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식물성 성분 중에서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솔잎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DPPH법, thiocyanate법, TBA법 및 microsome 생 체 막 지 질 과산화물 생성정도를 TBARS법으로 측정 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61%이었으며, DPPH 측정법에서는 짙은 자색의 탈색되는 정도로 나타내는 전자 공여능이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농도에서 BHT와 비슷한 수준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간 microsome을 이용한 생체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67.7%)>0.05% (63.1%)>0.01%(28.2%) 순으로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한 thiocyanate법에서는 0.01%, 0.05%, 0.1%의 농도에서 모두 반응 7일째까지 대조구에 비해 매우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TBA법에서는 반응 6일째까지 는 0.1%>0.05%>0.01%의 순으로 농도 증가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솔잎 수용성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were tested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The concentration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 of water extracts from pine needle was 1.61 %. In DPPH (
#Pind needle
#polyphenolic compound
#antioxidative activity
#DPPH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때 총 폴리페놀 화합물은 tann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Tannic acid를 이용한 표준곡선은 tannic acid 1 g을 50% 메탄올 용액 1 ml에 녹이고 최종 농도 가 0, 50, 100, 150, 200, 300 및 500 ug/ml 용액이 되도록 조제하여 이를 일정량 취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작성하였다.
67% TBA 1 ml를 가하여 혼합하고 끓는 물속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발색시켰다. 냉각 후 535 run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지질과 산화의 억제율은 대조구의 흡광도에 대한 저해율(%)로 비교하였다.
세절한 솔잎 100 g과 솔잎 중량의 10배의 증류수를 열수 추출기에 넣고 90°C에서 2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모아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
식물성 성분 중에서 생리활성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솔잎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DPPH법, thiocy anate 법, TBA법 및 microsome 생체막지질 과 산화물 생성 정 도를 TBARS법으로 측정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
1 ml를 혼합한 후 정확히 3분 후에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의 비교를 위하여 BHT를 0.05% 농도로 사용하여 BHT 첨가구로 하였다.
2에 여과시켜 만들었다. 이용 액 5 ml에 일정 농도(0.01%, 0.05%, 0.1%)의 시료용액 1 ml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28 nm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卩2]. 이 때 대조구인 BHT는 0.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페놀성 물질이 phosphomo- lybdic acid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한 Folin- Denis법[24]을 약간 변형시켜 측정하였다. 즉, 시료용액 0.
세절한 솔잎 100 g과 솔잎 중량의 10배의 증류수를 열수 추출기에 넣고 90°C에서 2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모아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2)로 여과시킨 후 여과액을 rotato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고, 농축된 액을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시킨 분말 상태를 수용성 추출물로 하였으며, 이때 수율은 약 1% 정도였다.
2 ml를 가하여 40°C에서 incu bation 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혼합용액에서 0.1 ml을 취하여 시험관에 넣고 70% ethanol 3 ml과 ammonium thiocyanate 용액 0.1 ml, ferrous chloride 용액 0.1 ml를 혼합한 후 정확히 3분 후에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의 비교를 위하여 BHT를 0.
본 실험에서 사용한 솔잎은 2003년 10월경 경남 합천군 해인사 부근 인근 야산에서 자생하는 소나무(Pini/s denstifora) 에서 잎만을 채취하여 일반 수돗물로 세척하고 다시 증류수로 헹군 후 그늘에서 말린 후 2〜3 cm 길이로 세절하여 추출 재료로 사용하였다.
4. Antioxidative activity of pine needle extracts in the linoleic acid system that is measured by the TBA method.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0.
3. Antioxidative activity of pine needle extracts in the linoleic acid system that is measured by the thiocyanate method.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0.
항산화 활성은 Wong 등의 방법[2기에 따라 50 mM Tris- HC1 buffer (pH 7.5) 1.5 ml에 시료용액 0.2 ml, 간micro- some 분획(1 ml중 1 mg의 단백질 함유) 0.1 ml, 0.1 mM as corbate 0.1 ml 및 5 mM FeSCQ 0.1 ml를 차례로 가하여 반응액을 잘 혼합한 후 37°C의 shaking water bath에서 1시간 in cubation 시켜 과산화를 유도시켰다.이때 대조 구는 시료를 첨가시키지 않고 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