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즉석조리식품에서의 Bacillus cereus오염실태조사 및 생육 pattern 분석
Isolation and Growth Pattern of Bacillus cereus from Ready-to-Eat Food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4 no.4 = no.65, 2004년, pp.664 - 669  

김순한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김미경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 ,  강민철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 ,  손영욱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 ,  이창희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 ,  김인복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 ,  이영자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 ,  최수영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민 다소비 식품인 생선회, 패류 등의 횟감류 118건, 김밥, 햄버거 등의 도시락류 82건 및 기타 ready-to-eat(RTE) 식품 40건, 총 240건을 대상으로 Bacillus cereus의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횟감류 16건(13.6%), 도시락류 17건(20.7%), 기타 RTE 식품에서 3건(7.5%), 총 36건(15.0%)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다. B. cereus의 검출은 polymyxin B를 첨가한 TSB배지를 사용한 증균배양 후, MYP agar에서 전형적인 집락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균주들을 대상으로 그람염색, oxidase test, 혈액한천배지에서의 rhizoid growth, $\beta$-용혈성 유ㆍ무등을 통해 추정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API 50CHB/20E system을 통한 생화학적 분석과 motility시험 등을 행하여 최종적으로 B. cereus로서 동정ㆍ확인하였다. 확인된 36균주 중 28균주(77.8%)가 BCET-RPLA 시험을 통해 BHI broth에서 설사형 독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 분리균들은 ampicillin (100%), penicillin G (100%) 및 rifampicin (69.5%)에 내성을 보였으며, gentamicin (100%), vancomycin (100%), bacitracin (86.1%), chloram-phenicol (97.2%), erythromycin (69.4%), kanamycin (86.1%) 및 streptomycin (97.2%)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B. cereus의 생육은 온도와 시간에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는데, 냉장온도인 1$0^{\circ}C$이하에서는 균의 생육이 상당히 저해된 반면, 2$0^{\circ}C$ 및 3$0^{\circ}C$에 보관시에는 급격한 증식을 보여 기온이 상승하는 하절기에 특히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tamination of Bacillus cereus was investigated in 240 RTE (ready-to-eat) food samples including 118 seafoods, 82 Korean packaged meals and 40 other RTE foods. Many B. cereus presumptive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enrichment culture in Tryptic Soy Broth (TSB) added polymyxin, followed b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세레우스식중독의 발생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식품 중 특히 국민 다소비 식품이며 B. cereus의 오염가능성이 높은 생선회, 패류 등의 횟감류와 김밥, 햄버거 등의 도시락류 및 기타 ready-to-eat (RTE) 식품들을 대상으로 B. cereusS]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세레우스 식중독발생예방에 활용하고자 분리균에 대한 독소생성능과 온도 및시간에 따른 생육 pattern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Fig. 2. Isolation rates of B. cereus with variable seasonal temperature. 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sh, C. and M. D. Collins. 1992. Comparative analysis of 23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of Bacillus anthracis and emetic Bacillus cereus determined by PCR-direct sequencing. FEMS Microbiol. Lett. 94, 75-80 

  2. Ash, C., J. A. Farrow, M. Dorsch, E. Steckerbrandt and M. D. Collins. 1991. Comparative analysis of Bacillus anthracis, Bacillus cereus and related species on the basis of reverse transcriptase sequencing of 16S rRNA. Int. J. Syst. Bacteriol. 41, 343-346 

  3. Claus, D. and R. C. W. Berkeley. 1986. Genus Bacillus Cohn 1986, pp. 1195-1139. In P. H. A. Sneath (ed.),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 Williams & Wilkins Co., Baltimore 

  4. Fang, T. J., Q. K. Wei, C. W. Liao, M. J. Hung and T. H. Wang. 2003. Microbiological quality of 18 $\circ$ C ready-to-eat food product sold in Taiwan. Int. J. Food. Microbiol. 80, 241-250 

  5. Finlay, W. J. J., N. A. Logan and A. D. Sutherland. 2002. Bacillus cereus emetic toxin production in cooked rice. Food Microbiol. 19, 431-439 

  6. Granum, P. E. 1994. Bacillus cereus and its toxins. J. Appl. Bacteriol. 76 (Suppl.), 61S-66S 

  7. Granum, P. E. 1997. Bacillus cereus, pp. 327-336, In Doyle, M. P., L. R. Beuchat and T. J. Montville (eds.), Food Microbiology, Fundamentals and Frontiers, ASM Press, Washington, DC 

  8. Johnson, K. M. 1984. Bacillus cereus foodborne illness -an update. J. Food Prot. 47, 145-153 

  9. Johnson, K. M., C. L. Nelson and F. F. Busta. 1982. Germination and heat resistance of Bacillus cereus spores from strains associated with diarrhoeal and emetic food-borne illnesses. J. Food Sci. 47, 1268-1271 

  10. Kaneko, J., R. Nozaki and R. Aizawa. 1978. Deoxynucleic acid relatedness between Bacillus anthracis, B,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Microbiol. Immunol. 22, 639-641 

  11. Kim, S. S., Y. H. Park, J. S. Lee, J. H. Yoon, Y. K. Shin, I. K. Rhee and Y. J. Kim. 1998. Taxonomic studies of the beta hemolysis-causing pathogen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sea water. J. Microbiol. Biotechnol. 8, 67-73 

  12.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1991.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disk susceptibility test. ed 4. M2-M4. NCCLS. Villanova, Pa. Order from NCCLS. 771 East Lancaster Ave., Villanova, PA 19085 

  13. Sarrjas, J. A. M. Valero and M. C. Salmer $\'o$ n. 2002. Enumeratio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strains from Spanish raw rice. Food Microbiol. 19, 589-595 

  14. Seki, T., C. Chang, H. Mikami and Y. Oshima. 1978. Deoxyribonucleic acid homology and taxonomy of the genus Bacillus. Int. J. Syst. Bacteriol. 28, 182-189 

  15. Somerville, H. J. and M. L. Jones. 1972. DNA competition studies within the Bacillus cereus group of bacilli. J. Gen. Microbiol. 73, 257-265 

  16. Valero, M., L. A. Hern $\'a$ ndez-Herrero, P. S. Fern $\'a$ ndez and M. C. Salmer $\'o$ n. 2002.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s from fresh vegetables and refrigerated minimally processed foods by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Food Microbiol. 19, 491-499 

  17. Woo G. J., D. H. Lee, J. S. Park, Y. S. Kang and C. M. Kim. 2002.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outbreaks and food safety control. Food. Ind. Nutr. 7, 17-21 

  18. Yokoyama, K., M. Ito, N. Agata, M. Isobe, K. Shibayama, T. Horii and M. Ohta. 1999. Pathological effect of cereulide, an emetic toxin of Bacillus cereus, is reversible in mice. FEMS Immunol. Med. Microbiol. 24, 115-120 

  19. 박종현. 2002. 복합조리식품 제조공정상의 미생물학적 위해관리. 식중독 저감화사업 연구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청. pp. 235-305 

  20. 박종현. 2003. 어패류에서의 식중독발생 감소를 위한 위해관리지침 작성. 식중독저감화사업 연구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청. pp. 325-408 

  21. 신일식. 2003. 생식 중 자연환경 유래 위해 미생물 저감화 방법에 관한 연구. 식중독저감화사업 연구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청. pp. 465-513 

  22. 오상석. 2003. 외국의 미생물 기준규격 운영,관리 및 식중독 통계자료 조사. 식중독저감화사업 연구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청. pp. 73-2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