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식에서 Bacillus cereus의 분리 및 특성 조사와 열에 대한 사멸률 연구
Surviv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Sunshik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3 no.4, 2008년, pp.343 - 347  

조용선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타) ,  정은영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타) ,  이명기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단) ,  양철영 (을지대학교 식품과학부 건강식품과학) ,  신동빈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식사대용으로 각광을 받는 선식은 포장 후 더 이상 가열 처리 과정 없이 섭취하는 식품으로 포자를 형성하여 열처리 과정에서 완전히 사멸되지 않으며 생존하는 B. cereus에 의한 위해성이 문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선식에 대한 B. cereus정량을 통해 오염 수준을 파악한 결과 선식 161점 중 57점 (35.4%)에서 B. cereur가 검출되었고 검출된 시료 57점 중에 100 FU/g 미만은 21점, 100-1000 CFU/g 미만은 33점, 1,000 CFU/g 이상은 3점이 검출되었다. 선식에서 분리한 B. cereus의 생화학적 특성을 통해 독소 형태를 알아본 결과는 enterotoxin 양성이 93%이며 emetic toxin 의심 균주는 5.3%였다. 이러한 B. cereus의 저감화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선식의 제조 과정에서 B. cereus의 열처리 과정에 대한 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tryptic soy broth에 포자를 접종한 결과는 75, 80, 85, 90에서 40.3분, 8.8분, 3.3분, 1.1분이였다. 용질에 따라 수분 활성도가 낮아지면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지므로 선식에 시료에 대한 D-value를 시험한 결과 $75^{\circ}C$, $80^{\circ}C$, $85^{\circ}C$, $90^{\circ}C$에서 37.1분, 22.5분, 4.9분, 3.1분이였다. Z-value는 tryptic soy broth에서는 $9.8^{\circ}C$이며 선식 시료에서는 $12.8^{\circ}C$였다. 따라서 선식에서 B. cereis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Sunshik has been issued because of easy-cook and well-being food. Sunshik basically was made of the heated cereals. Amount of spore-forming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nd it has been caused some problem of food safety. B. cereus was isolate from 57 out of 161 Sunshik samples resulting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erez/s의 효율적인 관리 및 저감화를 위한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라고 사료된다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선식을 수거하여 제품 중의 B. cerens를 정 량함으로서 오염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선식에서 분리한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독소 형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저감화를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선식의 제조 과정에서 B.
  • 선식에서 분리한 B. cerez/s의 생화학적 특성을 통해서 독소 형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Table 2와 같이 BCET- RPLA를 이용하여 enterotoxiii을 시험한 결과 총 57점 중 42점 에서 양성 (9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er Einar, G., Terje, L. :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ol. Lett., 157, 223-228 (1997) 

  2. Ham, H.J. and Kim, M.S. : Bacillus spp.& B. cereus isolated in dried marine products. J. Fd. Hyg. Safety., 21, 159-163 (2006) 

  3. Anwarul, H., Nicholas, J.R. : Phenotypic and genotypic characteris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s Bangladeshi rice. Int. J. Food Microbiol., 98, 23-34 (2005) 

  4. Valero, M., Hernandez-Herrero, L.A., Fernandez, P.S. and Salmeron, M.C. :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s from fresh vegetables and refrigerated minimally processed foods by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Int. J. Food Microbiol., 19, 491-499 (2002) 

  5. Per, E.G. and Terje, L. :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ol. lett., 157, 223-228 (1997) 

  6. Valero, M., Hernandez-Herrero, L.A. and Giner, M.J. : Surviv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sychrotrophic Bacillus cereus strain from a mayonnaise-based ready-to-eat vegetable salad. Int. J. Food Microbiol., 24, 671-677 (2007) 

  7. Kim Y.S., Ahn Y.S., Jeong D.Y. and Shin D.H. :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Fermented Red Pepper- Soybean Paste(Kochujang) and Its Heat Resistance. Food Sci. Biotechnol., 17, 123-129 (2008) 

  8. Margarita M., Sidonia M., Mercedes L., Ana B.A. and Roberto M. : Thermal inactivation Bacillus cereus spores affected by the solutes used to control water activity of the heating medium. Int. J. Food Microbiol., 53, 61-67 (1999) 

  9.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결과 보고서, 선식 등 기타곡류가 공품 중 유해세균 오염실태 조사 (2006) 

  10.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제 10 일반시험법 8. 미생물시험법 (2008) 

  11. Sarrias, J.A., Valero, M. and Salmeron, M.C. : Enumeratio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strains from Spanish raw rice. Food Microbiol., 19, 589-595 (2002) 

  12. Douglas, J.B., Amy, C., and Lee, W. : Identification of hemolysin BL-producing Bacillus cereus isolates by a discontinuous hemolytic pattern in blood agar. Appl. Environ. Microbiol., 60, 1646-1651 (1994) 

  13. Park, J.H. : Microbial risk analysis of principle food material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3) 

  14. 조준일, 박용춘, 고수일, 정지연, 이선미, 조수열, 이광호, 임철주, 김옥희 : 시판생식의 위해미생물 오염도 조사. J. Fd. Hyg. Safety., 23, 257-263 (2008) 

  15. Valero, M., Hernadez-Herrero, L.A., Fernadez, P.S. and Salmeron, M.C. :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ues isolates from fresh vegetables and refrigerated minimally processed foods by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Food Microbiol., 19, 491-499 (2002) 

  16. Pirhonen, T. I., Andersson, M.A., Jaaskelainen, E.L., Salkinoja- Salonen, M.S., Honkanen-Buzalski, T. and Johansson, T.M. : Biochemical and toxic diversity of Bacillus cereus in a pasta and meat dish associated with a food-poisoning case. Int. J. Food Microbiol., 22, 87-91 (2005) 

  17. Suwicha, T., Amy, C., Lee, W. and Watanalai, P., : Phenotypic and genotypic comparisons reveal a broad distribution and heterogeneity of hemolysin BL genes among Bacillus cereus isolates. Int. J. Food Microbiol., 105, 203-212 (2005) 

  18. Johnson, K.M., Nelson, C.L. and Busta, F.F. : Germination and heat resistance of Bacillus cereus spores associated with diarrheal and emetic food-borne illness. J. Food Sci., 47, 1268-1271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