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society recently realized the needs for a system that may effectively prevent and/or resolve different family problems caused by the rapidly changing modem society. In order to carry out this objectives. The Healthy Family Act has been legislated and is to be enforced from the 1st of Janua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법의 지향성을 가늠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법에 담긴 정신을 분석하는 것이다. 고에서는 건강가정기본법이 추구하는 이념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하여 이를 구현하는 법조문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개인의 행복과 건강한 사회의 기초가 되는 가정의 건강성 증진, 둘째, 생활단위로서의 가정에 대한 강조와 가정단위의 통합적인 서비스 제공, 셋째, 양성평등하고 민주적인 가족 가치의 구현, 넷째, 가정의 자립과 협동 그리고 국가의 지원 강화, 그리고 다섯째, 가정문제에 대한 사전적, 예방적 지원의 필요 등이다.
  • 본 고의 목적은 먼저 건강가정기본법에서 추구하는 건강 가정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건강가정의 개념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건강가정기본법이 지향하는 이념과 그 법적인 체계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가족문제의 예방 및 해결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건강한 가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정 중심의 통합적 복지서비스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행정적, 제도적 체계를 만들고자 제안되어, 법으로 공포된 건강가정기본법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의 법인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 본 법이 지향하는 이념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건강한 가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지원과 함께 국민의 노력도 필요함을 명시한 것이다. 본법에서는 건강가정의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가정문제의 적절한 해결방안을 강구하고 가족원의 복지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원정책의 강화를 통해 그 목적에 도달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 기본법의 성격을 갖는다. 우리나라에는 건강가정기본법 이외에도 27개의 기본법이 있는데, 이들 가운데 법의 대상에서 관련이 깊은 '여성 발전기본법', ' 청소년기 본법과 복지서비스에 관한 내용에서 관련이 있는 '사회보장기본법' 등과 비교하여, 건강가정기본법의 체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나아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건강한 가정을 위하여 필요한 제도와 여건을 조성하고 이를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 추진하여야 한다고 하여 국민의 노력보다 훨씬 강력한 국가의 책무를 규정하고 있다. 즉 본 법에서는 가정복지의 향상에 1차적인 책임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있음을 천명하면서 동시에 복지상태를 향유할 국민들의 노력을 주문하고 있다. 이는 국민들을 수동적인 복지수급의 대상자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복지에 대한 능동적인 주체자임을 강조하여 가정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건강 가정이란 건강/비건강의 이분법적 개념이 아니라 가정의 건강성을 복합적인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며, 또 건강가정이 정상가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공동체인 다양한 형태의 가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법에서는 가정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할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지원대상이 되는 가정은 생활단위인 다양한 형태의 가정을 포함한다. 가정의 건강성 증진을 위해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가족관계는 기본적인 가치이므로 건강가정기본법은 이러한 가치의 실현을 위해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자녀의 출산 및 양육지원, 가족부양 지원, 가정친화적인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해 국가의 지원이 필요함을 명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구부리움.흘스타인 지음. 최연실.조은숙.성미애 옮김(1997). 가족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하우 

  2. 김승권(2003). 한국사회에서의 저출산 원인과 정책방향, 가정을 건강하게 하는 시민의 모임.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의 현황과 대책, 49-73 

  3. 김승권(2004). 건강가정기본볍 제정의 기대효과. 대한가정학회, 건강가정기본법 제정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0-33 

  4. 김인숙(2003). 가족해체방지 및 건강가정 육성 지원을 위한 공청회자료집,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85-91 

  5. 대한가정학회(1995). 지방화시대와 가정복지. 대한가정학회 제48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6. 대한가정학회(1996). 21세기를 향한 가정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대한가정학회 제49차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7. 대한가정학회 건강가정육성기본법추진위원회(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 제정을 위한 Workshop 자료집 

  8. 문숙재 . 윤소영 . 김은희(2002). 무보수 가사노동의 국민경제에 대한 기여도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40(10), 161-176 

  9. 박영도(1997). 입법기술의 이론과 실제. 한국법제연구원 

  10. 보건복지위원회 수석전문위원(2003.11). 가족지원기본법안(김홍신의원 대표발의) 검토보고서 

  11. 서지원.이기영(1997). 사무직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지속 결정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2), 99-109 

  12. 유영주(1999). 건전가정과 건강가족의 개념 설정에 대한 논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3), 93-102 

  13. 유영주(2004a). 새로운 가족학. 도서출판 신정 

  14. 유영주(2004b). 한국 건강가정의 의미와 방향 모색. 한국건강가족실천운동본부. UN 세계가정의 해 10주년 기념 심포지움 자료집 

  15. 윤홍식(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쟁점과 한국가족복지정책의 과제.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및 보육업무 이관에 따른 보고.결의대회. 사회복지공동대책위원회, 71-99 

  16. 이정전(2003). 가정과 사회적 자본, 그리고 경제. 한나라당정책위원회, 가족해체 방지 및 건강가정 육성 지원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39-53 

  17. 장지연.김지경(2001). 양육형태와 비용이 기혼여성의 취업단철에 마치는 영향. 제3회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 논문집.365-388 

  18. 장혜경 . 김혜경 . 이진숙 . 김현주 . 장화경(2002). 외국의 가족정책과 한국의 가족정책 및 전담부서의 체계화 방안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 정민자(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안)의 입법 방향과 내용. 한나라당정책위원회, 가족해체 방지 및 건강가정 육성 지원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15-36 

  20. 정현숙(2003). '평등가족기본법' 제정을 위한 기초연구 및 법안마련 연구. '평등가족기본법' 전문가 토론회 자료집 

  21. 조은희(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분석. 한국여성민우회, 건강가정기본법 진단 토론회 자료집, 19-44 

  22. 조형 . 강인순 . 정진주(2003). 여성의 시민적 권리와 사회정책. 한울아카데미 

  23. 조희금(2000). 가정복지사의 역할과 과제. 21C 가정복지의 전망과 과제. 대구대학교 2000년도 학술세미나 자료집, 47-63 

  24. 조희금 외(2002). 가정생활복지론. 도서출판:신정 

  25. 조희금(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 제정에 관한 공청회 진술서. 국회보건복지위원회, 공청회 자료집, 21-31 

  26. 한국가정관리학회(1998). 가정복지사 제도 정착을 위한 토론회자료집 

  27. 한국가정관리학회(1999). 21세기 가정복지의 지향과 사회적 실천. 한국가정관리학회, 제25차 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8. 한국여성민우회(2004). 건강가정 있다/없다. 건강가정기본법 진단토론회 자료집 

  29. 한국여성단체연합(2003). 성인지적인 가족정책을 모색한다!. 가족정책토론회 자료집 

  30. 日本家政學會家庭經營學部會關東地區(1980). '新しぃ家庭生活を考える -家庭生活の健全度調査報告-'. 日本 東京; 樂游書房 

  31. Olson, D. H. & DeFrain, J.(2003). Marriage and Families-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 McGrawhill, Company 

  32. Olson, D. H.(2004) . Marital and family strength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KIFS, Korean International Family strengths Conference, 2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