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즙산 분해능이 뛰어난 젖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Bacteria Containing Superior Activity of the Bile Salts Deconjug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4 no.2, 2004년, pp.164 - 170  

하철규 (한양대학교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과) ,  조진국 (국립한경대학교 낙농과학과) ,  채영규 (한양대학교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과) ,  허강칠 (국립한경대학교 낙농과학과, (주) 빅바이오젠)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한 성인의 분변으로부터 담즙산 분해능이 우수한 젖산균의 분리를 위하여 무작위 선별법과 도말법을 사용하여 층 120주의 젖산균을 1차 분리하였고, 그중 5종의 젖산균을 최종 선발하였다. 유용한 젖산균이 갖추어야할 중요한 성질인 내산성, 내담즙산성, 대장균 저해능을 시험한 결과 Lactobacillus sp. CK 102이 가장 우수한 균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sp. CK 102 균주는 pH 2.0에서 68% 이상의 내성과 1.0% 담즙산이 함유된 배지에서 90%이상의 내성을 나타냈으며 MRS 배지에서 대장균과 혼합 배양시 18시간 이내에 대장균을 100% 사멸시켰다. 젖산균제로써 기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인 Lactobacillus sp. CK 102를 API kit와 16S rRNA sequencing 방법을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tarum 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 CK 102는 생균제로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solate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B) that produced bile salts hydrolase. One hundred twenty strains were initially isolated from human feces. Based on their resistance of acid, tolerances of bile salts,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fiv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분변에서 담즙산 분해능이 띄어난 젖산균을 분리하고, 이 젖산균의 혈중 콜레스테롤의 서하효과에 관한 기초 지식을 얻고자, 젖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대장균성 등 균주특성을 조사하여 활성이 높은 군주를 선별하고, 동정하였다.
  • , 199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젖산균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다양한 pH(pH 2.0~5.0)에서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Table 2). 이상으로 pH 4에서는 모든 유산균주들이 약 94% 이상으로생존하였으나, pH가 낮아짐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Y. T. and Kim, H. U. (1999) Bile salts deconjug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ound in the feces of normal Korea adults in fermented milk products. Kor. J. Anim. Sci. 41, 183-192 

  2. Booth, I. R (1985) Regulation of cytoplasmic pH in bacteria. Microbiol. Rev. 49, 359-378 

  3. Chen, Z., Herdt, T. H., Liesman, J. S., Ames, N. K., and Emery, R. S. (1995) Reduction of bovine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by partial interruption of enterohepatic circu-lation of bile salts: a novel hypocholesterolemic model. J. Lipid Res. 36, 1544-1556 

  4. Dashkeviez, M. P. and Feighner, S. D. (1989) Development of a differential medium for bile salt hydrolase-active Lactobacillus sp.. Appl. Environ. Microbiol. 55, 11-16 

  5. De Roadas, B. Z., Gilliand, S. E., and Maxwell, C. V. (1996) Hypocholesterolemic ac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121 and calcium in swine with hypercho-lesterolemia induced by diety. J. Dairy Sci. 79, 2121-2128 

  6. Driessen, F. M. and De Boer, R. (1989) Fermented milks with selected intestinal bacteria: a healthy trend in new products. Neth. Milk Dairy J. 43, 367-382 

  7. Elliot, W. H. (1985) Metabolism of bile acid in liver and extrhepatic tissues. In Sterols and Bile Acids, 12, DanieIsson, H. and Sjovall, J.(e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 V., pp. 303-343 

  8. Fernades, C. F., Chandan, R. C., and Shahani, K. M. (1992) Fermented dairy products and health In: the Lactic acid Bacteria, Volume 1, Wood, B. J. B.(ed.), London, New York: ELSEVlA Applied Science, pp. 297-342 

  9. Fernandes, C. F., Shahani, K. M., and Amer, M. A. (1987) Therapeutic role of dietary lactobacilli fermented dairy products. FEMS. 46, 343-356 

  10. Gilliland, S. E. (1979) Benefic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certain Microorganisms and Humans: Candidate microor-ganisms for use as dietary adjuncts. J. Food Prot. 42, 164-167 

