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 저온젖산균에 대한 아디프산의 항균효과 및 물김치 저장성 연장효과
Effect of Adipic Acid on Growth of Psychrotrophic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Its Effect on Mulkimchi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5, 2004년, pp.857 - 863  

강경자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송혁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배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원) ,  정동효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찬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5종의 저온성 젖산균들에 대한 아디프산의 항균력을 조사하고, 아디프산의 첨가가 물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종의 김치에서 분리된 저온성 젖산균에 대하여 아디프산은 0.01%농도에서는 항균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0.1% 농도에서부터 저온성 김치 젖산균의 생육을 상당히 억제하였고,0.4%이상의 농도에서는 균의 생육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각 농도별 저온성 김치 젖산균에 대한 저해율은 0.01% 농도에서 10%, 0.2%농도에서는 약 40% 그리고 0.4% 농도에서는 90% 이상이었다. 각각의 김치 젖산균에 대한 생육저해는 0.01%, 0.05%, 0.1%의 농도에서 benzoic acid, sorbic acid, 아디프산의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으며, 0.5% 이상에서는 각 유기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아디프산 0.1%, 0.2%와 아디프산 0.1%와 ethyl alcohol 2%를 첨가시킨 세가지 물김치를 1$0^{\circ}C$에서 저장시 대조군에서 발효 4일 이후 pH가 크게 감소하여 발효 16일 이후 pH 4.0에 도달하였으나, 아디프산 등의 첨가군에서는 발효 25일 이후에도 pH가 4.3∼4.6의 값을 나타내었다. 25일간의 실험기간 중 12일까지는 아디프산과 ethyl alcohol을 첨가한 김치의 pH는 대조군 김치보다 낮았으며 나머지 기간 동안 일정하게 나타났다. 적정산도의 변화도 pH변화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대조군의 총균수는 발효초기에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발효후기 에는 pH의 저하로 그 수가 감소되었다. 아디프산의 첨가군에서는 총균수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0.1 % 아디프산과 2% ethyl alcohol이 첨가된 경우는 총균 수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젖산균의 수는 대조군에서 발효중기까지 그 수가 증가되었으나 발효후기에 감소하였으며, 첨가군에서는 젖산균의 수가 천천히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아디프산과 ethyl alcohol의 첨가로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adipic acid on the growth of psychrotrophic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on the fermentatation of mulkimchi were investigated. Four Leuconostoc and one Lactobacillus species were isolated from kinnchi fermented for 50 days at 6$^{\circ}C$. The growth inhibition rate of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김 치 에서 분리 한 5종의 저 온성 젖산균들에 대한 아디프산의 항균력을 조사하고, 아디프산의 첨가가 물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종의 김치에서 분리된 저온성 젖산균에 대하여 아디프산은 0.
  •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보존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유기산의 일종인 아디프산의 이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온 숙성김치에서 직접 분리한 젖산균에 대한 아디프산의 항균력을 농도별로 조사하였다.
  • 그리고 에탄올과 유기산의 병용시 낮은 유기산 처 리농도에서도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낸다고 발표하였다. 이 같은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산미도가 낮은 저농도에서의 아디프산의 항균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에탄올과의 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아디 프산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fermenta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203. 

  2. Moon KD, Byun JA, Kim SJ, Han DS. 1995.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57-263. 

  3. Mheen TI, Kwa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4. Cha BS, Kim WJ, Byun MW, Kwan JH, Cho HO. 1989. Evaluation of gamma irradiation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09-119. 

  5. Ahn SJ. 1985. The effect of sorbic acid on the kimchi fermentation and stability of ascorbic acid. Korean J Soc Food Sci 1: 18-26. 

  6. Kim SD. 1985. Effect of pH adjuster on the fermentation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14: 259-264. 

  7. Park KJ, Woo SJ. 1988. Effect of Na-acetate, Na-malate and K-sorbate on the pH, acidity and sournes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0-44. 

  8. Yoon SI, Park KD, Kim YC, Lim YH, Lee C. 1990. The method of preservation extension of some kinds of kimchi include Chinese pepper extract. Patent report 1766. 

  9. Kim KO, Moon HA, Jeon DW. 1995. The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s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20-427. 

  10. Yi JH, Rhee HS. 1992. Effect of on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8: 27-30. 

  11. Rhie SG, Chun SK. 1982.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n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Nutrition Food 11: 63-66. 

  12. Cho Y, Rh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 Korean J Soc Food Sci 7: 15-25. 

  13. Cho Y, Rhee HS. 1995.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I). Korean J Soc Food Sci 7: 89-95. 

  14. So MH, Kim YB. 1995. Identification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95-505. 

  15. Choi JA, Lee C, Son TI, Kim YB, Chung DH. 1999. Effect of soluble chitosan on the growth of psychrotrophic kimchi lactic acid bacteria. Food Sci Biotechnol 8: 149-155. 

  16. James G.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rganic acids and ethanol on several food born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15-1323. 

  17. Yamamoto Y, Higashi K, Yashii H. 1984.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on food spoilage bacteria. J Jap Soci for Food Sci and Technol 31: 531-535 

  18. Yamamoto Y, Karube N, Higashi K, Yoshii H. 1987. Inhibitory activity of adipic acid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J Jap Soci for Food Sci and Technol 43: 88-93. 

  19. An DJ, Lew K, Lee KP. 1999. Effects of adipic acid and storage temperature on extending the shelf life of kimchi. Food Sci Biotechnol 8: 78-82. 

  20. Matsuda T, Yano T, Maruyama A, Kumagai H. 1994.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rganic acids determined b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at different pH ranged from 4.0 to 7.0. J Jap Soci for Food Sci and Technol 41: 687-701. 

  21. Chung DK, Yu R.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leaves extract on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35-1038. 

  22. Kim HS, Jun JK. 1966. The study of kinetic change of bacterium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Automic Energy Paper Collection 112: 6-8. 

  23. Ha DM. 1994. The development of fermentation and inhibition of acidification about kimchi. In The science on kimchi.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 43-45. 

  24. Yamamoto Y, Misawa Y, Higashi K, Yoshii H. 1989. Preservation of starch foods by adipic acid. J Jap Soci for Food Sci and Technol 36: 6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