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계적 건강관리프로그램이 모성과 미숙아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Systemic Follow up Health Care Program on the Health Promotion and the Risk Reduction in Premature Infants and Their Mother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6, 2004년, pp.1129 - 1142  

안영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systemic follow-up care program on health promotion and risk reduction in 64 high-risk infants(HRI) including premature infants and their mothers. Method: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systemic NICU education, tele-counseling and 3 h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체계적 추후건강관리프로그램이 모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모성자존감, 산후우울,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일반적인 우편 수거율은 10~20%로(Lee, Lim & Park, 1998), 본 연구의 *편수거율은 가능한 결과이다. 또한 대조군의 경우 일상적인 입원 교육은 대부분 남편에게 행하여지고(어머니가 입원해있 2므로), 후에 어머니가 면회를 와도 5분~10분에 국한된 면회 시간 동안 충분한 교육상담을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인해 의료진과 어머니 사이에 강한 심리적 연계성을 기대하기 어녑다. 퇴원 후에는 긴박한 문제가 없는 한 본 병원이 아닌 거주지 근처의 1차 의료기관을 통해 건강관리를 받는 경우 역시 본 병원과 물리적 연계성을 한정지으므로 6개월 간 추적 조사하는데 있어 높은 이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 이는 HRI를 분만하고 양육하는 어머니의 경우 이미 산후우울의 개연성이 높으며 다른 도움이 없이는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고 더욱 심각해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HRI 모성의 심각한 산후우울 정도와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중재의 당위성을 주장한다.
  • 본 연구는 NICU에 입원한 HRI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입원부터 퇴원 후 6개월까지 체계적인 건강관리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HRI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과 모아관계에 미치는 모성 측 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유사실험설계(a quasi-experimental study)이었다.
  • 본 연구는 미숙아를 포함한 HRI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출생 후 NICU입원부터 퇴원 후 6개월 동안 체계적 추후관리 (강화된 입원교육, 정기적인 가정방문과 전화상담)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들은 처음 연구가 시작되어 NICU 입원 교육을 받을 시기에는 각각 64명(실험군 34명, 대조군 30명)이었으나, 퇴원 후 3차에 걸친 가정방문 과정에서 점차 탈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 그 결과 오늘날 국내의 경우 미숙아를 대상으로 가정간호를 펼치는 병원은 한 곳도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병원 중심의 미숙아 추후관리가 미숙아와 모성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제시한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을 확대할 때 발생하는 장 .
  • 15개이었다. <Table 9> 역시 실험군 미숙아의 상태와 건강문제에 관한자료를 제시한다. 1차 방문 시 건강문제는 피부문제(12.
  • 이러한 피부문제는 의학적 질병이기보다는 적극적 의학적 중재가 필요치 않은 일종의 상태이었으나 아기 어머니는 가장 심각한 건강문제로 인식하였다. 이에 가정방문 동안 피부의 역할 미숙아 피부의 특징 등을 설명함으로써 어머니가 아기피부를 잘 관리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해 주었다. 빈혈 역시 미숙아인 실헌군에게서 심각한 건강문제로 사정되었다.
  • 또한 현재 시도되고있는 보건소 중심의 추후관리도 그 효과측정에 있어 모성 측면에 국한됨에 따라, 근본적으로 영아 측면에 미치는 효과분석은 보고 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숙아를 포함한 HR와 가족에게 NICU입원부터, 퇴원 후 6개월까지 체계적인 추후건강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영아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및 효과 모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모성 측 요인 즉 모성자존감, 산후우울, 가족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가설 설정

  • 이는 역으로 -{RI 가정과 NICU 간에는 입원 시는 물론 퇴원 후에도 계속 석인 연계를 가질 만한 적극적인 유대감이 결여되어 있음을 감시한다. 또한 탈락한 대상은 연구중재의 장점을 크게 인식하지 못한 상대적으로 안정된 HRI 가정일 수 있다. 이와 같 S 점을 모두 고려한 상태에서 연구중재가 모성자존감과 산후우울에 미치는 효과의 검정력이 각각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M. (2002).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community-based health care program for premature infants and family.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8(2), 121-130 

  2. Ahn, Y. M. (2004). Follow-up health care management for the congenital anomaly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The project report. Incheon: Yonsu-ku 

  3. Ahn, Y. M., & Kim, J. H. (2003). Comparison of maternal self-esteem, postpartal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mothers of normal and of low birth-weight infants. J Korean Acad Nurs, 33(5), 579-589 