  11. Gilliand, S. E. and Speck, M. L. (1977) Deconjugation of bile acids by intestinal lactobacilli. Appl. Environ. Microbiol. 33, 15-18 

  12. Goldin, B. R. and Gorbach, S. L. (1984) The effect of milk and Lactobacillus feeding on human intestinal bacterial enzyme activity. Am. J. Clin. Nutr. 39, 756-761 

  13. Gourama, H. and Bullerman, L. B. (1995) Inhibition of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us flavus by Lactobacillus species. J. Food Prot. 58, 1249-1256 

  14. Hepner, G., Friend. R., St. Jeor, S., Fusetti, L., and Morin, R. (1979)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yogurt and milk. Am. J. Clin. Nutr. 32, 19-24 

  15. Hofmann, A. F. (1988) Bile Acids. In The Liver Biology and Pathobiology, Arias, I. M., Jakoby, W. B., Popper, K., Schachter, D., and Shafritz, D. A.(eds.), 2nd ed., Raven Press, NY, pp. 553-572 

  16. Hofmann, A. F. and Mysels, K. J. (1992) Bile acid solubility and precipitation in vitro and in vivo: the role of conjugation, pH, and $Ca^{2+}$ ions. J. Lipid Res. 33, 617-626 

  17. Huttumen, E. K., Noro, K., and Yang, Z. (1995)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produced by two Lactobacillus casei strains. Int. Dairy J. 5, 503-513 

  18. Hylemon, P. B. (1985) Metabolism of bile acids in intestinal micro flora. In Sterols and Bile Acids, 12, 331-334 

  19. Kim, J. H., Oh, M. K., Rhee, Y. H., Lee. Y. K., and Shin. S. Y. (1999) Selec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which had cholesterol lowering activities.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83-90 

  20. Klaver, F. A. M. and van der Meer, R. (1993) The assumed assimilation of cholesterol by Lactobacillus and Bijidobac-terium bijidum is due to their bile salt-deconjugation activity. Appl. Environ. Microbiol. 59, 1120-1124 

  21. Lee, J. Y., Hwang, K. Y., Kim, K., and Sung, S. I. (200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gastro-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of domestic animal. Kor. J. Microbiol. Biotechnol., 30, 129-134 

  22. Lidbeck, G. J. and Nord, C. E. (1987) Impac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the normal intestinal flora after administration of two antibiotic agents. Irifection 16, 329-335 

  23. Lofller, F. E., Sun, Q., Li, J., and Tiedje, J. (2000) 16S rRNA gene-base dedection of tetrachoroethene-dechlorinating desulfuromonase and dehaloccoides species. Appl. Enviroron. Microbiol. 66, 1369-1374 

  24. Macdonald, I. A, Bokkeheuser, V. D., Wmter, J., McLer non, A. M., and Mosbach, E. H. (1983) Degradation of steroids in the human gut. J. Lipid Res. 24, 675-700 

  25. McDonald, L. C., Fleming, H. P., and Hassan, H. M. (1990) Acid tolerance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casei. Appl. Environ. Microbiol. 53, 2124-2128 

  26. Park, C. J., Pyeon, J. S., Cho, Y. K., Hong, S. S., and Lee, H. S. (1996) Characteristics of Enterococcus sp. isolated from animal intesting and its powder. Kor. J. Appl. Microbiol. Bitechnol. 24, 393-398 

  27. SAS (1989)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Cary, NC 

  28. Suzuki, Y. and Kaizu, H. (1991) Effect of cultured milk on serum cholesterol consentration in rats which were fed highcholesterol diets. Anim Sci. Technol. 62, 565-576 

  29. Turley, S. D. and Dietschy, J. M. (1988) The metabolism and exxretion of cholesterol by the liver. In I. M. Arias. 617-641 

  30. Williams and Wilkins (1986)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ume 2. Waverly press, Baltimore, U. S. A. 

  31. Wood, B. J. B. (1992) The lactic acid bacteria in health and disease. Elsevier Science Publishers. U.K. Vii-X 

  32. 조성근, 강호조, 김용환, 1984. Lactobacillus 균속이 설사자돈에서 유래산 병원 성장내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부설 축산진흥연구소보 11, 73-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