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전통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orth Korea′s Traditional Dress in Cultual Aspect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4 no.6, 2004년, pp.53 - 64  

김여경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rth Korea's traditional dress(chosun-ot) has developed as follows: right after the liberation(l945). North Korea tried to get rid of Japanese style and empty formalities and vanity, so chosun-ot became simple and practical. And from the Korean war to 1950's North Korea had tried to establish th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산. 공급활동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섬유 원료를 자체적으로 수급하기 위하여 비교적 북한지역에서 생산이 가능한 천연섬유인 견직물이나 아마직물의 생산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다.
  • 국가차원에서의 자립적인 생산뿐 아니라 지방 단위에서도 자립적인 생산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섬유생산시설을 원료가 생산될 수 있는 지역에 건설하여서 해안의 갈대, 옥수수 대를 원료로 하는 인조섬유 공장을 신의주에 건설하였고.
  • . 그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의복구성 부분에서 1980년대에 '입체적인 설계 방법을 도입하여51)전통 복식의 직선 재단법으로 인하여 옷이 신체에 편안하지 못한 것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북한에서 말하는 입체적인 설계는 현재 남한에서 일반적인 복식용어로 사용되는 입체재단의 의미는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 주체적인 옷차림과 동시에 사회주의 생활양식과 현대적인 미감에 적합한 새로운 스타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소재의 전통복식이 등장하여 옷차림에 대한 낡은 규범과 격식을 깨뜨리고 다양한 대중의 기호와 활동성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19).
  • 그러나 복식을 문화적 측면에서 본다면 시대와 국가, 경제적 여건, 사회 •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 따라 가치가 변하기도 하고 다양하게 해석될 수도 있다 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이념에 따른 문화적인 배경을 고려하여 전통복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 진행하였다. 또한 북한잡지의 사진과 기사를 분석하였으며 탈북자 및 월남자 면담을 통하여 문헌자료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 주체사상을 내세우게 되었다. 주체적인 옷차림과 동시에 사회주의 생활양식과 현대적인 미감에 적합한 새로운 스타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소재의 전통복식이 등장하여 옷차림에 대한 낡은 규범과 격식을 깨뜨리고 다양한 대중의 기호와 활동성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이태영 (1988). 가정복지 정책과 여성생활, 북한여성. 서울: 실천문학사 

  2. 손봉숙 외 (1991). 여성의 의식주 생활, 북한의 여성생활. 서울: 나남 

  3. 한국섬유산업연합회 (1992). 북한 섬유공업현황. 서울: 한국섬유산업연합회 

  4. 주강현 (1994). 의생활풍습. 북한의 민족생활풍습 서울: 대동 

  5. 이선재 (1993). 북한주민의 복식에 대한 고찰. 북한문화연구 제 1 집,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6. 전양진 (1998). 북한의 섬유제품 무역현황. 북한연구, 서울: 명지대학교 북한연구소 

  7. 박영원 (2001). 디자인기호학. 청주: 청주대학교 출판부, p. 118 

  8. 천석근 (1991). 옷과 옷차림. 사회주의 생활문화백과(上). 평양: 근로단체 출판사, p. 194 

  9. 강정구 (1996). 북한 사회 전반에 대한 연구방법론. 통일시대의 북한학, 서울: 당대, pp. 32-46 

  10. 백옥련 (1981). 민주건설시기 낡은 생활인습을 없애기 위한 우리 인민의 투쟁. 력사과학, 2호, p. 36 

  11. 조선중앙방송통신사 펀. 조선중앙년감 1949, p. 104 

  12.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전사 25권. 평양: 과학백과 사전출판사, pp. 213-220 

  13. 주강현 (1994). 의생활풍습. 북한의 민족생활풍습. 서울: 대동. p. 102 

  14.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당력사연구소 (1989). 조선로동략사 1. 서울: 돌베개. p. 25 

