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describe feminism and to propose the integration of a feminist method into qualitative nursing methodology in order to expand the body of nursing knowledge. Method: The world view of feminism including philosophy,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was outlin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있다(Enns, 1992). 다시 말해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처럼경험 속에 내재되어있는 의미 속에서 진리를 찾고자 한 것이아니라 사회적 관계, 사회구조, 그리고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고 있는 현실을 왜곡됨 없이 재현해보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기존의 포스트모더니즘적 입장에서는 이와 같이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여 재현하고자하는 페미니스트 인식론이 너무 계몽주의적 틀 속에 자리 잡혀 있다고 보았다.
  • Yoone 도시 중산층 전업주부의 일상생활과 모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를 통하여 모성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한국사회의 도시 중산층 전업주부의 일상생활을 구조화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그 결과 한국 사회의 모성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맥락을 살피면서 모성을 한국의 산업화와 역사적 특수성 속에서 나타난 하나의 문화적, 역사적 산물로서 인식할 것을 제의하고 있다. 나아가 모성 이데올로기가 갖고 있는 여성에 대한 억압성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모성 정의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 첫째, 페미니즘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페미니즘의 흐름과 우리나라 페미니즘의 현황, 그리고 페미니즘 철학, 인식론, 그리고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다루고자 한다. 둘째, 페미니스트 관점을 통해 여성이주를 이루고 있는 간호와 간호연구를 조명해 보고 그 의미를 짚어봄과 동시에 페미니스트 관점과 가장 잘 부합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질적연구방법, 특히 근거이론과 문화기술지 등을 접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Enns, 1992; Kim, 1995). 이 각각의 철학적 관점들을 통해 남성중심의 억압상황에서 나타나는 성불평등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예를 들면, Hurst(1999)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페미니즘 관점에서 근거이론적 방법론을 이용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 경험이 현저하게 많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여성에 초점을 둔 연구가 미비함을 지적하며 여성에 초점을 두어 여성의 관점에서 우울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페미니즘 연구가 추구하는 여성을 위한 연구와 근거이론이 추구하는 실제 참여자가 사회적 맥락에서 상호작용하면서 얻어진 주관적 세계를 바탕으로 한 이론 구축이라는 두 연구 분야의 접목을 추구한 예라고 할 수 있다.
  • 또한 질적연구는 다양한 개개인의 개인적 문화와 관점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역사 등 다양한 측면까지 접근하여 인간 행위 속에 내재되어있는 독특성, 공통성 그리고 다양성을 찾아가는데 그 가치가 있다(Stake, 1995). 이러한 질적연구는 주로 개개인의 경험 속에 베어있는 의미들을 그들이 사용하는 일상용어를 통해 얻고자 하였다. 따라서 주관적 진실에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간호제공자가 알고 있는 간호전반에 대한 사고보다 더 간호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고, 그 가치를 인식시켜 발전해 나가고자 함은 페미니스트들이 추구하는 목표와 상응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환으로 이 글에서는 페미니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페미니스트 연구와 질적연구의 상호보완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페미니스트 연구가 간호에 부여하는 의미를 짚어볼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간호연구방법으로 널리 활용될 가치가 있으며, 특히 페미니스트 연구와 질적연구가 접목됨으로써 간호지식체 개발에 이바지 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즉 다양한 삶의 대표성에 대한 의문인데, Harding (1991)은 이에 대해 주류문화의 여성의 삶에 대표성을 부여하는 것은 페미니스트 정치운동에 힘을 실어주기 위함이라고 논박하고 있다. 즉 덜 왜곡된 현실을 재현하여 이를 정치적 실천으로 옮기는데 목적이 있으며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의 페미니즘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Olesen(1994)은 이 포스트모더니즘적 페미니스트 연구가 너무 텍스트만을 중요시 여기며 여성으로서 겪는 억압적 경험에 따른 행위의 진행 양상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 첫째, 페미니즘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페미니즘의 흐름과 우리나라 페미니즘의 현황, 그리고 페미니즘 철학, 인식론, 그리고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다루고자 한다. 둘째, 페미니스트 관점을 통해 여성이주를 이루고 있는 간호와 간호연구를 조명해 보고 그 의미를 짚어봄과 동시에 페미니스트 관점과 가장 잘 부합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질적연구방법, 특히 근거이론과 문화기술지 등을 접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이는 비단 사회적 인식 속에서 만이 아니라 간호제공 주체자 내부에서도 간호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해 내지 못하고 있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스트 연구를 통해 여성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고, 여성이 자신에 대해 알고 있는 것보다 더 잘 여성이 처한 현실에 대해 인식하게 해 줌으로써, 여성을 위한 변화를 모색하고자 했다. 이에 대해 간호가 처한현실 또한 예외일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cker, J., Barry., & Essevald, J. (1991). Objectivity and truth: problems in doing feminist research. In M. Fonow & J. Cook. (Eds.), Beyond methodology: feminist scholarship as lived research.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2. Benner, P., & Wrubel, J. (1989). The primacy of caring: Stress and coping in health and illness. Reading MA: Addison-Wesley 

  3. Benoliel, J. Q. (1996). Grounded theory and nursing knowledge. Qualitative Health Research 6(3), 406-428 

  4. Bungay, V., & Keddy, B. C. (1996). Experiential analysis as a feminist methodology for health professional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6(3), 442-452 

  5. Campbell, J., & Bunting, S. (1991). Voices and paradigms: Perspectives on critical and feminist theory in nursing. Adv Nurs Sci, 13(3), 1-15 

  6. Chafetz, L., & Barnes, L. (1989). Issues in psychiatric caregiving.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3(2), 61-68 

