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subtilis HJ18-4를 이용하여 제조한 메밀 속성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Soksungjang manufactured by Bacillus subtilis HJ18-4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5, 2013년, pp.699 - 704  

박나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이선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지연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최혜선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밀 속성장은 메밀과 콩으로 제조된 별미장이다. 항균 및 효소활성이 우수한 B. subtilis HJ18-4 균주를 starter로 사용하여 메밀 속성장을 제조하였다. 메밀 속성장 제조과정 중, starter 첨가 시기는 메주 제조단계(Treat-1) 및 염수 첨가단계(Treat-2)로 접종시기를 달리하였다. 발효 중 아미노태질소 함량, 환원당, 효소활성(protease, amylase)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총균 수, 유산균 수 및B. cereus 양 변화 등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균 수는 발효 15일부터 7~8 log CFU/mL로 증가되었고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발효기간 동안 65.38~202.52 mg%로 증가되었다. 반면, 환원당과 효소활성(amylase, protease)은 모든 처리구 에서 감소하였다. 발효기간 중 PlcR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Treat-1 처리구에서 발효 23일 이후 검출되지 않았다. 메주 제조단계에서 B. subtilis HJ18-4를 접종한 Treat-1이 발효관련 이화학적 특성과B. cereus 저해효과가 우수하였다. 단일 균을 접종하여 제조되는 개량식장 제조 시, 자연발효에 제조된 장의 품질을 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발효방법으로 제조되는 메밀 속성장에 항균 및 효소활성이 우수한B. subtilis HJ18-4 균주를 스타터 적용하여 장류 품질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ckwheat Soksungjang (BS) is a bealmijang manufactured with buckwheat and soybeans. We manufactured BS using Bacillus subtilis HJ18-4 (HJ18-4), which has high enzyme activities and antibacterial effects. HJ18-4 was inoculated in a different process during the BS manufacturing, which was the meju-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발효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균 적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발효 전통메주의 안전성 확보를 통한 품질향상을 위해 효소활성 및 항균효과 우수 발효미생물 B. subtilis HJ18-4를 접종하여 제조한 메밀 속성장의 발효기간 중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연발효에 의해 제조되는 메밀속성장 발효 중 종균 적용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단일 균을 접종하여 제조되는 개량식장 제조 시, 자연발효에 제조된 장의 품질을 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발효방법으로 제조되는 메밀 속성장에 항균 및 효소활성이 우수한 B. subtilis HJ18-4 균주를 스타터 적용하여 장류 품질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 subtilis HJ18-4를 접종하여 제조한 메밀 속성장의 발효기간 중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연발효에 의해 제조되는 메밀속성장 발효 중 종균 적용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속성장은 무엇인가? 속성장은 대두를 주원료로 하여 메주를 다른 방법으로 띄우거나, 부재료를 섞어 만든 장으로 별미장이라 한다. 장류는 장맛과 숙성기간에 따라 기본장 3종과 별미장 138종으로 구분된다.
메밀에 함유된 flavonoid에는 무엇이 있으며 어떤 효능이 알려져 있는가? 메밀(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일년초로 분류학상 곡류와 구별되지만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lysine, arginine 등의 필수 아미노산, 불포화 지방산, 무기질 및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6). 메밀에 함유된 flavonoid는 rutin (2-phenyl3,5,7,3',4'-pentahydroxybenzopyronte), quercetin, isoquercetin, myricetin 등이 있으며 항산화작용, 혈압저하작용, 혈관 수축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7,8).
장의 여러 생리활성은 무엇에 의한 것인가? 장의 중요한 품질 지표인 맛과 향은 Aspergillus oryzae, Bacillus 속, 효모 및 젖산균 등의 발효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아미노산, 유기산, 당 및 휘발성 화합물에 의해 결정된다 (9,10). 또한 혈당강하, 항산화(11,12), 고혈압저해효과(13) 항 돌연변이성(14) 등 각종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활성은 미생물에 의한 발효과정 중 생산되는 2차 대사산물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5). 기능성물질 생성에 관련된 미생물이 보고되고 있으며, 장류로 부터 protease, amylase, lipase 등의 효소 활성 및 혈전용해능이 우수하고 병원성 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내염성이 우수한 균주 분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진 바 있다(15,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wang HS (1984) Korean Folk Repor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Seoul, Korea, p 183 

  2. Youn SS (1985) Korean Food (History and Cuisine). 4th ed. Suhaksa. Seoul, Korea, p 54-59 

  3. Ju JS (1985) Nutrition of soybean. Korea Soybean Digest 2, 16-19 

  4. Utsumi S, Gidamis AB, Mikami B, Kito M (1993) Crystallization and preliminary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the soybean proglycinin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J Mol Biol, 233, 177-178 

