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환경 및 근무조건 특성과 제조업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련성
Work Environments and Work Conditions Associated with Stress Symptoms Among Korean Manufacturing Factory Worker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0 no.3 = no.79, 2004년, pp.272 - 282  

박경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보건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ess is a primary health promotion issue in worksite research because psychological distress is closely related not only to workers  health status but also to their job performa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work environment and work condition factors affecting workers  stress symptoms among the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든 조사문항들은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광범위한 선행연구 고찰과 사전조사를 통해서 검증한 도구들이었는데, 개인적 특성에서 일반적 특성은 성, 연령, 근무기간, 근무지 규모와 같은 일반적인 사항과 최근 상병경험이나 건강수준에 대한 건강상태 특성과 홉연, 음주, 운동, 수면에 대한 건강행동 특성이 포함되었다. 건강상태 특성과 건강행동 특성은 본 연구의 주요한 독립변수는 아니지만 선행연구들에서 성인들의 스트레스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3,21,29) 제조업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그 설명력의 크기를 확인하는 동시에 이 두 특성군과 작업환경 및 근무조건 특성 간의 공분산을 통제하여 작업환경 및 근무조건 특성의 스트레스 설명력을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분석에 포함하였다.
  • 본 연구는 엄격한 표본추출방법을 통해서 대표성 있는 대규모 근로자들을 선정하고 면접조사를 실시한 연구로서, 그 결과에 있어서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들에 대한 대표성과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사기간 중에 남부지역에 심한 태풍피해가 있어서 그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산업장들도 많았고 일부 선정된 산업장들 중에서는 피해복구작업 때문에 본 조사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일부 면접대상 근로자들은 다른 근로자들로 대치되는 경우가 있었음을 밝힌다.
  •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조업 산업장의 근무조건과 작업환경이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산업장 건강증진사업의 내용을 구축하는데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실시한 전국 근로자 건강실태조사 자료를 기초로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가 인지하는 작업환경과 근무조건 및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작업환경과 근무조건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의 정신적 안녕을 보장하기 위한 산업장 환경관리 방안 모색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Vandenberg, R., Parkm, K., Dejoy, D., Wilson, M. and Griffin-Blake, C. : The healthy work organization model: Expanding the view of individual health and well being in the workplace. Research in Occupational Stress and Well Being, 2, 57-115, 2002 

  2. Matthews, K. A., Cottington, E. M., Talbott ,E., Kuller, L. H. and Siegel, J. M. : Stressful work conditions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mong blue collar factory worker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26(2), 280-290, 1987 

  3. 박경옥,이명선 : 산업장의 소음폭로수준과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29(2), 239-254, 1996 

  4. 차봉석,장세진,이명근,박종구 : 산업장 근로자의 직업성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22(1), 365-373, 1989 

  5. Sauter, S. L., Murphy, L. R. and Hurrell, J. J. : Prevention of work related psychological distress: A national strategy propos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45, 1146-1158, 1990 

  6. Conti. D. J. and Burton. W. N. The economic impact of depression in a workplace.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36, 983-988, 1994 

  7. Narrow, W. E. : One-year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s among adults 18 and over in the U.S.: NIMH. 1998 

  8. Kessler, R. C., Barber, C., Birnbaum, H. G., Frank, R. G., Greenberg, P. E., Rose, R. M., Simon, G. E and Wang, P. : Depression in the workplace: Effects on short-term disability. Health Affairs, 18, 163-171 , 1999 

  9. Greenberg, P. E., Kessler, R. C., Neils, T. L., Finkelstein, S. N. and Berndt, E. R. Depression in the workplace: an economic perspective. In J. P. Feighner & W. F. Boyer (Eds.),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dvances in basic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ed., pp.327-363). New York: Wiley & Sons, 1996 

  10. Cartwright, S., Cooper, C. L. and Murphy, L. R. : Diagnosing a healthy organization: A proactive approach to stress in the workplace. In L. R. Murphy, J. J. Hurrell , & S. L. Sauter (Eds.), Job stress interventions (pp. 217-233). Washington, DC: American Journal of Association, 1995 

  11. House, J. S. :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81 

  12. Theorell , T. and Karasek, R. : Current issues relating to psychosocial job strai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 9-26, 1996 