  7. Chenitz, W. C., & Swanson, J. M. (1986). From practice to grounded theory: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California: Addison-Wesley Publishing 

  8. Choi, S. K. (1998). Feminism and anti-feminism in America.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Academic Conference in Autumn, 369-380 

  9. Enns, C. Z. (1992). Toward integrating feminist psychotherapy and feminist philosophy.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3(6), 453-466 

  10. Gilligan, C. (1993).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1. Guberman, N. (1988). The family, women and caring: Who cares for the carers? Resources for Feminist Research, 17, 37-40 

  12. Hall, J. M., & Stevens, P. (1991). Rigor in feminist research. Adv Nurs Sci, 13(3), 16-29 

  13. Hardng, S. (1987). Feminism methodology.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14. Harding, S. (1991). Whose science? Whose knowledge? Thinking from women's lives.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5. Hurst, S. A. (1999). Legacy of betrayal: A grounded theory of becoming demoralized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who have been depress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0(2), 179-191 

  16. Im, E. O., & Chee, W. (2001). A feminist critique of research on cancer pain. Western Journal of Nursng Research, 23(7), 726-752 

  17. Im, E. O. (2000). A feminist critique of breast cancer research among Korean women.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2(5), 551-570 

  18. Jan, R. (1996). A sampling strategy for qualitative research. Nurs Rea, 3 (4), 52-68 

  19. Jeon, B. H. (1998). The main agenda of feminism and anti-feminism in German feminist movement.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Academic Conference in Autumn, 1-24 

  20. Keddy, B., Sims, S., & Stem, P. N. (1996). Grounded Theory as feminist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3(3), 448-453 

  21. Kim, C. M. (2001). The coping process of family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ly at home.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2. Kim, K. H. (2002). National and women policies. In Korean women policies. (2002). Korean Women Policies. MIREINYRUK Institution 

  23. Kim, M. H. (2003). Postmodernism and culture theory. HANNARE 

  24. Kim, S. (1998).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 on family care provider's burden. Nursing Science, 10(1), 19-30 

  25. Kim, S. J., Kim, K. B., Yi, M. S., Lee, K. J., Ahn, Y. H., Kim, H, S., Park, Y. J., Koh, M. S., & Sohng, K. Y. (2002).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in the journals of seven branches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1), 114-134 

  26. Kim, U. K. (1998). Feminism in France and political resistanc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Academic Conference in Autumn, 405-419 

  27. Kim, U. S. (1995). Culture research and feminism- feminist Marxism and culture re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and Journalism, 5, 90-115 

  28. King, K. E. (1994). Method and methodology in feminist research: What is the differ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 19-22 

  29. Lee, K. H. (1996). Korean women's health and culture. Academic Symposium at Ewha Womans University, 11(1), 137-145 

  30. Lee, Y. J. (2000). Feminism as a alternative paradigm: Its possibility and dilemma. Korean Women's Studies, 16(1), 5-36 

  31. Leininger, M. M. (1985). Nature, rational, and importanc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nursing. In M. M. Leininger (Ed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nursing. New York: Grune & Stratton 

  32. Leonard, V. W. (1994). A Heideggeria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person. In P. Benner (Eds.), Interpretive Phenomenology: embodiment, caring, and ethics in health and illnes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33. Maxwell, J. A. (1996).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Thousand Oaks: SAGE: International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Publisher 

  34. Milliken, P. J. (2001). Disfranchised mothers: Caring for an adult child with schizophrenia.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2, 149-166 

  35. Morse, J. M. (1991).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A contemporary dialogue. London: SAGE Publications 

  36. Oakley, A. (1981). Interviewing women: a contradiction in terms. In H. Roberts. (Eds.), Doing feminist research.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37. Olesen, V. (1994). Feminisms and models of qualitative research. In K. D. Norman, N. K. Denzin & S. L. Yvonna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38. Park, Y. S. (1995). Feminist approach in nursing. Nursing Inquiry, 4(10) 129-142 

  39. Park, C. S. (2002). Feminism in family research.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Academic Conference in Spring, 1-16 

  40. Parker, B., & McFarlane, J. (1991). Feminist theory and nursing: An empowerment model for research. Adv Nurs Sci, 13(3), 59-67 

  41. Pursely-Cotteau, S., & Stern, P. N. (1996). Creating a new life: Dimensions of temperance in perinatal cocaine crack user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6(3), 350-367 

  42. Spradley, J.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on 

  43. Reinharz, S. (1992). Feminist methods in social researc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4. Richardson, B. (1998). Feminism and backlash in Canada.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Academic Conference in Autumn, 367-368 

  45. Sheyette, A. (1990). The oppression of caring: Women caregivers of relatives with mental illness. Affilia, 5(1), 32-48 

  46. Sigsworth, J. (1995). Feminist research: Its relevance to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5), 896-899 

  47. Strang, V. (2001). Family caregiver respite and leisure: a feminist perspective. Scand J Caring Sci, 15(1), 74-81 

  48. Streubert, H. J., & Carpenter, D. R. (1999).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Philadelphia: Lippincott 

  49.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London: SAGE Publications 

  50. Swartz-Barcott, D., & Kim, H. S. (2000).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B. Rodger & K. Knalfl (Ed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hiladelphia: W.B. Saunders 

  51. Wuest, J. (1995). Feminist grounded theory: An exploration of the congruency and tensions between two traditions in knowledge discovery. Qualitative Health Research, 5(1), 125-137 

  52. Yoon, T. L. (1996).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of urban middle-class housewives and ideology of motherhood. Korean Women's Studies, 12(2), 79-117 

  53. Yoon, T. L. (2002).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gender: Toward the establishment of feminist ethnography. Korean Women's Studies, 18(2), 201-2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