  5. Duyu kong be T, Ishige T, Takaiwa F (1997) Molecular design of soybean glycinins with enhanced food qualities and development of crops producing such glycinins. Adu Exp Med Biol, 415, 1-15 

  6. Park JS, Lee TS, Kye HW, Ahn SM, Noh BS (1993) Study on the preparation of kochujang with addition of fruit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98-104 

  7. Choi YS, Ahn C, Shim HH, Choe M, Oh SY, Lee SY (1992) Effect of instant buckwheat noodle on digestibility and lipids profiles of liver and seru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478-483 

  8. Lee JS, Maeng YS, Chang YK, Ju JS (1994) Effects of buckwheat on organ weight,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27, 819-827 

  9. Yang SH, Choi MR, Kim JK, Chung YG (1992) Optimization of the taste components composition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Nutr, 21, 449-453 

  10. Park JS, Lee MY, Kim KS, Lee TS (1994)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from different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55-260 

  11. Kim MH, Lee JH (1994) Antioxidant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J Korean Soc Food Nutr, 23, 251-260 

  12. Kurechi T, Kikuda S, Hasunuma M (1981)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by soya products. Food Cosmet Toxicol, 19, 425-450 

  13. Yu RN, Chung DK, Nam HS, Shin ZI (1996) Effect of soybean hydrolysate on hypertension o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031-1036 

  14. Park KY, Moon SH, Cheigh HS (1996) Antimutagenic effect of Doenjang (Korean soy paste). J Food Sci Nutr, 1, 151-156 

  15. Kim BS, Rhee CH, Hong YA, Woo CJ, Jang CM, Kim YB, Park HD (2007) Changes of enzym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p. SP-KSW3. Korean J Food Preserv, 14, 545-551 

  16. Lee SY, Kim JY, Baek SY, Yeo SH, Koo BS, Park HY, Choi HS (201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oligotrophic strains with high enzyme activity from buckwheat Sokseong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735-741 

  17. Choi HS, Joo SJ, Yoon HS, Kim KS, Song IG, Min KB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hwangki (Astragalus membranaceus) cheonggu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4, 356-363 

  18. Kim HJ, Lee JJ, Cheigh MJ, Choi SY (1998) Amylase, protease, peroxidase and ascorbic acid oxidase activity of Kimchi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33-1338 

  19. Lee SY, Park NY, Kim JY, Choi H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doenjang during fermentation by differently shaped meju and adding starter. Korean J Food Nutr, 25, 505-512 

  20. Dubois M, Giller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2 

  21. Choi HS, Lee SY, Baek SY, Koo BS, Yoon HS, Park HY, Yeo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Soksung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77-82 

  22. Jung SW, Kim YS, Chung KS (1995) Effects of preparation methods and aging temperatures on the properties of rice-doenjang. Agric Chem Biotechnol, 38, 83-89 

  23. Hong JS, Park JR, Jeon JR, Cha MH, KJ, Kim J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Doen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SS103.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363-369 

  24. Jeong YK, Seo JH, Cho H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commercial protease. Korean J Food Nutr, 4, 378-383 

  25. Rhee CH, Lee JB, Jang SM (2000) Change of microorganisms, enzym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in the traditional doenjang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Lentinus edodes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277-284 

  26. Mok CK, Song KT, Lee JY, Park YS, Lim SB (2005)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y of low salt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9, 112-117 

  27. Kim JY, Lee SY, Park NY, Choi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oybean paste (Daemae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HJ18-4.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43-749 

  28. Kwon GH, Lee HA, Kim JH (2010) A bacteriocin of 5-kDa in size Bacillus subtilis 168.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163-167 

  29. Nakamura K, Arakawa K, Kawai Y, Yasuta N, Chujo T, Watanabe M, Iioka H, Tanioka M, Nishimura J, Kitazawa H, Tsurumi K, Saito T (2013) Food preservative potential of gassericin A-containing concentrate prepared from cheese whey culture supernatant of Lactobacillus gasseri LA39. J Anim Sci, 84, 144-149 

  30. Kim DH, Song HP, Sohn JS, Cha BS, Shin MG, Byun MY (2002) Effects of fermentation to improve hygienic quality of powdered raw grains and vegetables raw grains and vegetables using Lactobacillus sp. isolated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65-769 

  31. Rukure GT (1999) Survival and growth of Bacillus cereus during Gouda cheese manufacturing. Ph D thesis, Pretoria University, South Africa, 43-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