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젓갈 및 키토산을 첨가한 양파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nion Kimchi Prepared with Jeot-kal and Chitosan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0 no.4, 2004년, pp.358 - 364  

박복희 (목포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 ,  조희숙 (목포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전) ,  오봉윤 (목포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파로 김치를 담그기 위해 고춧가루, 찹쌀 풀, 볶은 참깨 등의 부재료에 토하액젓, 멸치액젓, 그리고 5% 수용성 키토산을 각각 첨가하여 4$\pm$1$^{\circ}C$에서 42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경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염도는 숙성기간 중 2.7∼3.6%이고, pH는 초기 5.3∼5.8에서 숙성 7일까지 빠르게 감소하였고, 21일째에 4.0∼4.3으로 김치 맛이 가장 좋은 최적치를 나타냈으며, 42일 동안 완만히 감소하여 3.2∼3.5까지 내려갔다. pH 감소는 대조군, 토하액젓 첨가군, 멸치액젓 첨가군 그리고 5% 수용성 키토산 첨가군 순으로 낮았다. 총 산도는 초기 0.40∼0.60%였으며 발효 14일째 0.65∼0.90%로 서서히 증가했고, 숙성 42일까지 계속 1.03∼l.33%로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초기 2.4∼2.8%에서 숙성 4일째 약간 증가했다가 그 이후 감소하여 14일째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숙성 42일에는 0.32∼0.45%에 달했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초기 4.09∼5.64mg%에서 숙성21일에 최고치를 보였으며, 그 이후 서서히 5.50∼7.84mg%까지 감소하였다. 경도는 초기 1,390∼l,626g 에서 숙성 7일에 급격히 증가하여 1,858∼2,433g에 달하였고, 그 후 점점 감소하였다. 경도의 감소 정도는 대조군이 가장 컸고, 그 다음 멸치액젓 첨가군, 5% 수용성 키토산 첨가군 그리고 토하액젓 첨가군 순으로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Jeot-kal and chitosa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ardness during onion Kimchi fermentation. The onion Kimchi was stored at 4${\pm}$1$^{\circ}C$ for 42 day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H of contro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춧가루, 찹쌀 풀, 볶은 참깨 등의 부재료에 토하액젓, 멸치액젓, 그리고 5% 수용성 키토산을 각각 첨가하여 담근 양파김치의 숙성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양파는 김치용으로 지름 5cm 이하의 것을 사용하여 깨끗이 씻은 후 작은 것은 2등분, 큰 것은 4등분하여양파 중량의 2.5%의 꽃소금(정제염 : NaCl 88% 이상, 샘표)을 뿌려 2시간 동안 절이고 바구니를 사용하여 물기를 뺀 후, Table 1과 같이 절인 양파 100에 대해 고춧가루 1, 찹쌀 풀 3, 볶은 참깨 1을 기본으로 동일한 양의 재료를 배합하고, 여기에 토하액젓, 멸치액젓, 그리고 5% 수용성 키토산을 각각 3.75씩 첨가하여 잘 버무려 양파 김치를 담궜다. 최종 염 농도는 3.
  • 양파로 김치를 담그기 위해 고춧가루, 찹쌀 풀, 볶은 참깨 등의 부재료에 토하액젓, 멸치액젓, 그리고 5% 수용성 키토산을 각각 첨가하여 4±「C에서 42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경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염도는 숙성기간 중 2.
  • 총 비타민 C는 혼합 분쇄한 양파 김치 10 g에 5% 메타인산용액 lOOtM를 가하여 교반하고, 원심분리 (12, 000rpm, 4℃, 10분)한 후 상등액을 취하고 여과지 (Whatman No.6)로 여과하여 100m田로 정용한 후 2, 4-dinitrophenyl hydrazine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成.
  • 75씩 첨가하여 잘 버무려 양파 김치를 담궜다. 최종 염 농도는 3.2~3.6%가 되도록 정제염을 첨가하여 조정하였고, 양파 김치를 町병에 400g씩 담아 뚜껑을 덮어 4±1℃ 에서 42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면서 성분변화를 검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된 양파와 고춧가루는 전남 무안산이었으며, 멸치액젓은 시판되고 있는 청정원 제품, 토하액젓은 23% 소금농도로 토하젓을 담가서 5±1℃ 에서 90일간 숙성시킨 후 토하젓 고형분과 토하액즙 (염장토하의 약 72%)을 분리했으며, 분리된 토하액즙을 80℃ 에서 15분 동안 살균하여 양념 토하젓을 제조한 후 살균된 유리병에 담아 포장한 후 양파 김치 제조에 사용하였다. 키토산은 전남 목포시 소재 (주)바이오테크에서 생산된 분자량 30, 000, 탈 아세틸도 92.
  • 제조에 사용하였다. 키토산은 전남 목포시 소재 (주)바이오테크에서 생산된 분자량 30, 000, 탈 아세틸도 92.8%로서 5% 수용액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쌀 풀은 찹쌀가루와 물을 1 : 4의 비율(20% 농도) 로섞어 만들었다.

