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6S rDNA 분석을 이용한 강화도 장화리 갯벌 퇴적물 내 미생물 군집구조 및 다양성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Using 16S rDNA Analysis in the Intertidal Sediment of Ganghwa Island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0 no.3, 2004년, pp.189 - 198  

조혜연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  이정현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현정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화도 장화리 갯벌 퇴적물 내의 두 층(0-1cm, 6-7cm 깊이)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구조 및 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해 16S rDNA의 서열에 기초한 말단제한절편 다형성(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 T-RFLP)분석과 클론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한 효소HhaI을 이용한 T-RFLP분석 결과표층(0-1cm)에서는 다양한 크기(($60{\pm}2$) bp-($667{\pm}2$)bp)의 말단제한절편(T-RF)들이 고른 분포로 나타났으며, 저층(6-7 cm)에서는 ($60{\pm}2$)bp와 ($93{\pm}2$) bp의 T-RF가 우세하게 나타나 표층에 비해 미생물 군집구조가 단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172개의 클론의 16S rDNA부분 염기서열 분석 결과 98% 유사도 수준에서 98%의 클론이 GenBank에 등록된 염기서열 중 배양된 어떤 미생물과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148개의 클론(86%)이 서로 다른 계통형(phylotype)으로 분류되어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클론들은 $\alpha$-, $\gamma$, $\delta$-Proteobacteria, Acidobacteria/Holophaga 그리고 green nonsulfur bacteria 그룹 내에 속하였고, 이 중 Proteobacteria 그룹이 표층에서는 전체의 69%, 저층에서는 46%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황원소의 산화와 환원에 관련된 $\gamma$-Proteobacteria와 $\delta$-Proteobacteria 그룹이 각각 21.5%와 15.7%로 우세하게 나타나 갯벌의 미생물 군집 구조가 혐기성 환경에서의 황환원에 의해 생성된 황의 거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FLP analysis and clone sequencing analysis based on bacterial 16S rDNA were conducted to assess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in two layers (0-1cm, 6-7cm depth) of the sediment from Janghwari intertidal flat in Ganghwa Island. The results of T-RFLP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경우 최근에 갯벌 미생물 다양성에 대한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지만(2, 3, 20) 외국에 비해 극히 부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하구 갯벌의 하나인 강화도 갯벌에서 말단제 한절편분석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 RFLP)을 통해 미생물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16S rDNA의 염기 서열 분석을 이용한 미생물 다양성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두 층의 미생물 생태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경민,서영훈, 신주옥, 이혜영 , 정인실 , 조은희,하영미.2003. 미생물학 제5판 라이프사이언스 p.428-472 

  2. 이명숙 , 홍순규 , 이동훈 , 김치경, 배경숙 , 배경숙.. 2001. 16S rRNA 유전자 분석에 의한 전남 순천만 갯벌의 세균 다양성. 한국매생물학회지 37, 137-144 

  3. 한국해양연구원. 1998. 제한절편말단분석법으(T-RELP),을 이용한 해양퇴직물의 세균 군집분석 P.97 

  4. 한국해양연구원. 1999. 갯벌이 효율적인 이용과 보존을 위한 연구 p.841 

  5. 헌정호 , 이홍금 , 권개경. 2003. 해양환경의 황산염 환원율 조절요인 및 유기물 분해에 있어 황산염 환원의 중요성. 한국해양학회지 8, 210-224 

  6. 현정호, 목진숙, 조혜연, 조병철, 최중기. 2004. 하계 강화도 갯벌의 혐기성 유기물 분해능 및 황산염 황원력. 한국습지학회지 6, 75-90 

  7. Amann, R., W. Ludwig, and K.-H. Schleifer. 1995. Phylogenetic identification and in situ detection of individual microbial cells without cultivation. Microbiol. Rev. 59, 143-169 

  8. Bowman, J.P. and R.D. McCuaig. 2003. Biodiversity, community structural shifts, and biogeography of prokaryotes within Antarctic continental shelf sediment. Appl. Environ. Microbiol. 69, 2463- 2483 

