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자궁경부암 지식, 예방행위의도가 자궁경부암 검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ervical Cancer Knowledg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on Cervical Cancer Screening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5, 2020년, pp.42 - 50  

하혜진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김은아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자궁경부암 검진 여부를 파악하고, 자궁경부암 지식, 예방행위의도가 자궁경부암 검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이들의 자궁경부암 검진율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대학교 3곳의 간호대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χ2-test,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궁경부암 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성경험 유무, 예방행위의도로 확인되었다. 자궁경부암 검진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전문가가 성경험이 시작되기 전인 학령기부터 대학생시기까지 학교와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단계적이며, 지속적인 자궁경부암 예방행위의도 증진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ervical cancer screening status of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ir knowledg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on cervical cancer screening. This study targeted 192 nursing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G. J City. The data were a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의 지식, 예방행위의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자궁경부암 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자궁경부암 검진률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인식 변화와 수행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지식, 예방행위의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자궁경부암 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궁경부암 검진률 향상에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자궁경부암 지식, 예방행위의도가 자궁경부암 검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자궁경부암 검진여부를 파악하고, 자궁경부암 지식, 예방행위의도가 자궁경부암 검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예방행위의도는 Kim과 Park이 개발하고[13] Kwon이 수정·보완한 도구[25]를 승인 받은 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 내용은 성생활 시작 후 6개월 이내 자궁경부암 검진을 할 의도, 성관계시 콘돔사용할 의도, HPV 백신 접종할 의도, 부정출혈 시 병원 방문할 의도, 질염이 있을 시 병원 방문 할 의도, 성파트너 수를 1명으로 제한할 의도, 금연할 의도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었다. 각 문항은 Likert 3점 척도(1점=전혀 그렇지 않다 ∼ 3점=매우 그렇다)로 점수 범위는 7점∼21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궁경부암에 대한 예방행위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 하지만 기존의 국내에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 시도된 연구들은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에 중점을 두어 접종여부, 접종의향, 예방행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직접적으로 자궁경부암 검진과 관련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무료검진의 해당자이자, 향후 여성의 건강증진 촉진자로써 일선에서 담당하게 될 간호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하여 이들의 자궁경부암 검진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지식이나 질병 예방을 위한 경험 등은 간호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습관을 바꿀 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하므로 간호대학생의 자궁경부암 검진에 직접적인 영향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궁경부암에 대해 설명하시오. 자궁경부암은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으로 우리나라에서 2018년 한 해 약 3800여 명의 환자가 새롭게 발생하고, 약 800여 명의 여성이 이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1]. 또한 전체 암 발생순위에서 일곱 번째로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며, 특히 15∼34세 군의 여성암 발생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어[2],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자궁경부암 예방적 관리가 시급히 요구된다.
인유두종바이러스의 특징은?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는 성 전파성 감염원의 하나이다. 성관계를 하는 사람들의 10중 1명이 감염될 정도의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며, 이 바이러스가 발견되면 자궁경부암 발생위험도가 10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2]. 특히 100여 종 이상의 HPV 아형 중 16형과 18형이 자궁경부암의 70% 이상에서 발견된다[2].
HPV 백신을 접종했어도 정기적인 자궁경부암 검진이 필요한 이유는? 이와 같은 원인에 따른 자궁경부암은 일반적으로 수년에 걸쳐 진행되고, 자궁경부암 검진(Papanicolaou test: Pap test)을 통해 조기 발견 시 쉽게 치료 될 수 있으며[4], HPV 백신 접종을 통해 자궁경부암 예방도 가능하다. 그러나 HPV 백신이 모든 유형의 HPV에 의한 자궁경부암을 예방하는 것이 아니므로, 백신 접종을 했더라도 자궁경부암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자궁경부암 검진이 필요하다[5]. 이에 자궁경부암 검진은 자궁경부암 예방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매우 기초적이며, 현실적인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http://kosis.kr/search/search.do 

  2. National Cancer Infomation Center. (2017).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1/contents.do 

  3. S. J. Park & H. J. Park. (2012). Knowledge Regarding Cervical Cancer, Human Papillomavirus and Acceptance of Vaccination in Korean Adult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2), 201-211. DOI : 10.7739/JKAFN.2012.19.2.201. 

  4. E. J. Lee & J. S. Park. (2011).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Health Beliefs and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Rat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Oncology Nursing Society, 11(1), 65-73. DOI : 10.5388/JKON.2011.11.1.65. 

  5. K. A. Kang, S. J. Kim, Noriyo, K, H. Cho & Y. S. Lim. (2017). A Pediction of Behavioral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on Pap Screening Test in College Women: A Path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1), 135-148. DOI: 10.5932/JKPHN.2017.31.1135. 

  6. J. Marlyn & D. W. Hokenberry. (2010).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Seoul: HENMONSA. 

  7. S. H. Kim & M. H. Sung. (2017). Factors Influencing HPV-related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al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23(2), 126-134. DOI : 10.4069/KJWHN.2017.23.2.126. 

