% 이하로 유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살수방식에 따른 재배통내의 품온 변화에서도 고정살수형 방식(4일차, $20^{\circ}$)이 용기담수형 방식(4일차, $22^{\circ}$)보다 품온 억제가 양호하여 콩나물의 생육향상 및 부패 등을 방지하므로 건강한 콩나물 생산의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6%이었다.program should be prepared through the long-period of monitoring and experiment. System methods such as guidelines of management program through monitoring was also required due to the emphasis on public ownership among the managers of the invasive species. 보이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chlorella 향, 단맛, 신맛에 있어서도 비교적 우수한 평가를 받아 관능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올리고당의 첨가량은 20% 첨가시 후미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ts might or might not be for tobacco use. However, most of the cigarette companies self impose a list of ingredients to guide flavor suppliers to design flavors. Unfortunately, the number of ingredients in those lists is getting shorter every year.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health is not the only reason. Some cigarette companies are playing safe to protect the company from potential lawsuit, while others are just copying from their competitors. Moreover, it is obvious that it needs more assistance from casings and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of soybean sprout was greatly influenced by watering systems: Fixed watering system (water tub was loaded at ceiling upper of culture box and water was showered by bottom holes) was estimated the better than that of reciprocating watering and tub immersing watering because it could cool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콩나물 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물주기 방법에 의한 빌아력 향상과 품온저화, 재배통 내 호흡향상을 위한 gas억제 등을 표준화하여 콩나물의 부패발생 억제와 건강한 콩나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박원목. 1992. 콩나물 생성과정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대책. 콩나물에 대한 대토론회 발표 논문 초록집. 한국콩연구회. pp27-32 

  2. Kim, S. L., J. J. Hwang, Y. K. Son, J. Song, K. Y. Park, and K. S. Choi, 2000. Culture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clean soybean sprouts, I. Effect on growth of soybean sprouts under the temperature control of culture and water supply. Korea Soybean Digest. 17(1) : 69-75 

  3. Kim, S. L., J. Song, J. C. Song, J. J. Hwang, and H. S. Hur .2000. Culture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clean soybean sprouts, II. Effect on growth of soybean sprouts according to interval and quality of water supply. Korea Soybean Digest. 17(1) : 76-83. 

  4. Kim, K. H. 1981. Studies on grow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 Kor. J.Food Sci. Technol. 13(3): 247-252 

  5. Korea Bean Sprout Association. 1997. Researches of cultural condition on soybean sprouts, 1 : 8-17 

  6. Song, J., S. L. Kim, J. J. Hwang, Y. K. Son, J. C. Song, and H. S. Hur.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sprouts according to culture period. Korea Soybean Digest. 17(1) : 84-89 

  7. Probat, A. H. and R. W. Judd. 1973. Origin. U. S. history and development and world distribution. In Sobeans lrnprovenent, Productiom, and Uses Agronomy, 16 :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