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Meta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Emotional Labor of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3 no.2, 2016년, pp.115 - 125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  김정희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meta-analysis to evaluate factors and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hospital nurses. Method: The study included variables obtained from 66 recently published studi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master's theses. Results: The related varia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인을 파악하고, 감정노동의 방어 변인과 위험 변인들의 상관계수 효과크기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관련 관리방안과 간호인력 정책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관련 변인에 대해 연구한 개별연구들의 양적 연구결과들의 상관계수 효과크기를 사용하여 분석한 메타분석연구로 서술적연구이다.
  • 감정노동이란 사람이 대인을 접촉하는 동안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노력이나 계획 및 통제정도를 말한다[7].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고객을 간호하거나 대면하면서 조직이 요구하는 기준에 의해 감정 표현을 통제하는 정도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논문들을 메타분석 하여 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주요 변인들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계량화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연구의 사례수의 크기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서 Hedges & Olkin[16]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사례수가 많은 연구에서 측정된 효과크기가 사례수가 적은 연구보다 더 정확하다고 가정하여 사례수가 많은 연구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메타분석을 통해 계산된 효과크기는 효과크기계산의 원자료 유형에 상관없이 같은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이란? 즉, 간호사는 업무 중 감정표현을 억압당하기도 하고 명시적, 암묵적 규범이 요구되기도 한다[3]. 감정노동이란 대인접촉을 하는 동안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노력, 계획 및 통제정도를 말한다[4, 5]. 감정노동은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구성된다.
감정노동의 관련 요인 중 직무특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에 감정노동을 간호업무 수행 중 경험하게 되는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많은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감정노동의 관련 요인 중 직무특성에는 시간적 압력, 직무책임감,직무자율성이 포함되며, 개인적 특성에는 감정 감화, 정서적 배려, 직무감정 등이 있다[8]. 과도한 감정노동의 결과로 신체적, 정신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약물남용, 알코올 중독,결근, 조직원의 의사소통 통로를 차단시켜서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감정노동을 구성하는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는 무엇인가? 감정노동은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구성된다. 표면행위는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에 맞추어서 내키지는 않으나 표면적으로 그렇게 보이도록 표정, 몸짓, 목소리 톤, 태도와 같은 위장된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표현을 사용하는 행위를 말하며, 내면행위는 조직이 직원에게 발휘하길 원하는 감정을 실제로 느끼거나 경험하려고 자신의 감정을 진심으로 조절하는 행위이다[6,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une KJ, Byun SW.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305-313. 

  2. Kim MR.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3):335-344. 

  3. Joung MS, Kim KJ.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06;11(4):1-18. 

  4. Mann S, Cowburn J. Emotional labour and stress within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5;12(2):154-162.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04.00807.x 

  5. Byun DS, Yom YH.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444-454. 

  6. Brotheridge CM, Grandey AA.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2;60(1):17-39. http://dx.doi.org/10.1006/jvbe.2001.1815 

  7. Hochschild AR.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979:85(3);551-575. 

  8. Shin KA. The structural cause and individualized effect of the emotional labor: The cases of women workers in call-centers. Korea Journal of Labor Studies. 2009;15(2):223-256. 

  9. Kim IS.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4);515-526. 

  10. Kim SH, Lee MA.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332-34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32 

  11. Kim KO, Cho YC.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u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8):3794-3803.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794 

  12.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http://dx.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13.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PT, Rothstein HR.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est Sussex, UK: John Wiley & Sons, Ltd.; 2009. 

  14. Kim SH, Ham Y.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3):263-276.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3.263 

  15. Law M, Stewart D, Pollock N, Letts L, Bosch J, Westmorland M. Critical review form-Quantitative studies. [Internet] Ontario, Canada: McMaster University; 1998. [cited 2014 September 22]. Available from http://www.srs-mcmaster.ca/Portals/20/pdf/ebp/quanreview_form1.doc 

  16. Hedges LV, Olkin I.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85. 

  1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Revised ed. New York, NY: Academic Press; 1977. 

  18. Choi HS, Lim HC, Jeong MG. The determinants of employees' emotional labor in call centers.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08:15(2):53-68. 

  19. Kruml SM, Geddes D.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2000:14(1);8-49. http://dx.doi.org/10.1177/0893318900141002 

  20. Schaubroeck J, Jones JR. Antecedents of workplace emotional labor dimensions and moderators of their effects on physical symptom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0;21(2): 163-183. http://dx.doi.org/10.1002/(SICI)1099-1379(200003)21:2 3.0.CO;2-L 

  21. Schneider B, Bowen DE. Employee and customer perceptions of service in banks: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85;70(3):423-433. http://dx.doi.org/10.1037/0021-9010.70.3.423 

  22. Thomas LT, Ganster DC.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5;80(1):6-15. http://dx.doi.org/10.1037/0021-9010.80.1.6 

  23. Howes JC, Cropanzano R, Grandey AA, Mohler CJ. Who is supporting whom?: Quality team effectivenes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Quality Management. 2000;5(2):207-223. http://dx.doi.org/10.1016/S1084-8568(01)00021-9 

  24. Park HJ. Emotional labor, emotional expression,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2):225-232. 

  25. Kim YS, Jeong EY, Seo YJ.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nurses. From health policy and globalization 48th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2012 June 1-2;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 Welfare.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2012. p. 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