이론/모형

  • 양파 김치를 waring blender로 마쇄한 다음 그 즙을 증류수로 10배 희석한 후 10ml를 채취하여 Mohr 법'3)으로 염도를 측정하였다.
  • 환원당 함량은 DNS 법으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측정치를 glucose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emnann, K : Flavonols and t1avones in food plants. J. Food Tech., 11(2):433, 1976 

  2. Leighton, T, Ginther, C, Fluss, L., Harter, WK, Cansado, J and Norano, V :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quercetin and quercetin glucosides in Allium vegetable.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s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merican Chemical Society, 32(1):45, 1992 

  3. Michael, GLH, Edith, JMF, Peter, CHH :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Lancet, 342, Oct. 23: 1007, 1993 

  4. Son, JY, Son, HS and Cho, WD : Antioxidant effect of onion skin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14(1): 16, 1998 

  5. Yamaguchi, T and Yamashita, T : Mutagenicity of hydroperoxides of fatty acids and hydrocarbons. Agric. BioI. Chem., 44(7): 1675, 1980 

  6. Knorr, D : Use of chitinous polymers in food - A challenge for food research and development. Food Technol., 38(1):85, 1984 

  7. Kienzle -Sterzer, CA, Rodriguea-Sanchez, D and Rha, CK : Mechanical properties of chitosan fihus : Effects of solvent acid. Makromal Chem., 183(3):1353, 1982 

  8. Kim, KO and Kim, WH :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324, 1994 

  9. Rhee, HS and Lee, GJ : Effects of preheating treatment and chitosan addition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radish during salting. Korean J. Dietary Culture, 9(1):53, 1994 

  10. Yoo, EJ., Lim, HS., Kim, JM., Song, SH and Choi, MR The investigation of chitosanoligosaccharide for prolongating fermentation period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5):869, 1998 

  11. Park, BH, Cho, HS and Oh, BY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Human Ecology, 5(1):85, 2002 

  12. Cho, EJ, Park, KY and Rhee, SK :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 ratios of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9(6):1228, 1999 

  13. AOAC. :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14. Millers, GL :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3):426, 1959 

  15. Park, BH, Oh, BY and Cho, HS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salt-fermented Toha Jeat Ju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6):625, 2001 

  16. Rhee, HS : The measurement method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vegetables. Korean J. Soc. Food Sci., 11(1):83, 1995 

  17.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and Koo, YJ :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6):707, 1990 

  18. Mheen, TI and Kwon, TW :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4):443, 1984 

  19. Park, WP, Park, KD, Kim, JR, Cho, YB and Lee, NJ :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in salted chinese cabbage on the quality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1):30, 2000 

  20. Ryu, BM, Jeon, YS, Song, YS and Moon, GS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3):460, 1996 

  21. Kim, SY and Kim, KO : Effect of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s and storage periods on characteristics of Kakdug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3):370, 1989 

  22. Lee,JI, Cho, YS, Kang, KS and Seo, IK :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bacterial count during the fermentation of onion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5):419, 2000 

  23. Lee, SH and Jo, OK :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Glycyrrhiza uralensis and dipping of chitosan on self-life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6):1367, 1998 

  24. Cho, Y and Yi, JH : Effect of on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8(4):365, 1992 

  25. Jeon, YS, Ryun, BM, Moon, GS and Song, YS :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and enzyme activity, texture, microstructure of anchovy adde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3):470, 1996 

  26. Kim, KO and Kim, WH :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nnented seafoods during fenn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324, 1994 

  27. Lee, SK, Shin, MS, Jong, DY, Hong, YH and Lim, HS : Changes of Kimchis contained different garlic contents during fenn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1):68, 1989 

  28. Jang, MS and Kim, NY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Korean J. Soc. Food Sci., 13(3):286, 1997 

  29. Kang, KO, Ku, KH, Lee, JK and Kim, WJ :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nn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262, 1991 

  30. Park, WK, Park, YH, Kim, HK and Park, BH : Fonnation of chitin oligosaccharides during fennentation of Toha-jeot(salted-fennented Toha Shrimp).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5):791, 1996 

  31. No, HK, Park, IK and Kim, SD :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by addition of chitosan during salting. J. Korean Soc. Food Nutr., 24(6):932, 1995 

  32. Lee, YH and Lee, HS :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during the fennentation of Kimchis. Korean J. Soc. Food Sci., 2(1):54,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