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을 시도한 젊은 여성들의 삶의 경험에 관한 페미니스트 현상학
Feminist Phenomenology on the Life Experiences of Young Korean Women with Attempted Suicid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3 no.2, 2011년, pp.123 - 134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황순찬 (송파정신보건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experiences of young Korean women with attempted suicid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from four women who attempted suicide during 2008-2009. A total of 25 hours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8년 자살사망률은? 자살은 한국 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의 하나이다. 2008년도에는 인구 10만 명당 자살사망률이 26.0명으로 12,858명이 자살로 사망하였다(Statistics Korea, 2009). 이를 하루 평균으로 환산하면 매일 약 35명이 자살로 사망하며, 이러한 수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가운데에서도 1위라는 불명예를 나타낸다(Statistics Korea, 2009).
자살 위험 요인은? , 2008) 혹은 노인(Kim, 2009; Kim & Choi, 2008) 등으로 구분하여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자살 위험 요인으로는 우울 등의 정신병리, 중독성 장애, 이전의 자살 시도, 자살의 가족력과 부모의 현재 또는 과거의 정신병리, 발달적 외상, 신체적 질병, 그리고 사회적 고립 등으로 밝혀졌다. Kim과 Lee (2009)의 메타분석에서도 우울이나 스트레스 등 심리적 변인군이 자살 생각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사회문화적 그리고 가정환경적 변인군의 순으로 나타나, 자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한국인의 자살 행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데 기존 연구들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하지만 자살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자살 행동에 대한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 들은 다음과 같은 제한점들을 지니고 있는데 첫째, 대부분의 연구대상이 자살 생각을 가진 사람들로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자살은 자살 생각을 기점으로 하여 자살 계획, 자살 시도, 그리고 자살이라는 하나의 과정으로 이어진다고 여겨지지만(Beck, Kovacs, & Weissman, 1979; Calson & Cantwell, 1982), 최근에는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실제로 자살을 시도하거나 자살한 사람들과는 다른 특징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다(Maris, Berman, & Silverman, 2000). 따라서 자살을 생각해 본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자살 예방과 조기 발견에 폭넓게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둘째, 기존 연구의 대부분이 연구자가 선택한 변수 중심의 양적 연구에 치중되어 자살 생각이나 시도 등 자살 관련 행동자들의 견해와 입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즉 연구자 관점의 결과를 가지고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렵다. 보다 효과적인 자살 예방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연구자 중심이 아니라 연구대상자의 내적인 경험에 초점을 둔 질적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Michel et al., 2002).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의 제한점은 대부분의 연구가 남녀를 통틀어 연구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남녀의 특성을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여성 자살의 특성을 잘 드러내지 못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소외감이 남자 청소년들의 자살 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여자 청소년에게는 우울을 매개 삼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등 남녀 간의 차이를 보인다(Le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 343-352. 

  2. Calson, G. A., & Cantwell, D. P. (1982). Suicide behavior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1, 886-891. 

  3. Campbell, J., & Bunting, S. (1991). Voices and paradigms: Perspectives on critical and feminist theory in nursing.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3 (3), 1-15. 

  4.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 (pp. 48-71). NY: Oxford University Press. 

  5. Im, S. B., & Jung, C. S. (2002). A comparison of stressors and coping behavior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suicidal ideation vs those who do no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2), 254-264. 

  6. Jo, K. H., & Kim, Y. K. (2008a).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storation experience for suicide ideation of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2), 258-269. 

  7. Jo, K. H., & Kim, Y. K. (2008b).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ultidimensional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Korean elders by utilizing a community net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3), 372-382. 

  8. Kim, B. Y., & Lee, C. S. (2009).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5), 651-661. 

  9. Kim, B. Y., & Lee, C. S. (2009).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5), 651-661. 

  10. Kim, S. H., & Choi, Y. H. (2008). The influences of perceived stresses on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 (2), 200-208. 

  11. Kim, Y. J. (2009).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6 (3), 333-344. 

  12. Kim, Y., Kim, I., Ju, Y., & Lee, J. (2009). A study on the status of female suicide and policy agenda.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Republic of Korea. 

  13. Lee, E. (2007).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about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line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4), 576-585. 

  14. Lee, E. J., & Lee, E. S. (2002). Correlation between alineation and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delinquency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9 (1), 56-65. 

  15. Maris, R. W., Berman, A. L., & Silverman, M. M. (2000). Textbook of suicidology .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16. McAndrew, F. T., & Garrison, A. J. (2007). Beliefs about gender differences in methods and causes of suicide.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11 , 271-279. 

  17. Michel, K., Maltsbergher, J. T., Jobes, D. A., Leenaars, A. A., Orbach, I., Stadler, K., et al. (2002). Discovering the truth in attempted suicide.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56 (3), 424-437. 

  18.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 Park, E. (2008).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e attempt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3), 465-473. 

  20. Park, H. S. (2007). Validation of a path model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violent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6), 835-843. 

  21. Park, H. S. (2009). Effects of core competency support program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for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6), 851-859. 

  22. Reinharz, S. (1992). Feminist methods in social research.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3.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 (3), 27-37. 

  24. Statics Korea (2009, September 14).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08. Retrieved July 20, 2010, from http://kostat.go.kr/ eboard_faq/BoardAction.do?methodview&board_id1 06&seq266&num266&parent_num0&page1&sdate &edate&search_modes_title&keyworddeath&catgrp eng2009&catid1g01&catid2g01b&catid3&catid4 

  25. Yi, M., & Yih, B. S. (2004). Feminism and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3), 565-5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