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발효식품 유래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연구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Traditional Fermented Food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9 no.6 = no.230, 2019년, pp.697 - 704  

김은지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조승화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김진경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정도연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유산균 200여종에 대하여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확인하였다. 내담즙성 및 내산성이 높게 측정된 유산균 4종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유산균은 Lb. plantarum SRCM102224, Lb. plantarum SRCM102227, Lb. paracasei SRCM102329, Lb. paracasei SRCM102343이다. 항균활성, 내산성, 내담즙성, 용혈성, 세포표면 소수성, 장내 세포 부착성, 항생제 내성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유산균 4종 중 SRCM102343은 세포표면 소수성이 95.9%로 대조구 Lb. rhamnosus GG는 13.4%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4종의 유산균의 장내상피세포 caco-2에 대한 부착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RCM102343와 SRCM102329의 Lb. rhamnosus GG보다 부착율이 높았다. 선발된 유산균 4종에 대하여 항균활성 조사 결과, 그 중 3종이 Escherichia coli ATCC 10798,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593, Listeria invanovii KCTC3444, Bacillus cereus ATCC11778 및 S. enterica serovar. Typhi KCTC1926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뛰어났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선발된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의 가능성으로 기능성식품에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200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Based on being higher tolerance to bile salts and showing higher acid resistance, 4 LAB Strains were selected in the screening experiment; Lactobacillus planta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특성들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며, 같은 종에 속한 미생물의 경우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성이 확보 및 기능성을 가진 잠재적인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지닌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전통발효식품로부터 유산균을 선발하였으며, 용혈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 항균 활성, 항생제에 대한 내성 그리고 장내 상피세포 부착능 등의 특성을 분석 하여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바이오틱스가 인체에서 정장작용 및 여러 생리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특히,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현대인의 비만, 당뇨, 고혈압, 아토피 등과 같은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소비자의 관심이 급증하는 추세로 국내 시장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3, 9]. 프로바이오틱스가 인체에서 정장작용 및 여러 생리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위산과 담즙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생존력, 대장상피세포에 대한 높은 부착능 등의 조건을 갖춰야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균력, 콜레스테롤 저하능 등의 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들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며, 같은 종에 속한 미생물의 경우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3].
유산균은 일반적으로 어떤 균종을 포함하고 있는가? 유산균은 일반적으로 Lactobacillus 속, Pediococcus 속, Leuconostoc 속 등의 균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기산(젖산, 아세트산 등), 저급지방산, hydrogen peroxide, 그리고 bacteriocin과 같은 항균물질 등 다양한 대사물질을 생산하여 부패세균의 생육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32], 또한 정장 작용, 면역 조절, 항암 및 항돌연변이 효과, 콜레스테롤 저하, 항알레르기 효과, 유당불내증 완화 등의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이 알려 있다[5, 19, 29].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나타난 어떤 질병에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들은 각종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및 사료첨가제 등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현대인의 비만, 당뇨, 고혈압, 아토피 등과 같은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소비자의 관심이 급증하는 추세로 국내 시장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3, 9]. 프로바이오틱스가 인체에서 정장작용 및 여러 생리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위산과 담즙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생존력, 대장상피세포에 대한 높은 부착능 등의 조건을 갖춰야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균력, 콜레스테롤 저하능 등의 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desokan, I. A., Odetoyinbo, B. B. and Olubamiwa, A. O. 2008. Biopreservative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on suya produced from poultry meat. Afr. J. Biotechnol. 7, 3799-3803. 

  2. Bar-Ness, R., Avrabamy, N., Matsuyama, T. and Rosenberg, M. 1988. Increased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a Serraia marcescens NS 38 mutant lacking wetting activity. J. Bacteriol. 170, 4361-436. 

  3. Chon, J. W., Kim, D. H., Kim, H. S., Kim, H. S., Hwang, D. G., Song, K. Y., Yim, J. H., Choi, D. S., Lim, J. S. and Seo, K. H. 2014. Effect of probiotics on risk factors for human disease: A review. Kor. J. Dairy Sci. Technol. 32, 17-29. 

  4.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06. Methods for Antimicrobial Dilution and Disk Susceptibility Testing of Infrequently Isolated or Fastidious Bacteria: Approved Guideline M45-A.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6. 

  5. Diep, D. B., Godager, L., Brede, D. and Nes, I. F. 2006. Data minig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pediocin-like bacteriocin system from the genome of Pediococcus pentosaceus ATCC 25745. Microbiology 152, 1649-1659. 

  6. Donohue, D. C. and Salminen, S. 1996. Safety of probiotic bacteria. Asia Pac. J. Clin. Nutr. 5, 25-28. 

  7. Doyle, R. J. and Rosenberg, M. 1995. Measurement of microbial adhesion to hydrophobic substrata. Methods Enzymol. 253, 532-550. 

  8. Dunne, C. L., O'Mahoney, L., Murphy, L., Thornton, D., Morrissey, D., O'Halloran, S., Feeney, M., Flynn, S., Fitzgerald, G., Daly, C., Kiely, B., O'Sullivan, G. C., Shanahan, F. and Collins, J. K. 2001. In vitro selection criteria for probiotic bacteria of human origin: correlation with in vivo findings. Am. J. Clin. Nutr. 73, 386S-392S. 

  9. Eor, J, Y,, Park, M. H. and Kim, S. H. 2015. Prevention of obesity and type 2 diabetes by using probiotics. J. Milk Sci. Biotechnol. 33, 231-235. 

