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규칙적인 자궁경부암 검진 이행관련 요인
A Study on Regular Cervical Cancer Screening Behavior among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1, 2004년, pp.141 - 149  

조인숙 (미국 유타대학교 간호대학,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박영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the status of regular cervical cancer screening practices among middle-aged women, the associations between regular practice and research factors, and the predictive model and factors effecting such behavior was studied. Method: Two hundred women, aged 40 to 60, were selected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년여성의 규칙적인 자궁경부암 검진 이행을 촉진할 수 있는 실무적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편의추출된 40-60대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검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과 취약 집단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인지평가 이론에서 도입한 인과위 개념과 기존의 건강행위와 관련된 여러 이론들의 개념을 통합한 Cox의 건강 자기-결정 지표(Health Self-Determinism Index; HSDI) (1985)를 중심으로 중년 여성들의 건강 동기화 성향을 파악하고, 건강행위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관련 요인들의 상대적 위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의료기관이나 지역사회에서 건강증진 사업을 모색하고 사업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중년여성을 이해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건강 동기화 개념을 중심으로 규칙적인 검진행위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러한 요인들의 상대위험도를 살펴봄으로써 규칙적인 검진을 유도할 수 있는 실무 차원의 접근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Cancer Society. (2002). Patient pages.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CA Cancer J Clin, Nov-Dec, 52(6), 375-6 

  2. Byeun, J. H., Nam, J., Kim, E. S., Hong, M. S., Kim, H., Hang, N. M., Shu, M. K., Choi, E., & Han, Y. J. (1998). Development of goal and strategy for health promotion of Seoul citize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3. Central cancer registry center in Korea. (2000). Annual report of the central cancer registry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4. Champion, V. L., & Scott, C. R. (1997). Reliability and validity of breast cancer screening belief scale in African American women, Nurs Res, 46(6), 331-337 

  5. Choi, K., Shin H., Lee D., Jung, K., Son, J., Jang, T. W., Hong, S., & Park, S. (2002). Factor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Busan, 54th Autumn Conference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6. Cox, C. L. (1982). An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theoretical prescription for nursing, ANS Adv Nurs Sci, 5(1). 41-56 

  7. Cox, C. L.(1985). The health self-determinism index. Nurs Res, 34(3). 177-183 

  8. Cox, C. L., Cowell, J. M., Marion, L. N., & Miller, E. H. (1990). The health self-determinism index for children. Res Nurs Health, 13. 237-246 

  9. Deci, E. L., & Ryan R. M.(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erspectives in social psychology), New York: Plenum Press 

  10.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 of Res in Personality, 19, 109-134 

  11. Han, D. S. (2002). A study on cervical cancer screening among married women. Unpublished master thesi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12. Harlan, L. C., Berstein, A. B., & Kessler, L. G., (1991). Cervical cancer screening: Who is nor screened and Why? Am J Public Health, 81, 885-91 

  13. Hayward, R. A., Shapiro, M. F., Freeman, H. E., & Corey, C. 148 R. (1988). ~ gets screened for cervical and breast cancer? Result form a new national survey. Arch Intern Med, 48, 1177-81 

  14. Kim, K. M., Ho, L S., Kim, Y., Kim, K., & Shin, H. C. (1996). Predictors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test acceptance in one rural women. J Korean Acad Fam Med, 17(12), 1442-9 

  15. Koss, L. G. (1989). The papanicolaou test for cervical cancer detection. JAMA, 261(5), 737-43 

  16. McPhee, S. J., Stewart, S., Brock, K. C., Bird, J. A., Jenkins, C. N., & Pham, G. Q. (1997). Factor associated with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practices among Vietnamese American women. Cancer Detection & Prevention, 21(6), 510-521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002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18. Mishra, S. L, Luce-Aoeluc, P. H., Hubbell, F. A. (2001). Predictors of papanicolaou smear use among America Samoan women. J Gen Intern Med, 16, 320-4 

  19.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2). Cancer patient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25 millions in last year and cost 6400 billions, unpublished manuscripts 

  20. Obstetric and gynecology department of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Obstetric and Gynecology, Goon-Ja publishing company. Seoul, 464-470 

  21. Park, J. S. (1995). A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late-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22. Park, S. M. (2000). Factors related to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Pap smear screening among Korean women: using a structural model. J Korean Acad Nurs, 30(1), 160-170 

  23. Shin, A., Yoon, H., Park, S. K., Shin, H., Chang, S., Lee, K., Lee, D., Kang, D., & Yoo, K. (2001). Breast and uterine cervical cancer screening rate in KMCC. 53th Autumn Conference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39 

  24. Shin, H. C. (2001). Social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practices among korean women. J Korean Acad Fam Med, 22(12), 1823-36. 

  25. Sigurdsson, K. (1993). Effect of organized screening on the risk of cervical cancer. Evaluation of screening activity in Iceland 1991. Int J Cancer, 54, 563-70 

  26. US DHHS. (1994). Clinician's handbook of preventive services: Put prevention into practice. US GPO, 195-200 

  27. US Preventive Service Task Force. (1996). Guide to clinical preventive services. 2n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05-1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