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과 간호의 이슈
Postmodernism and the Issue of Nursing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3, 2004년, pp.389 - 399  

공병혜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main stream of postmodernism which has influenced theory and research in the nursing science, and then to consider the meaning and value of what the postmodern perspective has meant to nursing science in the 21st century. Method: Derrida an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Kweon(2000)은 그 시대를 지배하는 담론에 의해 배제, 통제, 금지되었던 간호지식을 드러냄에 있어서 푸코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연구에서는 제도권 내의 간호학문을 지배했던 서구의 근대적 간호가 지닌 권력을 비판함으로써 제도권 밖으로 밀려났던 도교의 건강에 대한 담론에 기초한 간호지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 그러면 간호학문에서 근대에서 탈근대로 향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과연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근대적 간호학문에서는 기계론적인 세계관을 전제로 한 '인간은 부분의 합이다'이라는 인간이해에 따른 생의학적인 질병 치료모델이 중심패러다임으로 자리잡게 된다.
  • 그러면 지금까지 간단히 살펴본 간호학문의 전개과정을 통해 간호의 근대성을 특징짓는 핵심사유의 틀이 무엇이며, 그러한 틀이 어떻게 중심으로부터 해체되고 있는 지 고찰해 보기로 하자. 우리는 간호학문의 전개과정을 1980년대 이전과 1980년대 이후로 구분하여 정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지금까지 포스트모더니즘이 지닌 사유방식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그것이 근대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간호학문에서의 이론과 연구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어떠한 시각을 보여주고 있는 지 고찰해 볼 수 있었다. 그러면 지금까지의 논의를 근거로 하여 간호학문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지니는 의미를 반성해 보기로 하자. 1980년대 이전까지의 근대적 간호학문에서는 실증주의 과학관에 기초한 의학-치료(medicine-treatment) 모델에 의존한 간호이론들과 연구 방법들이 주를 이루었다.
  • 그렇다면 간호학문에서 근대성을 성격 짓는 핵심사유의 틀이 무엇이며, 그러한 틀이 어떻게 해체되고 있는 지 살펴보자. 간호의 근대성은 서구에서 18세기 계몽주의에 힘입어 합리적 이성의 절대적 신뢰에 근거한 콩트의 실증주의적 과학관에 영향을 입은 학문적 태도로서 특징지울 수 있다.
  •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지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비판적 시각이 이 시대의 간호학문을 이해하는 데에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지를 반성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 그의 사유는 각 시대마다 유행하는 담론의 체계로서 지식이 그 시대를 지배하는 권력의 산물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의 철학은 그 시대의 권력이 지닌 규율에 의해 어떻게 지식이 통제되어왔고 또 재생산되는가를 추적함으로써 지식의 체계를 통해 은밀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행사하는 핵심권력에 저항하고자 한다. 이러한 푸코의 사유는 근대의 핵심권력으로 출현한 기계론적 세계관과 실증주의가 간호지식을 어떻게 지배하고 통제하면서 간호지식을 산출해 왔는가에 대한 시선을 제공함으로서 그 지식의 배후에 있는 핵심권력을 해체하는 데에 기여하는 것이다.
  • 이 글에서 우선 해체주의와 권력과 지식과의 연계성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사유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이것이 근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간호이론과 연구방법을 이해하는 데에 어떠한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지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비판적 시각이 이 시대의 간호학문을 이해하는 데에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지를 반성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 이것은 문화와 학문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심사유의 틀로서 자리잡고 있었던 서구의 근대성을 비판적으로 반성을 함으로서 이로부터 벗어나려는 운동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이 지닌 사유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면서, 그러한 사유의 특징이 간호학문에서의 지식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지 비판적으로 반성해 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 그런 다음 이러한 시각이 오늘날의 간호학문의 경향을 이해하는 데에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 지를 반성하여 보기로 하겠다. 이를 위해서 우선 나이팅게일의 이래로 전개되어온 근대적 간호학문의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 동일성보다는 차이과 다양성이, 주체보다는 타자가 강조되며, 통일적인 메타 담론이나 형이상학적 전제가 해체되고, 차이를 지닌 다양한 지식체들이 공존하게 된다. 지금까지 포스트모더니즘이 지닌 사유방식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그것이 근대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간호학문에서의 이론과 연구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어떠한 시각을 보여주고 있는 지 고찰해 볼 수 있었다. 그러면 지금까지의 논의를 근거로 하여 간호학문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지니는 의미를 반성해 보기로 하자.
  • 여기서 푸코가 말하는 담론이란 지식의 체계를 갖춘 일종의 언설로서 권력을 실천하는 방법이다(Lee, 1989). 푸코는 이러한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각 시대마다 지식의 체계를 유통시키고 생산해 온 중심권력을 전복시키고자 한다. 그래서 그는 각 각의 시대에서 자연스럽게 유통되는 담론의 체계들, 예를 들어 정상과 광기, 병과 건강, 범죄와 법, 성에 대한 지식들은 바로 이 그 시대의 사회 정치적 효과를 지닌 권력-지식의 연계의 산물이라고 보는 것이다(Yun, 1997).

