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rural community has been becomming unstable by declining of agricult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were some trials to activate rural communities by maintaining rural amenities. But, it is difficult to use rural amenities as a development factor to promote rural communities b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농촌 어메니티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바탕으로 농촌어메니티와 농촌 어메니티 자원을 정의하고, 이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형태로 조사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 발연구소의 37종 자원조사표를 정규화 기법을 이용하여 표준화하며, 조사된 자료에 적용하여 표준조사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자원조사 및 농촌어메니티자원도 구축을 위하여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에서 분류한 37종의 농촌 어메니티 자원 조사표를 바탕으로 데 이 터 베 이스정규화기법을 이용하여 자원조사표를 정량화할 수 있는 형태로 정규화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농촌어메니티자원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농촌어메니티는 조사단계에서 농촌어메니티자원과 농촌어메니티를 분리할 수 있었으며, 37종의 자원조사표는 7개의 자원분류와 4개의 공통조사항목 등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 이러한 표준화된 조사표를 통하여 자원을 조사하고농촌어메니티자원도를 구축하기 위해 농촌자원과 농촌 어메니티의 위상관계를 정리하였다. 그림 3과 같이 설계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어메니티자원의 평가 및 분석결과를 이용한다면, 그림 4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농촌어메니티는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부가되는 가치의 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조사표에서도 각 자원의 분류항목에 안전성, 역사 문화성, 시지 각성, 편리성 등에 대한 정량적 조사항목을 포함시켰으므로 조사가 이루어지면 GIS상에서 37가지 자원을 파악할 수 있고 농촌어메니티자원도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서교 등(2003)이 제시한 농촌 어메니티 분류에 의한 농촌정비 지표체계인 생명안전, 자연, 역사문화, 산업, 생활 등을 구성하여 각 지역의 특성과 현 상태를 비교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대식, 1999, 지리정보시스템과 다기준평가법을 이용한 농촌중심마을 계획 모의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농림부, 2003a, 농촌관광, www.maf.go.kr/03_policy/03_0402.asp 

  3. 농림부, 2003b, 국민의 정부의 농정, www.maf.go.kr/01_intro/01_0505.asp 

  4. 서교, 이지민, 김한중, 정남수, 조순재, 이정재, 2003, 농촌의 잠재적 가치에 의한 농촌지역개발 평가지표 개발, 농촌계획 9(1) : 47-53 

  5. 오현석, 김정식, 2002, 어메니티와 지역개발, 새물결 

  6. 윤원근, 1999, 한국농촌계획론, 대학출판사 

  7. 장은숙, 전영미, 박윤호, 2002, 농촌마을 정비 특성별 어메니티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0(3) : 45-45 

  8. 정하우 외 6 인, 1999, 농촌계획학, 동명사 

  9. 조순재, 2002, 주민참여계획모텔에 의한 농촌어메니티자원 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 연구, 농립기술 과제 보고서 

  10. 최수명, 한경수, 황한철, 1998,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평가시스템 구축(III), 농촌계획 4(1) : 75-85 

  11. 통계청, 2002, 주요통계지표, http://www.nso.go.kr/oracmsls_data/major/jipyo.htm 

  12. Dejong,G. F., 1977, Residential Preferences and Migration, Demography 14(2) : 169-178 

  13. Gillenson, M. L., 1984, Database, A Wiley-Interscience Books 

  14. Krunti11a, J. V., 1967, Conservation Reconsidered, American Economic Review, 57(4) : 777-786 

  15. Wilkinson, R. K., 1973, House Prices and the Measurement of Externalities, Economic Journal 83 : 72-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