  15. 편집부엮음 (1988). 북한 '조선로동당대회' 주요문헌집, 서울: 돌베개, p. 93 

  16. 조선중앙통신사편. 조선중앙년감 1956, p. 113 

  17. 편집부엮음 (1988). 북한 '조선로동당대회' 주요문헌집, 서울: 돌베개, pp. 206-208 

  18. 이태영 (1981). 北韓의 女性. 서울: 민족통일 중앙협의회, pp. 62-63 

  19. 조선로동당 (1982). 김일성 저작집, 제 16권.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p. 209 

  20. W. 버쳇 (1988). 북한현대사. 서울: 신학문사. p. 217 

  21. 천석근 (1991). 사회주의 생활문화 백과(下). 옷과 옷차림. 평양: 근로단체출판사. p. 239 

  22. '우리 인민에 깃든 커다란 배려' 조선녀성. 1984년 4호 

  23. 북한연구소펀 (1986). 북한총람. 1983-1985. p. 1041 

  24. 김영규 (1984). 북한의 실질 소비생활수준 분석. 서울: 국토통일원, p. 109 

  25. 김용구 (1977). 북한주민의 계층별 생활분석. 서울: 국토통일원, p. 51 

  26. '은을 내는 이용생산반-가두인민반들에도 가내작업반을 조직하고 일용잡화를 많이 생산하도록 하겠습니다-', 조선녀성, 1986년 4호 

  27. 주강현 (1994). 의생활풍습. 북한의 민족생활풍습. 서울: 대동. p. 170 

  28. '경공업혁명을 힘있게 다그쳐 인민소비품 생산에서 혁신을 일으키자'. 천리마, 1994년 4호 

  29. 통일원정보분석실 (1994). 북한주민의 의식변화와 사회통제. 서울: 통일원, p. 11 

  30. 전양진 (1998). 북한의 섬유제품 무역현황. 북한연구, 서울: 명지대학교 북한연구소 p. 221 

  31. 주강현 (1994). 의생활풍습. 북한의 민족생활풍습. 서울: 대동. p. 166 

  32. '계절과 옷차림'. 조선녀성. 1989년 2호 

  33. '머리단장을 잘 하려면'. 조선녀성. 1997년 5호 

  34. 박혜민 (2001. 6. 5). 첫 남북합작 평양패션쇼, 중앙일보 on-line. 자료검색일 2001년 6월 7일. 자료출처 http://www.joins.com/ 

  35. '검박한 사생활과 녀성'. 조선녀성. 1999년 5호 

  36. 홍승은 (1984). 자립경제리론.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p. 3 

  37. 리승기 (1976). 비날론. 평양: 과학출판사 

  38. 국토통일원 (1988). 북한의 정치경제. 서울: 국토통일원, p. 133 

  39. 국토통일원 (1971). 인민경제 각 부문에 여성들을 더욱 인입시킬 데에 대하여. 북괴법령집 2. 서울: 국토통일원. p. 554 

  40. 윤미량 (1991). 북한의 여성정책. 서울: 한울, p. 88 

  41. 이태영 (1988). 북한 여성. 서울: 실천문학사, p. 188 

  42. 국토통일원 조사연구실 (1989). 귀순자의 증언을 통해본 북한체제의 변화실태 연구. 서울: 국토통일원. p. 5 

  43. 주강현 (2000). 북한의 우리 식 문화. 서울: 당대, p. 139 

  44. 리유미 (1999). 아름다운 조선옷. 평양: 공업종합출판사, p. 71 

  45. 오양열 (1994). 주체문예이론의 구조와 정책상관성. 북한문화연구제 2집,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pp. 121-122 

  46. 남윤숙 (1989). 한국 현대 여성 복식 제도의 변천과정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167 

  47. 리유미 (1999). 아름다운 조선옷. 평양: 공업종합출판사, p. 81 

  48. 천석근 (1994). 조선의 민속전통(2). 옷과 옷차림.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p. 230 

  49. 천석근 (1994). 조선의 민속전통(2). 옷과 옷차림.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pp. 41-42 

  50. 북한의 패션유행. 중앙일보 북한네트, 자료검색일 2001년 1월 11일. 자료출처 http://nk.joins.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