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평가를 위한 조사표와 항목 개발
Development of Surveying Tables and Items for Rural Amenity Resources Assessment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1 no.4 = no.29, 2005년, pp.9 - 15  

정남수 (농촌자원개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ral amenity resources are damaged without organized management infra. National rural resources institute perform the project of developing rural amenity infra techniques from 2005 to 2009 targeting 1,230 eup-myun rural community. There are many resource surveying project in national level. For av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관자원은 농업경관, 하천경관, 산림경관, 주거지경관 등 농촌지역에 존재하는 경관을 지칭하는데, 기존의 연구에서 가시거리, 경관평가요소 토지이용형태, 지형 등을 고려하여 평가를 하고 있으나, 이는 특정지역을 집중적으로 평가할 때 적용가능하며 광범위한 지역에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관구성요소, 지속일수, 관리현황, 접근성, 어메니티 기간 등을 평가항목으로 설정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농촌자원이라는 물리적 실체 중에서 경관, 역사, 시스템 등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자원으로 정의하였다.
  •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는 자원을 이용하고” 유지하며 발전시키는 인간 또는 농촌마을의 입장에서 자원을 파악하고 평가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조사항목 또한 자원의 현황파악과 함께 목적에 부합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어메니티의 평가가 가능하도록 조사 자원 및 자원별 조사항목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농촌자원, 가치, 어메니티의 개념을 정립하고 기존 농촌어메니티 자원항목의 조사 시 문제점을 살펴보며, 현재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적용 가능한 평가기술을 적용하여 평가가 가능하도록 조사표 및 조사항목을 개발하며, 기존의 조사시스템에서 설정된 조사항목과 평가의 용이성을 비교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밝히려 한다.
  • 그러나, 아직까지 농촌에 산재하는 자원과 농업 농촌의 공익적인 가치, 그리고 인간에게 느껴지는 호감 등이 혼재하여 사용되고 있어 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자원을 그림 1과 같이 기후, 지형, 문화재, 경작지, 식물, 동물, 인간, 토양, 물, 시설 등과 같이 농촌에 존재하는 물리적 실체로 파악하였다(정남수, 2003). 또한, 자원의 공간적인 구성만으로 파악되는 좁은 의미의 시각적인 경관적 가치와 마을유래, 유명인물 등 시간에 따른 역사적인 가치, 비오톱, 사회, 경제 등 내부의 자원들이 특정한 목적달성을 위해 구성하는 시스템적 가치 등을 포괄하여 넓은 의미의 경관은 물리적 실체이기 보다는 실체가 나타내는 가치로 파악할 수 있다(이동근 등, 2005).
  • 현재까지 농촌어메니티는 농촌개발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는 있으나 객관적이고 계측하기 어려운 특징으로 인하여 아직은 농촌개발의 유인요소로 이용되지는 못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평가가 가능하도록 조사표와 조사항목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권오상, 1999, 환경경제학, 박영사 

  2. 김대식, 권용대, 최수명, 임창수, 2005, 농촌관광기반의 지속가능한 마을정비 유형의 결정, 농촌계획 11(1) : 45-54 

  3. 김상범, 이상범, 정남수, 이지민, 조순재, 이정재, 2004, 자료정규화를 통한 농촌어메니티 자원 조사표의 표준화, 농촌계획 10(4) : 1-7 

  4. 김승환, 변문기, 1991, 쾌적한 도시환경의 창출을 위한 도시 어메니티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 101-115 

  5. 김정식, 2002, 농촌마을 정체성 확립을 위한 어메니티 평가목표체계 구축, 한경대학교 

  6. 박창석, 전영옥, 조영국, 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 한 농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국토계획 37(6) : 21-35 

  7. 서주환, 양희승, 2004, AHP 기법을 활용한 경관평가법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4) : 94-104 

  8. 선도소프트, 2004, 농촌공익자원 조사항목 및 지침, 농촌자원개발연구소 

  9. 선도소프트, 2005, 농촌공익기능 정보시스템, 농촌진흥청 

  10. 심승희, 1995, 역사경관과 지역정체성에 관한 연구: 전주시 한옥보존지구와 역사유적을 사례로, 지리교육논집 33 : 43-7 

  11. 오현석, 김정식, 2002, 어메니티와 지역개발, 새물결 

  12. 옥치상, 이원구, 1995, 낙동강 하구언 을숙도 및 하류지역의 쾌적환경자원의 보전과 개발에 대한 주민의 태도, 환경영향평가 4(1) : 65-78 

  13. 이규성, 윤정숙, 1999, 임상도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녹지자연도 추정기법 개발, 환경영향평가 8(3) 

  14. 이동근 외 5인, 2005,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1(2) : 21-34 

  15. 장은숙, 전영미, 박윤호, 2002, 농촌마을 정비 특성별 어메니티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0(3) : 35-45 

  16. 전영길, 1997, 농촌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개발단위 검토, 한국농촌계획학회지 3(1) : 41-53 

  17. 정남수, 이정재, 2005, 정보계측기법을 이용한 문화 재중요도평가모델의 개발, 농공학회지 심사중 

  18. 정남수, 2003, 농촌시설 입지 및 어메니티 평가를 위한 정보계측 기법의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조순재, 2002,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 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 연구, 농림기술과제 보고서 

  20. 최수명, 한경수, 황한철, 1998,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평가시스템 구축(III), 농촌계획 4(1) : 75-85 

  21. 한국농촌계획학회,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 사업,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2. Liao, Pei-Shan, 2001, Contextual Analysis of Rural Migration Intention: A Comparison of Taiwanese and Pennsylvania Data, Leiden IJCS XLII (5) : 435-460 

  23. Pendleton, L. and R. Mendelsohn , 2000, Estimating recreation preferences using hedonic travel cost and random utility models, Environmental & Resource Economics 17(1) : 89-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