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별미장의 숙성과정 중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Aroma Compounds of Several Byeolmijang during Ag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10, 2004년, pp.1689 - 1697  

우관식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선미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임성경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전혜경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권오찬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역별 별미장의 숙성과정 중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SDE로 추출하고 GC 및 GC/MS로 동정하였다. 시료로는 대맥장, 생황장, 무장, 비지장, 소두장, 찌금장 등의 6종을 하였으며, 그 결과 hexanal, benzeneacetaldehyde, benzaldehyde, furfural, benzyl-alcohol, furan 화합물, pyrazine 화합물, phenol류 등이 공통적으로 검출되 었다 보통 숙성과정 중에 benzeneacetaldehyde, benzaldehyde, fufural, pyrazine 화합물, phenol류 등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1-octene-3-ol, hefanal, benzyl-alcohol, furan화합물 등은 감소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지역별 별미장에서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대맥장에서 2-heptenal과 2,4-decadienal 등이 있고, 생황장은 tetramethyt-pyrazine이 다른 별미장과 달리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무장에서는 phenol, 4-methoxy-phenol,4-ethyl-phenol 등의 phenol류가 검출되었으며 naphthalene, eugenol 등이 소량 검출되었다. 비지장은 2,4-decadienal 등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소두장은 2,3-dihydro-benzofuran,2-methoxy-4-vinylphenol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찌금장의 경우는 linaool, geraniol, 3-elemene, f-lonone, ledene 등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고춧가루 첨가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oma compounds in 6 different Byeolmijang were extracted by SD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and analyzed with GC (gas chromatography) and GC/MS (mass-spectrometry). The major aroma compounds in the 6 different Byeolmijang during aging were 1-octene-3-ol, hexanal, benzeneacetaldehy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맥장, 생황장, 무장, 비지장, 소두장(팥장), 찌금장 등의 향기성분을 숙성 기간별로 분석 하여보고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Rhee SH, Kim SK, Cheigh HS. 1983.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Ⅰ. Changes of lipids composition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399-398 

  2.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Chang CM.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1: 377-383 

  3. Ji WD, Lee EJ, Kim JK. 1992.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s manufactured with traditional Meju and improved Meju. J Korean Agric Chem Soc 35: 248-253 

  4. Park JS, Lee MY, Kim KS, Lee TS. 1994.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s (Doenjang) prepared from different type of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55-260 

  5. Shin MR, Joo KJ. 1999. Fractionate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s by dynamic headspace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05-311 

  6. Choi MK, Sohn KH, Jeon HJ. 1997. Changes in odor characteristics of Doenjang with different methods and ripening periods. Korean J Dietary Cul 12: 265-274 

  7. Chang JK, Kim JK. 1984.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as chromatographic profiles of Korean ordinary soybean paste flavor and sensory evaluati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2: 153-163 

  8. Song JY, Ahn CW, Kim JK. 1984. Flavor components produced by microorganism during fermentation of Korean ordinary soybean paste.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2: 147-152 

  9. Choe JS, Yoo SM, Kim HR, Kim JS, Chang CM. 1999. Volatile components of Chonggugjang prepared by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and soybean cultivar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111-115 

  10. Choi UK, Lee SI, Son DH, Ji WD. 2002. Changes of flavor during Chonggugjang fermentation by Bacillus sp. CS 17. J Korean Soc Hygienic Sci 8: 167-173 

  11. Ko HS, Cho DH, Hwang SY, Kim YM. 1999. The effect quality improvement by Chonggug-jang's process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2: 1-6 

  12. Choi SH, Ji YA. 1989. Changes in flavor of Chonggug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229- 234 

  13. Kim BN, Park CH, Ham SS, Lee SY. 1995. Flavor component, fatty acid and organic acid of Natto with spice add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219-227 

  14. Park WJ, Park HY, Yoo JH, Rhee MS. 2001. Effect of Artmisia asiatica Nakai extract on the flavor of Chong- gug-jang. Food Engin pro 5: 115-124 

  15. Nikerson GB, Likens ST. 1996. Gas chromatographic evidence for occurrence of hop oil components in beer. J Chromatography 21: 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