  10. Fernadez, M. F., Boris, S. and Barbes, C. 2003. Probiotic properties of human Lactobacilli strains to be us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J. Appl. Microbiol. 94, 449-455. 

  11. Gilliland, S. E. and Speck, M. L. 1977. Deconjugation of bile acids by intestinal Lactobacilli. Appl. Environ. Microbiol. 33, 15-18. 

  12. Gueimonde, M. and Salminen, S. 2006. New methods for selecting and evaluating probiotics. Dig. Liver Dis. 38, S242-S247. 

  13. Hazen, K. C., Lay, J. G., Hazen, B. W., Fu, R. C. and Murthy, S. 1990. Partial biochemical charaterization of cell surface hydrophobicity and hydrophilicity of Candida albicans. Infect. Immun. 58, 3469-3476. 

  14. Jonganurakkun, B., Wang, Q., Xu, S. H., Tada, Y., Minamida, K., Yasokawa, D., Sugi, M., Hara, H. and Asano, K. 2008. Pediococcus pentosaceus NB-17 for probiotic use. J. Biosci. Bioeng. 106, 69-73. 

  15. Kim, Y. M., Park, U. K., Mok, J. S. and Chang, D. S. 1995.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YM-7. Kor. Fish Aquatic Sci. 28, 443-450. 

  16. Kos, B., Suskoviae, J., Vukoviae, S., Simpraga, M., Frece, J. and Matosiae, S. 2003. Adhesion and aggregation ability of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acidophilus M92. J. Appl. Microbiol. 94, 981-987. 

  17. Lim, K. S. and Huh, C. S. 2006. Adhesion of bifidobacteria to Caco-2 cells and in relation to cell surface hydrophobicity. Kor. J. Food Sci. Anim. Resour. 26, 497-502. 

  18. Maria, G. V. P., Franz, C . M., Schillinger, U. and Holzapfel, W. H. 2006. Lactobacillus spp. with i n vitro probiotic properties from human faeces and traditional fermented products. Int. J. Food Microbiol. 109, 205-214. 

  19. Mathara, J. M., Schillinger, U., Guigas, C., Franz, C., Kutima, P. M. and Mbugua, S. K., et al. 2008.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spp. from traditional Maasai fermented milk products in Kenya. Int. J. Food Microbiol. 126, 57-64. 

  20. Mishra, V. and Prasad, D. N. 2005. Application of in vitro methods for selection of Lactobacillus casei strains as potential probiotics. Int. J. Food Microbiol. 103, 109-115. 

  21. Obadina, A. O., Oyewole, O. B., Sanni, L. O. and Tomlins, K. I. 2006. Bio-preservative activities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n fermenting Casssava 'fufu'. Afr. J. Biotechnol. 5, 620-623. 

  22. Ouwehand, A. C., Salminen, S. and Isolauri, E. 2002. Probiotics: an overview of beneficial effects. Antonie van Leeuwenhoek 82, 279-289. 

  23. Puttalingamma, V., Begum, K. and Bawa, A. S. 2006. Anti microbial peptides-new weapons against enteric pathogens. Pak. J. Nutr. 5, 432-435. 

  24. Radulovic, Z., Miocinovic, J., Mirkovic, N., Mirkovic, M., Paunovic, D., Ivanovic, M. and Seratlic, S. 2017. Survival of spray dried and free-cells of potential probiotic Lacto bacillus plantarum 564 in soft goat cheese. Anim. Sci. J. 88, 1849-1854. 

  25. Ramos, C. L., Thorsen, L., Schwan, R. F. and Jespersen, L. 2013. Strain-specific probiotics properties of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brevis isolates from Brazilian food products. Food Microbiol. 36, 22-29. 

  26. Rim, E. J., Monia, E. B., Pilar, C. M., Karola, B., Inmaculada, C. F. N., Jorge, B. V. and Balkiss, B. Z. 2015. In vitro probiotic profiling of novel Enterococcus faeci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from Tunisian freshwater fishes. Can. J. Microbiol. 62, 60-71. 

  27. Sahadeva, R. P. K., Leong, S. F., Chua, K. H., Tan, C. H., Chan, H. Y., Tong, E. V., Wong, S. Y. W. and Chan, H. K. 2011. Survival of commercial probiotic strains to pH and bile. Int. Food Res. J. 18, 1515-1522. 

  28. Sybesma, W., Hugenholtz, J., de Vos, W. M. and Smid, E. J. 2006 Safe use of genetically modified lactic acid bacteria in food, bridging the gap between consumers, green groups, and industry. Electron. J. Biotechnol. 9, 424-448. 

  29. Tagg, J. R., Dajani, A. S. and Wannamake, L. W. 1976. Bacteriocins of gram-positive bacteria. Bacteriol. Rev. 40, 722-756. 

  30. Tulumoglu, S., Yuksekdag, Z. N., Beyatli, Y., Simek, O., Cinar, B. and Yasar, E. 2013.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i species isolated from children's feces. Anaerobe 24, 36-42. 

  31. Yang, H. J., Jung, S. J., Jung, S. Y., Ryu, M. S. and Jung, D. Y. 2018. Isolation of biogenic amine non-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SBB07 and its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J. Life Sci. 28, 68-77. 

  32. Wasilewski, A., Zielinska, M., Storr, M. and Fichna, J. 2015. Beneficial effects of probiotics, prebiotics, synbiotics, and psychobiotic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flamm. Bowel Dis. 21, 1674-16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