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솔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4 no.5 = no.66, 2004년, pp.863 - 867  

유지현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차재영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정영기 (동의대학교 생명응용과학과) ,  정경태 (동의대학교 생명응용과학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성 성분 중에서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솔잎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DPPH법, thiocyanate법, TBA법 및 microsome 생 체 막 지 질 과산화물 생성정도를 TBARS법으로 측정 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61%이었으며, DPPH 측정법에서는 짙은 자색의 탈색되는 정도로 나타내는 전자 공여능이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농도에서 BHT와 비슷한 수준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간 microsome을 이용한 생체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67.7%)>0.05% (63.1%)>0.01%(28.2%) 순으로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한 thiocyanate법에서는 0.01%, 0.05%, 0.1%의 농도에서 모두 반응 7일째까지 대조구에 비해 매우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TBA법에서는 반응 6일째까지 는 0.1%>0.05%>0.01%의 순으로 농도 증가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솔잎 수용성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were tested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The concentration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 of water extracts from pine needle was 1.61 %. In DPPH ($\alpha$, $\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때 총 폴리페놀 화합물은 tann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Tannic acid를 이용한 표준곡선은 tannic acid 1 g을 50% 메탄올 용액 1 ml에 녹이고 최종 농도 가 0, 50, 100, 150, 200, 300 및 500 ug/ml 용액이 되도록 조제하여 이를 일정량 취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작성하였다.
  • 67% TBA 1 ml를 가하여 혼합하고 끓는 물속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발색시켰다. 냉각 후 535 run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지질과 산화의 억제율은 대조구의 흡광도에 대한 저해율(%)로 비교하였다.
  • 세절한 솔잎 100 g과 솔잎 중량의 10배의 증류수를 열수 추출기에 넣고 90°C에서 2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모아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
  • 식물성 성분 중에서 생리활성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솔잎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DPPH법, thiocy­ anate 법, TBA법 및 microsome 생체막지질 과 산화물 생성 정 도를 TBARS법으로 측정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
  • 1 ml를 혼합한 후 정확히 3분 후에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의 비교를 위하여 BHT를 0.05% 농도로 사용하여 BHT 첨가구로 하였다.
  • 2에 여과시켜 만들었다. 이용 액 5 ml에 일정 농도(0.01%, 0.05%, 0.1%)의 시료용액 1 ml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28 nm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卩2]. 이 때 대조구인 BHT는 0.
  •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페놀성 물질이 phosphomo- lybdic acid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한 Folin- Denis법[24]을 약간 변형시켜 측정하였다. 즉, 시료용액 0.
  • 세절한 솔잎 100 g과 솔잎 중량의 10배의 증류수를 열수 추출기에 넣고 90°C에서 2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모아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2)로 여과시킨 후 여과액을 rotato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고, 농축된 액을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시킨 분말 상태를 수용성 추출물로 하였으며, 이때 수율은 약 1% 정도였다.
  • 2 ml를 가하여 40°C에서 incu­ bation 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혼합용액에서 0.1 ml을 취하여 시험관에 넣고 70% ethanol 3 ml과 ammonium thiocyanate 용액 0.1 ml, ferrous chloride 용액 0.1 ml를 혼합한 후 정확히 3분 후에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활성의 비교를 위하여 BHT를 0.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서 사용한 솔잎은 2003년 10월경 경남 합천군 해인사 부근 인근 야산에서 자생하는 소나무(Pini/s denstifora) 에서 잎만을 채취하여 일반 수돗물로 세척하고 다시 증류수로 헹군 후 그늘에서 말린 후 2〜3 cm 길이로 세절하여 추출 재료로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4. Antioxidative activity of pine needle extracts in the linoleic acid system that is measured by the TBA method.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0.
  • 3. Antioxidative activity of pine needle extracts in the linoleic acid system that is measured by the thiocyanate method.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0.
  • 항산화 활성은 Wong 등의 방법[2기에 따라 50 mM Tris- HC1 buffer (pH 7.5) 1.5 ml에 시료용액 0.2 ml, 간micro- some 분획(1 ml중 1 mg의 단백질 함유) 0.1 ml, 0.1 mM as­ corbate 0.1 ml 및 5 mM FeSCQ 0.1 ml를 차례로 가하여 반응액을 잘 혼합한 후 37°C의 shaking water bath에서 1시간 in­ cubation 시켜 과산화를 유도시켰다.이때 대조 구는 시료를 첨가시키지 않고 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1996.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ublic of Korea 

