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관찰과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 나타나는 감성단어 유형과 과학 지식 생성력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Types of Emotional Words and Abilities of Science-Knowledge Generation in Students' Scientific Observation and Rule-Discover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4 no.6, 2004년, pp.1106 - 1117  

권용주 (한국교원대학교) ,  신동훈 (한국교원대학교) ,  한혜영 (한국교원대학교) ,  박윤복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학생들이 과학적 관찰 및 규칙 발견 활동을 수행할 때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 단어의 유형과 빈도, 강도를 분석하고, 둘째, 과학 지식 생성력과 과학적 감성지수(ISE)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과학적 감성을 정의하고, 효과적인 지식 생성 활동을 위해 겨울눈과 화석 관찰, 씨앗과 암석 분류의 4개의 과제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원양성대학교 4학년 학생 161명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각 과제를 수행하면서 인지적 사고과정과 느낀 과학적 감성을 기록하고 형용사 이모티콘 척도 용지에 자신의 감성 강도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관찰 활동에서는 '흥미-수용-사랑-거부' 의 순으로 감성유형이 나타났고,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는 '흥미-거부-수용-기대' 의 순으로 감성유형이 나타났다 각각의 감성 단어 빈도는 감성 강도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학적 감성 빈도(FSE)와 과학적 감성 강도(SSE)를 곱한 과학적 감성지수(ISE)는 과학적 감성능력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과학 지식 생성력과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개별적인 과학적 감성 지수에서는 '수용-사랑-슬픔-흥미' 순으로 과학 지식 생성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ypes of scientific emotion wor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E(Index of Scientific Emotion) and the ability of science-knowledge generation in subjects' scientific observation and rule-discovery.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fo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감성 능력을 나타내는 하나의 단위로서 "과학적 감성 지수”(ISE; Index of Scientific Emotion)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적 활동 중에서 귀납적 탐구활동인 관찰 활동과 규칙성 발견 활동에 국한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또한 피험자의 감성이 표현된 언어를 연구자가 분석할 때 오류를 범할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감성이 표현된 언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피험자와 동일한 대학생 120명에게 설문지를 투입하여 내용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 감성 표현 언어 분류의 90% 이상 동의를 얻은 부분만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 그러므로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는 과학적 활동에서 감성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고, 감성이 있다면, 어떤 유형의 감성이 존재하느냐를 조사하는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학생들의 과학적 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과학적 감성 단어의 유형을 알아보고, 과학적 감성이 과학지식의 생성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과학적 감성 단어 유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둘째, 규칙성 발견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과학적 감성단어 유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셋째, 과학적 감성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과학적 감성 지수(ISE)를 정의하고, 넷째, 관찰 활동과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의 과학지식 생성력과 과학적 감성 지수와는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밝혀 인지적 사고력과 감성과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권용주, 최상주, 박윤복, 정진수(2003). 대학생들의 귀납적 탐구에서 나타난 과학적 사고의 유형과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86-298 

  2. 권용주, 정진수, 고경태, 박윤복(2004). 과학지식 생성력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67-78 

  3. 원종철(1999). 감성의 본질과 학습, 그리고 교육적 적용. 교육학 연구, 37(3), 173-199 

  4. Artz, J. M. (2000). The role of emotion in reason and Its implication for computer ethics. Computers and Society, March 2000 

  5. Ashby, F. G., Valentin, V. V., & Turken, A. U. (2002). The effects of positive affect and arousal on working memory and executive attention. In S. C. Moore, & M. Oaksford(Eds.), Emotional cognition; from brain to behaviour.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45-287 

  6. Cornelius, R. R. (1996). The science of emotion: Research and tradition in the psychology of emotion. Prentice-Hall 

  7. Damasio, A. R. (1994). Descartes' error: Emotion, reason, and the human brain. (김린 역, 1999), William Morris Agency, Inc., New York 

  8. Damasio, A. R. (2000). A Second Chance for Emotion. In R. D. Lane, & L. Nadel (Eds.), Cognitive Neuroscience of Emo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23 

  9. Damasio, A. R. (2003). Looking for spinoza: joy, sorrow and the feeling brain. Harcourt, Inc. 

  10. Gardner, P. L., & Tamir, P. (1989). Interest in biology, part 1: a multidimential constru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5), 409-423 

  11. Han, H., Shin, D., Lee, H., & Kwon, Y. (2004). The Development of an analysis tool on emotion words for Measuring of Scientific Emotion. A paper presented at the ASERA 2004 35th Annual Conference, Armidale, New South Wales, 7th-10th, July 

  12. Hidi, S. (1990).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 549-571 

  13. Hyman, S. E. (1998). Neurobiology: A new image for fear and emotion. Nature, 393, 417-418 

  14. Isen, A. M., Rosenzweig, A. S., & Young, M, J.(1991). The influence of positive effect on clinical problem solving. Medical Decision Making, 11, 221-227 

  15. Izard, C. (1972). Patterns of Emotion. New York:Academic Press 

  16. Jensen, E. (1998). Teaching with the brain in mind.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7. Laukenmann, M., Bleicher, M., Fub, S., GlaserZikuda, M., Mayring, P., & von Rhoneck, C. (2003). An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emotional factors on learning in physics instruction. International Journal Science Education, 25(4), 489-507 

  18. Lazarus, R. S. (1999), The cognition-emotion debate: a bit of history. In T. Dalgleish & M. J. Power (Ed.),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John Wiley & Sons, 3-19 

  19. Ledoux, J. E. (1996). The emotional brain: the mysterious underpinning of emotional life. NY: Touchstone 

  20. Lyons, W. (1999). The Philosophy of cognition and emotion. In T. Dalgleish & M. J. Power (Ed.),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John Wiley & Sons, 21-44 

  21. MacLeod, A. K, Byrne, A., & Valentine, J. D. (1996). Affect, emotional disorder, and future-distrected thinking. Cognition and Emotion, 10, 69-86 

  22. Martinez. M. (1992). Interest emhancements to science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2), 167-177 

  23. Nasby, W., & Yando, R. (1982). Selective encoding and retrieval of affectively in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1244-1255 

  24. Parrot, W.G., & Hertel, P. (1999). Research method of cognition and emotion. In T. Dalgleish & M. J. Power (Ed.),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John Wiley & Sons, 61-81 

  25. Plutchik, R. (1980). Emotion : A Psychoevolutionary Synthesis. N. Y.: Harper and Row 

  26. Plutchik, R. (2003). Emotions and Life: Perspectives From Psychology, Biology, and Evolu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27. Reeve. J. (2001).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John Wiley & Sons 

  28. Thagard. P. (2002). The passionate scientist: Emotion in scientific cognition. In P. Carruthers, S. Sitch, & M. Siegal (Eds.), The Cognitive basis of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5-250 

  29. van Someren, M. W., Barnad, Y. F., & Sandberg, J.A. C. (1994). The think aloud method: a practical guide to modelling cognitive processes. London, UK: Academic Press INC 

  30. Zhu, J. & Thagard, P. (2002). Emotion and action. Philosophical Psychology, 15(1), 19-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