  4. Ahn, Y. M., & Lee, S. M. (2004).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NICU Hospitalization Education on Maternal Attachment, Maternal Self-Esteem,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Mothers of High-Risk Infant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0(3), 341-350 

  5. Armstrong, K. L., Fraser, J. A., Dadds. M. R., & Morris, J. (2000). Promoting secure attachment, maternal mood and child health in a vulnerable popul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Pediatr Child Health, 36(6), 555-562 

  6. Blair, C. (2002). Early intervention for low birth weight, premature infants: the role of negative emotionality in the specification of effects. Dev Psychopathol, 14(2), 311-332 

  7. Cartlidge, P. (2000). The epidermal barrier. Semin Neonatol. 5, 273-280 

  8. Chae, Sunmee. (200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follow-up program for low-birth weight infants(Doctoral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9. Cho, K. J., Jung, Y., & Lee, K. J. (1997).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of LBW and normal neonate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3(1), 5-18 

  10. Choi, S. J., & Kwon, M. K. (2000). A comparative study on education needs in low birth weight infant's mother at discharge and after one month at home.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3(1), 73-94 

  11. Cox, J. L., Holden, J. M.,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782-786 

  12. Finello, K. M., Litto, K. M., Delemos, R., & Chan, L. S. (1998).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families during the first year of like: comparisons of medical outcomes based on after care services. J Perinatol, 18(5), 365-371 

  13. Han, K. J., & Bang, K. S. (1999). Confirmatory analysis of maternal self-report inventory(Maternal Self-Esteem).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 64-82 

  14. Kim, M. 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neo-maternal exposure and the maternal attachment, the maternal self-esteem of NICU infants(Master dissertation). Incheon: Inha University 

  15. Kim, M. S., Kim, J. U., Ahn, Y. M., Bae, S. M., & Kim, M. J. (2003). The research on the breast feeding and its related factors of premature infant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9(3). 272-284 

  16. Kim, T. I. (2000). A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of mother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6(2), 224-239 

  17. Lee, E. O., Lim, N. Y., & Park, H. A. (1998).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Soomoonsa 

  18. Lundblad, B., Byrne, N. W., & Hellstrom, A. L. (2001). Continuing nursing care needs of children at time of discharge from one regional medical center in Sweden. J Pediatr Nurs, 16(1), 73-78 

  19. Melnyk, B. M., Alpert-Gillis, L., Feinstein, N. F., Fairbanks, E., Schultz-Czarnick, Hust, D., Sherman, L., LeMoine, C., Moldenhauer,' Z., Small, L., Bender, N. & Sinkin, R. A. (2001). Improving cognitive development of low-birthweight premature infants with the COPE program: A pilot study of benefit of early NICU intervention with mother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4. 373-389 

  20. McGrath, M. M., & Meyer, E. C. (1992). Maternal self-esteem: from theory to clinical practice in a special care nursery. CHC, 21(4). 199-205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ww.mohw.go.krlhtml/kor/l 2_statistics. 2004 

  22. Ortenstrand, A., Windbladh, B., Nordstrom, G., & Waldenstrom, U. (2001). Early discharge of preterm infants followed by domicilliary nursing care: parents anxiety, assessment of infant health and breastfeeding. Acta Paediatr, 90(10), 1190-1195 

  23. Park, S. K., Song, C. H., & Park, K. (2000). Currency and Perspectives in Health Management for Premature Infants, Seoul: Jipnoondang 

  24. Shea, E., & Tronick, E. Z. (1988). The Maternal self-report inventory: A research and clinical instrument for assessing maternal self-esteem. in H. E. Fitzgerald. B. Lester & M. W. Yogman (eds). Theory and research in behavioral pediatrics(vol. 4) 

  25. Shin, H. S. Korean DDST n. Hyunmoonsa. 2002 

  26. Smilkstein, G., Ashworth, C., & Montano, D. (198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amily APGAR as a test of family function. J Fam Pract, 15(2), 303-311 

  27. Taylor, H. G, Klein, N., Minich, N. M., & Hack, M. (2001). Long-term family outcomes for children with very low birrth weights. Arch Pediatr Adolesc Med, 155(2). 155-61 

  28.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Neonatal Intensive Care Manual. 2004 

  29. Tin, W., Wariyar, U., & Hey, E. (1997). Changing prognosis for babies of less than 28 weeks' gestation in the north of England between 1983 and 1994. British Medical Journal, 314. 107-111 

  30. Westrup, B., Kleberg, A., Eichwald, K., Stjernqvist, K., & Lagercrantz, H. (2000).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in a Swedish setting. Pediatrics, 105(1), 66-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