  2. Bauernfeind, J. C. and D. M. Pinkert. 1970. Food processing with added ascorbic acid. Adr. in Food Res 18, 219 

  3. Bidlack, W. R. and A. L. Tappel. 1973. Damage to microsomal membrane by lipid peroxidation. Lipids 8, 177- 178 

  4. Boo, Y. C., C. O. Jeon and J. Y. Oh. 1994. Isolation of 4-hydroxy-5-methyl-3[2H]-furanone from pine needles as an antioxidative principl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7, 310-314 

  5. Brieskorn, C. H., A. Fuch, J. B. Bredenberg, J. D. Mcchensney and E. Wenkert. 1964. The structure of carnosol. J. Org. Chem. 29, 2293-2299 

  6. Cha, J. Y. and Y. S. Cho. 2001. Effect of stem bark extract from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lipid concentrations of lipid and tissue lipid peroxidation in the cholesterol-fed rats. Korean J. Food Sci. Thechnol. 33, 128- 134 

  7. Chang, Y. S., U. Choi, D. H. Shin and J. I. Shin. 1992. Synergistic of Rhus javanica L.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9-153 

  8. Choi, U., D. H. Shin, Y. S. Chang and J. I. Shin.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antioxida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9. Chung, B. S. and M. K. Shin. 1990. The great dictionary of traditional and crude medicine. pp.3-152. YoungLim Press, Seoul 

  10. Esterbauer, H., J. Lang, S. Zadravec and T. F. Slater. 1987. Methods in Enzymology, Vol. 152, Academic Press Inc., New York 

  11. Foote, C. S. and R. W. Denny. 1968. Chemistry of singlet oxygen quenching by $\beta$ -carotene. J. Am. Chem. Soc. 90, 6233-6239 

  12. Hwang, J. T., H. C. Kang, T. S. Kim and W. J. Prak. 1999. Lipid component and properties of grape seed oils. Korean J. Food. Nutr. 12, 150-155 

  13. Jun, B. S., J. Y. Cha and Y. S. Cho. 2001.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31-238 

  14. Kang, Y. H., Y. K. Park, S. R. Oh and K. D. Moon.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15. Kim, E. J., S. W. Jung, K. P. Choi and S. S. Ham. 1998. Cytotoxic effect of the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13-217 

  16. Kim, H. J., J. Y. Cha, M. L. Choi and Y. S. Cho.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8-152 

  17. Kim, J. D., T. H. Yoon, N. Choi, K. J. Im, J. S. Ju and S. Y. Lee. 1991.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ine leaf on lipid parameters in rats. Kor. J. Gerontol. 1, 47-50 

  18. Kim, S. M, Y. S. Cho and S. K. Sung. 1999. Effect of ethanol extracts in Pinus densiflora, Lithos permum erythrorhizon on the lipid oxidation of oil emul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84-989 

  19. Miura, K. and N. Nakatani. 1989. Antioxidative activity of flavonoid from Thyme. Agric. Biol. Chem. 53, 3043-3045 

  20. Osawa, T. 1981. A novel type of antioxidant isolated from leaf was of Eucalyptus leaves. Agric. Biol. Chem. 45, 735- 739 

  21. Ottolenghi, A. 1959. Interaction of ascorbic acid and mitochondrial lipids. Arch. Biochem. Biophys. 79, 355-461 

  22. Plaa, G. L. and H. Witschi. 1976. Chemicals, drugs and lipid peroxidation. Annu. Rev. Pharmacol. Toxicol. 16, 125- 131 

  23. Saito, M. 1988. Interaction between lipid peroxide formation and nutritional status. J. Jpn. Soc. Nutr. Food Sci. 41, 343-349 

  24. Swain, T., W. 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25. Tappel, A. L. 1972. Vitamin E and free radical peroxidation of lipids. Ann. N. Y. Acad. Sci. 12, 203-208 

  26. Vergroeson, A. T. 1997. Physiological effects of dietary linoelic acid. Nutr. Rev. 35, 1-9 

  27. Wong, S. F., B. Holliwell, R. Richimond and W. R. Skowroneck. 1981. The role of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in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induced by metal ions and by ascorbic acid. J. Inorganic Biochem. 14, 127-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