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지역의 통행발생모형의 검증 (회귀모형과 카테고리모형을 중심으로)
Improvement of Trip Generation Model in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2 no.3 = no.74, 2004년, pp.49 - 58  

김진자 (국토연구원 SOC.건설경제연구실) ,  이종호 (경기대학교 첨단산업공학부 도시.교통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발표한 통근 및 등교통행발생 회귀모형${\ulcorner}$1996년 교통센서스 조사${\lrcorner}$ 자료로 만든 통근통행발생률 및 등교통행발생률을 이용하여 2002년의 통근 및 등교통행발생량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ulcorner}$2002년 교통센서스 조사${\lrcorner}$관측값과 비교하여 기존 통행발생모형의 개선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경기도의 통근통행발생회귀모형과 카테고리모형의 예측은 유사한 분포를 보이는 반면, 서울시의 통근통행발생 회귀모형으로 예측한 경우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서 관측값보다 평균 40.16% 과대 예측되었다. 등교통행발생 예측값과 관측값이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서 비슷하게 예측되었다. 인천광역시 지역의 경우 경기도에서 발표한 회귀모형으로 예측한 값이 관측값보다 평균 79.71% 작게 예측되었다. 분석 결과 수도권에서의 장래 통근과 등교통행발생량 예측에서 카테고리분석법이 회귀분석법 보다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장래 카테고리화된 자료의 부재로 카테고리 분석의 장래의 통행량 예측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카테고리분석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rst and perhaps the most critical and perhaps the most important step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future traffic volume in a region (Zone) is to estimate the number of trips generated in from each traffic analysis zone. Most trip generation models for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and highwa...

주제어

참고문헌 (22)

  1. 경기도(1998), 경기도 교통종합기본계획, 경기도 

  2. 서울시(1997), 서울시 교통센서스 및 데이터베이스구축, 서울시 

  3. 서울시(2003), 2002 서울시 가구통행 실태조사, 서울시 

  4.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8), 서울시 교통수요예측모형 정립,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 원제무(1995), 도시교통론, 박영사 

  6. 이종호(2003), Improvement of Trip Generation Forecast with Category Analysis in Seoul Metropolitan Area, EASTS-Fukuoka'03 

  7. 장수은.김대현.임강원(2000),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통행발생 모형연구 (선형/비선형 회귀모형과의 비교),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95-105 

  8. Baltimore Metropolitan Council (1993), Household Travel Study Data Users Guide, Maritz Marketing Research, Inc. June 10, 1994 

  9. Baltimore Metropolitan Council(1997), Baltimore Reg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 Findings, Task Report 97-3, Baltimore, Maryland 

  10. Baltimore Metropolitan Council(2000), Ba-ltimore Region Travel Demand Model. 1996 Validation. Task Report 00-1, Baltimore, Maryland, March 2000 

  11. Chang-Jen Lan and Patricia S.Hu(2000), TRB. A Mixed Genralized Liear Model for Estimating Household Trip Production 

  12. Chatterjee, A., Khasnabis., and Slade, L. J.(1977) Household stratification models for travel estimation,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ASCE, Vol.103(1), pp.199-213 

  13. Douglas,A. (1973) 'Home-Based Trip-End Models - A Comparison Between Categor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s', Transportation Vol. 2, pp.53-70 

  14. Dobson,R and McGarvey,W. (1977) 'Empirical Comparison of Disaggregate Category and Regression Trip Generation Analysis Techniques', Transportation Vol. 6, pp.287-307 

  15. Goodman, L.A. and Kruskal. W.H.(1979) Measures of Association for Cross classifications, Spring Series in Statistics, Springer -Verlag. p.32 

  16.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1991), Trip Generation. An Information Report, 5th Edition.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Washington DC. 

  17. Kikuchi,S and J.Rhee (2003), Adiustment of Trip Rates in the Cross-Cclassification Table Using Fuzzy Optimization Method.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2nd Annual Meeting, Washington. D.C. 

  18. Kitamura, R. (1981) A Stratification Analysis of Taste Variations in Work Trip Mode Choice, Transportation Research. 15A(6), pp.473-485 

  19. Ortuzer,J.D. and Willumsen,L. G.(1994), Modeling Transport, John Wiley & Sons, Ltd, pp.132-139 

  20. Rengaraju, V.R. and Satyakumar,M. (1994) Structuring Category Analysis Using Statistical Technique.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ASCE Vol. 120(6), pp.930-939 

  21. Stopher,P.R. and McDonald, K. G.(1983) Trip Generation by Cross-Classification: An Alternative Methodology, Transportation Res- earch Record. 944, pp.84-9 

  22. Wootton. H.J. and Pick, G. W.(1967) A Model for Trips Generated by Households,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I(2), pp.137-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