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기층문화의 전통복식에 나타난 오방색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ive-elements Color of Traditional Costume of Korean Basic Cultur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6 = no.115, 2007년, pp.62 - 70  

김지영 (서일대학 의상과)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colors of the costumes in Korean basic culture in the aim of seeking Five-elements color found in Korean civilian's costume culture. The scope of Korean basic culture was 32 items specified as an import intangible cultural ass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한국 민족의 보편다수를 차지하는 민간인의 문화 즉, 한국 기층문화에 나타난 복식의 오방색 특성을 밝힘으로써 민간인 색채의 고유한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1. 한국 기층문화에 나타난 전통복식의 색상 . 색조 분석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1998). 남해안별신굿.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1998). 안동차전놀이.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3.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1998). 황해도평산소놀음굿.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4.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1998). 경기도 도당굿.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5.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1999). 한 장군놀이.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6.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1999). 강릉단오제.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7. 문화재연구회 (1999). 중요무형문화재 2. 서울: 대원사 

  8. 문화재연구회 (1999). 중요무형문화재 3. 서울: 대원사 

  9. 김경남 (2000). 동래야류. 서울: 화산문화 

  10. 박전열 (2001). 봉산탈춤, 서울: 화산문화 

  11. 박진태 (2001). 통영오광대. 서울: 화산문화 

  12. 심상교 (2000). 고성오광대. 서울: 화산문화 

  13. 심우성 (2000). 남사당놀이. 서울: 화산문화 

  14. 전경욱 (2001). 북청사자놀음. 서울: 화산문화 

  15. 정상박 (2001). 수영야류. 서울: 화산문화 

  16. 정수미 (2001). 한국의 굿놀이(상). 서울: 서문당 

  17. 정수미 (2001). 한국의 굿놀이(하). 서울: 서문당 

  18. 정형호 (2000). 양주별산대놀이. 서울: 화산문화 

  19. 채희완 (1999). 탈춤. 서울: 대원사 

  20. 하효길 (1998), 한국의 풍어제, 서울: 대원사 

  21. 황루시 (2001), 진도씻깃굼, 서울: 화산문화 

  22. 황루시 (2001), 팔도굿, 서울: 대원사 

  23. 황헌만. 정승모 (2001), 한국의 세시풍속. 서울: 학고재 

  2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찬부 (1989-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기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5. 김동욱 외 (1983). 한국민속학, 서울: 새문사, p. 20 

  26. 민속학회 (1994). 한국 민속학의 이해. 서울: 문학아카데미, pp. 20-24 

  27. 김태곤 (1984). 한국민속학원론, 서울: 시인사, pp. 22-23 

  28. 조지훈 (1996). 한국문화사서설. 경기: 나남출판, p. 218 

  2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찬부 (199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7권, pp. 480-481 

  3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찬부 (199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6권, pp. 27 

  3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찬부 (198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0권, pp. 704 

  32. 김지영 (2003). 한국 기층문화에 나타난 복식의 색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1-42 

  3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찬부 (198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0권, p. 704 

  34. 국립현대미술관 (1991), 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제1차 시안 

  35. 국립현대미술관 (1992), 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제2차 시안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