  8. S. W. Hwang & C. W. Chung. (2011). Contracep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in Unmarried Female and M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1), 77-87. DOI : 10.4069/KJWHN.2011.17.1.77. 

  9. J. A. Kim & J. Y. Lee. (2014).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and the Related Predicting Factors for Sexual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3), 71-80. 

  10. H. R. Shin et al. (2004).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Genital Infection with Papillomavirus, in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South Korea.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190, 468-476. DOI : 10.1086/421279. 

  11. S. Y. Cho. (201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rvical Cancer Preventive Behavioral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and Optimistic Bias Among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6(3), 101-124. DOI : 10.23875/KCA.26.3.5. 

  12. H. W. Kim. (2014). Influencing Factors of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of Undergoing Pap Testing among Unmarried Nurs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3), 225-233. DOI : 10.4069KJWHN.2014.20.3.225. 

  13. J. H. Kim & M. K Park. (2009). Study on th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Human Papillomavirus and Preventive Behavior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225-231. DOI : 10.5977/JKASNE.2009.15.2.225. 

  14. K. E. Lee.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Ceceive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in Undergraduate Women: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4), 457-465. DOI: 10.7739/JKAFN.2014.21.4.57. 

  15. M. S. Choi & S. H. Cheon. (2015). HPV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Coverage and Intention among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2(1), 93-105. DOI: 10.21086/KSELES..2015.02.22.1.93. 

  16. S. M. Kim. (2008). A Study on Health Information Use on Cues to Action, Self-efficacy, Subjective Norm, Behavior Intention through Internet.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4(2), 1605-1614. 

  17. S. M. Kim & S. O. Kim. (2019). Compairson of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toward Cancer, Atti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2), 655-664. DOI: 10.21742/AJMAHS.2019.02.64. 

  18. M. I. Shin. (2016). Factors Affecting self-efficacy, Health Belief, and Knowledge on Vaccination against Cervical Cancer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s Ssociation, 16(4), 359-367. DOI : 10.5392/JKCA.2016.16.04.359. 

  19. A. S. Park. (2015). The Influence of Cervical Cancer, HPV Knowledge and Health Beliefs on HPV Vaccin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708-7717. DOI: 10.5762/KAIS.2015.16.11.7708. 

  20. I. S. Cho & Y. S. Park. (2004). A Study on Regular Cervical Cancer Screening Behavior among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1), 141-149. 

  21. I. S. Jeong, S. H. Kim & Y. S. Kim. (2004). Related Factors with the Cervical Cancer Screening and Repeated Screening.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8(2), 185-198. 

  22. E. H. Park, Y. H. Cho & W. J. Kim. (2009). Influence of Health Beliefs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s for Cancer among Middle-Aged Women.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and Welfare, 11, 17-42. DOI : 10.23948/KSHW.2009.12.11.17. 

  23. W. H. Choi & G. Y. Cho. (2016). The Factor of Influencing Cervical Cancer and Human Papilloma Virus(HPV)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rine Sciences Education, 28(5), 1339-1347. DOI : 10.13000/JFMSE.2016.28.5.1339. 

  24. E. J. Kim, S. H. Kim, H. I. Chung & Y. A. Kim. (2016). Factors affecting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3), 464-472. DOI : 10.5762/KAIS.2016.17.3.464. 

  25. F. Y. Hsieh, D. A. Bloch & M. D. Larsen. (1998). A Simple Method of Sample Size Calculation for liner and logistic Regression. Statistics in Medicine, 17(14), 1623-1634. 

  26. Y. E. Kwon & Y. E. Lee. (2019). Relationship between Fe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HPV Infection and Their Preventive Behavio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l9(2), 623-632. DOI : 10.21742/AJMAHS.2019.02.61. 

  27. Y. H. Go. (2016). Physical ACivity,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Women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 Screening Attitude Multiplicative Influence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439-449. DOI : 10.14400/JDC.2016.14,7,439. 

  28. M. J. Kang. (2015). A Survey of School Nurses' Knowledge on HPV Vaccine and a Status of Educations about Cervical Cancer Prevention. Health & Nursing, 27(2), 23-32. 

  29. Y. S. Lim & H. L. Cho. (2017). A Convergence Study of Cervical Cancer Knowledge and Cervical Cancer Preventing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Cervical Cancer Preventing Behavior Type among Un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95-104. DOI : 10.15207/JKCS.2017,8,10.095. 

  30. J. S. Park & E. J. Lee. (2011). Predictors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4), 346-358. DOI: 10.4069/KJWHN,2011.17.4.346. 

  31. M. S. Kim & J. S. Kim. (2017). Predictors for Standard Precautions Compliance in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s Assocication, 17(12), 569-581. DOI : 10.5392/JKCA.2017.17.12.569. 

  32. E. C. Jung & C. H. Jin. (2011). Breast and Cervical Cancer Communication Channels and Screening Inten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9(2), 139-162. 

  33. R. Yoo & G. S. Kim. (2017).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Dementia Screening Test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3), 464-477. DOI: 10.5932/JKPHN.2017,31.3.4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