가설 설정

  • 우선 1) 위계 질서적 감시체계 속에서 한 개인은 항상 감시된다. 한 사회 내에서 관찰 가능한 네트웍이 형성되어 있어서 권력 구조의 꼭 대기로부터 모든 방향을 향해 개인들의 행동들이 감시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larke L. (1996). The last post? Defending nursing against the post-modernist maze, J Psychiatr Ment Health Nurs, 4, 257-265 

  2. Derrida J.(1976). On grammatolog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 Donahue, M. P.(1996). Nursing, The Finest Art. an Illustrated History. St. Louis: The C.V. Mosby com 

  4. Dzurec, L. C. (1989). The necessity for and evolution of multiple paradigms for nursing research: a poststructurist Perspective, Adv Nurs Science, 11(4), 69-77 

  5. Dzurec, L.C. (1995). Post-structuralist Science, In Anna Omery&Christine E. Kasper(Eds.), In search of nursing science (pp.233-244)), London: Sage Publication 

  6. Fawcett, J. (1984). Rogers life process model. In Analysis and Education of Conceptual Models of Nursing. Philadelphia: F.A. Davis Co. 

  7. Foucault. M. (1991). The History of madness, translated by Lee, B.Y. Seoul: Ingansarang 

  8. Foucault. M. (1994). Discipline and punish. translated by Oh, S. G. Seoul: Namam 

  9. Kim, H. H. (1997). Derrida's philosophy of destruction, Seoul: Minymsa 

  10. Kim, S. H. (1997). Philosophy in destruction's period , Seoul: Munhak &Jiseongsa 

  11. Kim, N. S. (1997). An Attempt of reinterpretation on history of nursing and health care using Post-structural Method, J Korean Acad Nurs, 27(3), 531-540 

  12. Kim, N. S.(2000). Gender and Illness through the analysis of patriarchal discourse, Qualitative Research 1(1), 75-94 

  13. Kvale, S. (1997). Interviews.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translated by Shin, K. L. Seoul: Hana-Medical science 

  14. Kweon, B. S. (2000). A study of Discourse on Lae-Chung's Health Promotion, Qualitative Research,1(1), 121-130 

  15. Lee, E. J. & Park, Y. S. (1993). Reflection on Nursing Methodology, J Korean Acad Nurs, 23(3), 453-466 

  16. Lee, J. C. (1999). Two face of the western medicine, Seoul: Hanwool 

  17. Lee, K.S.(1995), Rorty and taoism, Philosophy and Reality, Seoul: Chol Hak and Heonsilsa 

  18. Lee, K, R. (1989), Micheal Foucaut, Seoul: Minymsa 

  19. Lister, P.(1997) The art of nursing in a 'postmodern' context, J Adv Nurs, 25, 38-44 

  20. Mitchell, D. P. (1996). Post- modernism, health and illness, J Adv Nurs, 23, 201-205 

  21. Parse, P. R. (1981). Man-Living-Health: A Theory of Nursing, NY: A Wiley Medical Publication 

  22. Parse, P. R. (1987). Nursing science: major paradigm, Theories, and critiques, Philadelphia: S. D. Saunders Company 

  23. Reed, P. G. (1995). A Treatise on Nursing Knowledge Development for the 21st Century: Beyond Post-modernism, Adv Nurs Sci, 17(3), 70-84 

  24. Rolfe, G. (2000). Research, Truth and Authority: Post-modern, Perspectives on Nursing Science, 17, 70-84 

  25. Rorty, R. (1989). Contingency, Irony, and Solidar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Rogers, M.E. (1970). An introduction to the theoretical basis of nursing, Philadelphia: F.S. Davis Company 

  27. Stevenson. C. & Beech, I. (2001). Paradigm lost, paradigm regained: defending nursing against a single reading of post- modernism, Nursing philosophy 2: 143-150 

  28. Yang, Y. D. (1997).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In J. H. Park,(Eds.), Stream of contemporary philosophy, Seoul; Dongneok 

  29. Yun, P. J. (1990). Beyond Foucault and Habermas, Seoul; KyoeboLee 

  30. Watson, J. (1995). Postmodernism and knowledge development in nursing, Nurs Sci Q, 8(2): 60-64 

  31. Watson, J. (1999). Postmodern Nursing and Beyon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