  9. Canfield, D.E., B.B. Jørgensen,, H. Fossing, R. Glud, J. Gundersen, N. B. Ramsing, B. Tramdrup, J. W. Hansen, L. P. Nielsen, and P. O. J. Hall. 1993. Pathways of organic carbon oxidation in three continental margin sediments. Mar. Geol. 113, 27-40 

  10. Capone, D.G. and R.P. Kiene. 1988. Comparison of microbial dynamics in marine and freshwater sediments : Contrasts in anaerobic carbon catabolism. Limnol. Oceanogr. 33, 725-749 

  11. Cifuentes, A., J. Anton, S. Benlloch, A. Donnelly, R.A. Herbert, and F. Rodriguez-Valera. 2000. Prokaryotic diversity in Zostera noltii-colonized marine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6, 1715-1719 

  12. Dhillon, A., A. Teske, J. Dillon, D.A. Stahl, and M.L. Sogin. 2003.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ulfate-reducing bacteria in the Guaymas basin. Appl. Environ. Microbiol. 69, 2765-2772 

  13. Dunbar, J., L.O. Ticknor, and C. R. Kuske. 2000. Assessment of microbial diversity in four southwestern United States soils by 16S rRNA gene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analysis. Appl. Environ. Microbiol. 66, 2943-2950 

  14. Finlay, B. J. 2002. Global dispersal of free-living microbial eukaryote species. Science 296, 1061-1063 

  15. Frischer, M.E., J.M. Danforth, M.A.N. Healy, and F.M. Saunders. 2000. Whole-cell versus total RNA extraction for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with 16S rRNA-targeted oligonucleotide probes in salt marsh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6, 3037- 3043 

  16. Gray, J.P. and R.P. Herwig. 1996.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marine sediments. Appl. Envrion. Microbiol. 62, 4049-4059 

  17. Hugenholtz, P., C. Pitulle, K.L. Hershberger, and N.R. Pace. 1998. Novel division level bacterial diversity in a Yellowstone hot spring. J. Bacteriol. 180, 366-376 

  18. Jordan, D.C. 1984. Family III Rhizobacteae CONN 1938, 321AL. p.234. In N. R. Krieg (ed.),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8th ed. volume 1. The Willams & Winkins Co., Baltimore, London 

  19. Jørgensen, B.B. 1982.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sea bed - the role of sulphate reduction. Nature 296, 643-645 

  20. Kim, B-S., H.-M. Oh, H.J. Kang, S.-S. Park, and J.S. Chun. 2004. Remarkable bacterial diversity in the tidal flat sediment revealed by 16S rDNA analysis. J. Microbiol. Biotechnol. 14, 205-211 

  21. King, G.M. 1988 Patterns of sulfate reduction and the sulfur cycle in a south Carolina salt marsh. Limnol. Oceanogr. 33, 376-390 

  22. Kuske, C.R., K.L. Banton, D.L. Adorada, P.C. Stark, K.K. Hill, and P.J. Jackson. 1998. Small-scale DNA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field PCR detection of microbial cells and spores in soil. Appl. Environ. Microbiol. 64, 2463-2472 

  23. Li, L., C. Kato, and K. Horikoshi. 1999. Microbial diversity in sediments collected from the deepest cold-seep area, the Japan trench. Mar. Biotechnol. 1, 391-400 

  24. Li, L., C. Kato, and K. Horikoshi. 1999. Microbial diversity in sediments collected from the deepest cold-seep area, the Japan trench. Mar. Biotechnol. 1, 391-400 

  25. Llobet-Brossa, E., R. Rossello-Mora, and R. Amann. 1998.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of Wadden sea sediments as revealed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4, 2691-2696 

  26. Madigan, M.T., J.M. Martinko, and J. Parker. 2000.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Prentic Hall. U.S.A 

  27. Moeseneder, M.M., J.M. Arrieta, G. Muyzer, C. Winter, and G.J. Herndl. 1999. Optimization of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for complex marine bacterioplankton communities and comparison with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ppl. Environ. Microbiol. 65, 3518-3525 

  28. Ravenschlag, K., K. Sahm, J. Pernthaler, and R. Amann. 1999. High bacterial diversity in permanently cold marine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5, 3982-398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