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 도축공정 중의 미생물 증감 추이
Incidence of Microorganisms during Slaughtering Process of Cattl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4 no.3, 2004년, pp.232 - 237  

차성관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윤지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명호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신점호 (서울대학교) ,  이무하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축장 규모 및 계절별로 도축 공정 단계에 따른 미생물학적 오염도와 변화 추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도축 5단계 즉, 박피 후, 내장 적출 후, 최종 세척 전, 최종 세척 후 그리고 냉장실에서 소 도체 흥부 표면에 대한 미생물학적 분석을 위하여 가로세로 10${\times}$10 cm의 면적에 대하여 swab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 시료에 있어 대규모 도축장은 박피, 내장 적출 및 최종 세척 전까지의 도축단계에서는 $10^{0}$$10^2$CFU/ $\textrm{cm}^2$ 수준의 일반세균이 검출되어 $10^{0}$$10^3$ 수준을 보인 중소규모 도축장에 비하여 1∼2 log값이 적은 미생물이 검출되었으나, 최종세척 후($10^2$CFU/$\textrm{cm}^2$)와 냉장실($10^1$CFU/$\textrm{cm}^2$)의 미생물 검출값에 있어서는 도축장 규모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겨울철 시료는 봄철 시료에 비하여 도축장 규모에 차이 없이 일반세균이 1 log 값 정도 적게 검출되었다. 최종세척 공정의 시료채취 부위에 따른 세척 효과를 보기 위한 실험에서 둔부 부위에서는 세척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옆구리와 흉부 부위에서는 오히려 세척 후 미생물 수가 최종 세척 전 단계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beef carcasses at different slaughtering process in large (>100 cattle/day) and small (<30 cattle/day) scale slaughtering houses. Swabbing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incidence of microorganisms on brisket surface of beef car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소 도축장의 HACCP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대규모 도축장 두 곳과 소규모 도축장 두 곳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2회 시료를 채취하여 도축 공정 단계별로 일반세균수와 대장균 및 대장균군 수의 증감 추이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도축장 규모 및 계절별로 도축 공정 단계에 따른 미생물학적 오염도와 변화 추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도축 5단계 즉, 박피 후, 내장 적출 후, 최종 세척 전, 최종 세척 후 그리고 냉장실에서 소 도체 흉부 표면에 대한 미생물학적 분석을 위하여 가로세로 10×10 cm의 면적에 대하여 swab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 value of two large scale slaughterhouse of two times and of two different cattle.
  • 1)Mean value of two large scale slaughterhouse, of two times and two different cattle.
  • 1)Mean value of two small scale slaughterhouse of two times and of two different ㅊcattle.
  • 1)Mean value of two small scale slaughterhouse of two times and of two different ㅊcattle.
  • 1)Mean value of two small scale slaughterhouse, two times and two different catt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AFC (1993) HACCP generic model. Slaughter of cows and boneless beef.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Food Protection and Inspection Branch, Ottawa, Canada 

  2. Barkate, M. L., Acuff, G. R., Lucia, L. M., and Hale, D. S. (1993) Hot water decontamination of beef carcasses for reduction of initial bacterial numbers. Meat Sci. 35, 397-401 

  3. Charlebois, R., Trudel, R., and Messier, S. (1991) Surface contamination of beef carcasses by fecal coliforms. J. Food Prot. 54, 950-956 

  4. Dickson, J. S. (1995) Susceptibility of pre-evisceration washed beef carcasses to contamination by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J. Food Prot. 58, 1065-1068 

  5. Directive 64/433/EEC (2001) Official J. of the European Communities L165/48-54 

  6. Gill, C. 0. (1998) Microbioloeical contamination of meat during slaughter and butchering of cattle, sheep and pigs. In: The microbiology of meat and poultry. Davies, A. and Board, R. (eds.),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London, pp. 118-157 

  7. Gustavsson, P. and Borch, E. (1993) Contamination of beef carcasses by psychrotrophic Pseudomonas and Enterobacteriaceae at different stages along the processing line. Int. J. Food Microbial. 20, 67-83 

  8. Hardin, M. D., Acuff, G. R., Lucia, L. M., Oman, J. S., and Savell, J. W. (1995) Comparison of methods for decontamination from beef carcass surfaces. J. Food Prot. 58, 368-374 

  9. Hogue, A. T., Dreesen, D. W., Green, S. S., Ragland, R. D., James, W. 0., Bergeron, E. A., Cook, L. V., Pratt, M. D., and Martin, D. R. (1993) Bacteria on beef briskets and ground beef : correlation with slaughter volume and antemortem contamination. J. Food Prot. 56, 110-113, 119 

  10. International Meat and Poultry HACCP Alliance (1996) Generic HACCP model for beef slaughter. USDA,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11. NAC (1993)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microbiological criteria for foods. Generic HACCP for raw beef. Food Microbiol. 10, 449-488 

  12. Nottingham, D. M. (1982) Microbiology of carcass meat. In: Meat microbiology. Brown, M. H. (ed.), Appl. Sci. Pull. LTD, London pp. 13-65 

  13. 농림부 (1998)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 농림부고시 제1998-34호. pp. 158-182 

  14. 농림부 (1999) 도축장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 매뉴얼 

  15. 농림부 (1999)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농림부 고시 제 1999-29호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