  13. 박경옥 :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 $\cdot$ 건강증진학회지,20(3) ,91-108 ,2003 

  14. 장병기 : 기업환경변화에 의한 근로자들의 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999 

  15. Caplan, R. D. and Hamson, R. V. :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Some history,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Social Issues , 49, 253-275, 1993 

  16. 통계청 : 노동통계연감,2002 

  17. 이명선 :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습관과의 관련요인분석. 한국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12(2), 48-60, 1995 

  18. 윤 진 :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0 

  19. 이유진 :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실증적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1994 

  20. 유민규 : 일반건강측정도구(PWI)를 이용한 사무직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와 관련요인.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1999 

  21. 오장균 : 한 산업장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생활습관 및 건강수준 간의 관계. 대한산업의학회지,12(1), 26-40, 2000 

  22. 정교태 :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1989 

  23. 이영수 : 일부 산업장 근로자들에 있어서의 스트레스 자각정도와 건강습관과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34(1),33-42. 1990 

  24. 김현주 : 직무만족과 작업오류행동에 미치는 스트레스 효과에 대한 집단성 지각과 내외통제성향의 중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1991 

  25. 조현순 : 근로자 스트레스 대처프로그램개발에 관한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1999 

  26. 송영숙,이종묵 : 사무직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중재변인,결과변인과의 관계.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지,5(1), 16-30, 1997 

  27. 한국산업안전공단 :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건강장해 예방전략, 2000 

  28. 장세진 : 우리나라 직무스트레스의 실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용역보고서, 2000 

  29. 오영아, 이명선, 이경용 :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환경인지도와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4(3), 301-314, 2002 

  30. Karasek, R. : Job demands, Job decision attitude and mental health implications for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 285-308, 1979 

  31. Cohen, J. and Cohen, P. :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ed., pp.120-12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3 

  32. Park, K. O. and Wilson, M. G. :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s and psychological strain among Korean factory workers. Stress and Health, 19, 173-179, 2003 

  33. Siu, O. : Occupational stressors and well-being among Chinese employe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1, 608-632, 2002 

  34. Billette, A. and Piche, J. : Health problems of data entry clerks and related job stressor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29, 942-948, 1987 

  35. Israel, B. A., House, J. S., Schurman, S. J., Heaney, C. A. and Mero, R. P. : The relation of personal resources, participation, influ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ping stragegies to occupational stress, job strains and health: a multivariate analysis. Work & Stress, 3, 163-194, 1989 

  36. Cohen, S. and Wills, T. A. :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1985 

  37. 고상백, 장세진, 선병환, 강동묵, 손미아, 박종구, 차봉석 : 새로운 작업조직 시스템이 직업성 긴장수준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35(1), 71-76, 2003 

  38. 고상백, 손미아, 공정옥, 이철갑, 장세진, 차봉석 :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대한산업의학회지, 16(1), 103-113, 2004 

  39. 남미희, 이세훈 : 일개 병원 조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5(1), 1-11, 2003 

  40. 정영호 : 작업조건과 정신신체자각증상의 관련성. 충남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5 

  41. 주영수, 권영준, 강희태, 김용규 : 한국의 직업별 직무스트레스 수준 평가-일부 직종을 대상으로-. 대한산업의학회지, 15(4), 422-435, 2003 

  42. Marmot, M. : Work and other factors influencing coronary health and sickness absence. Work & Stress, 107, 247-255, 1990 

  43. House, J. S., Strecher, V., Metzner, H. L. and Robbins, C. A. :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among men and women in the tecumseh. Community Health Study, 27, 62-77, 1986 

  44. Baker, E., Israel, B. and Schurman, S. : Role of control and support in occupational Stres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43, 1145-1159, 1996 

  45. 한국산업안전공단 : 근로자건강실태조사보고서, 1999 

  46. Cohen, S. : Psychosocial models of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tialogy of physical disease. Health Psychology, 7, 269-297, 1998 

  47. Karasek, R. A. and Theorell, T. : The environment, the workers, and illness: Psychological and physciological linkages. In R. A. Karasek & T. Theorell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pp.83-116).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