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근로자의 감정노동 및 작업장 폭력 피해 경험이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 2014년 한국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Workplace Violence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Female Workers: The 4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6 no.3, 2017년, pp.184 - 196  

김은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윤주영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workplace violence on various physical and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female workers. Methods: We obtained data from 24,760 female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4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14).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6), 두 개념을 동시에 고려하여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4차 한국근로환경조사(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14)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여부에 따른 작업장 폭력 피해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여 감정노동과 작업장 폭력의 발생 현황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감정노동과 작업장 폭력 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감정노동을 위한 법과 제도는?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감정노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문제제기로, 2016년 11월 29일 제20대 국회에서 사업주의 감정노동자 보호 의무를 명시한 ‘감정노동자보호특별법’이 발의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2016년 12월 5일 국가인권위원회는 고용노동부장관에게 ‘감정노동 종사 여성노동자 등의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한 권고’를 통해 감정노동자 보호 관련 법률 제정 등 입법적 조치 및 감정노동 가이드라인 마련 보급 등을 권고하고 국회의장에게 감정노동자 보호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키기를 건의하였다(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NHRC], 2017).
작업장 폭력은 무엇인가? 한편 감정노동 근로자는 감정노동이라는 업무의 특성 외에 여러 직무 환경적 요인에 동시에 노출되는데, 그 중 작업장 폭력(workplace violence)은 감정노동과 함께 직업건강간호 영역에서 거론되는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작업장 폭력은 업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또는 업무의 직접적인 결과로써 발생한 폭행, 위협 또는 상해, 부상 또는 합리적인 행위로부터 벗어나는 모든 행동, 사건, 행위를 의미한다(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2016). 예전에는 주로 직장에서 혹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육체적 공격 및 공격의 위협만을 의미했던 좁은 의미에서(VandenBos & Bulatao, 1996), 최근에는 물리적 폭력 외에 성희롱이나 왕따 및 괴롭힘과 같은 정신적인 폭력까지 아우르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감정노동이 많은 직업군은? 우리나라에서 감정노동이 많은 직업은 주로 고객 또는 민원인과 직접 접촉을 통해 직무수행이 이루어지는 의료, 항공, 경찰, 판매, 유통, 영업, 콜센터 등의 직업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Park, 2015). 특히 여성, 젊은 연령, 대면 업무 직접 수행이 많은 낮은 직급일수록 감정노동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ling, J. (1996). The prediction, experience, and consequences of workplace violence. Violence on the job: Identifying risks and developing solutions, 29-49. 

  2. Baron, R. A., & Neuman, J. H. (1996). Workplace violence and workplace aggression: Evidence on their relative frequency and potential causes. Aggressive Behavior, 22(3), 161-173. http://dx.doi.org/10.1002/(SICI)1098-2337(1996)22:3 3.0.CO;2-Q 

  3. Chang, H. E., & Cho, S. H. (2016). Workplace violence and job outcomes of newly licensed nurses. Asian Nursing Research, 10(4), 271-276. http://dx.doi.org/10.1016/j.anr.2016.09.001 

  4. Choi, E. S., Jung, H.S., Kim, S.H., & Park, H. (2010).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work-related anxiety and depression experience among Korean employe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5), 650-66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5.650 

  5. Grandey, A. A., Kern, J. H., & Frone, M. R. (2007). Verbal abuse from outsiders versus insiders: comparing frequency, impa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role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2(1), 63-79. http://dx.doi.org/10.1037/1076-8998.12.1.63 

  6.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Hong, E. Y., & Kim, S. D. (2012). Health status and affecting factors related to job among Korean women employ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9), 4107-4118. http://dx.doi.org/10.5762/KAIS.2012.13.9.4107 

  8. Huang, J. L., Chiaburu, D. S., Zhang, X. A., Li, N., & Grandey, A. A. (2015). Rising to the challenge: Deep acting is more beneficial when tasks are appraised as challeng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0(5), 1398-1408. http://dx.doi.org/10.1037/a0038976 

  9.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6). Workplace stress: A collective challenge. Turin: the International Training Centre of the ILO. 

  10. Kim, H. (2010). Occupational diseases produced by emotional labor. Hanyang Medical Reviews, 30(4), 284-289. 

  11. Kim, H. (2015). Emotional labor and health among working women. Ewha Journal of Gender and Law, 7(1), 33-50. 

  12. Kim, H. A. (2016). A study on misuse and reevaluation of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r: Focusing on a case study of call center lab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im, H. J., & Choo, J. (2017). Emotional labor: Links to depression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call center workers. Workplace Health & Safety, 65(8), 346-354. http://dx.doi.org/10.1177/2165079916667512 

  14. Kim, J. B., Lee, G. J., Park, J. A., & Han, S. H. (2003). The affecting factors on health status among selected female labor workers.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13(2), 164-171. 

  15. Kim, J. J. (2016). A study of labor and health status of retailer service sales and its improvement, Labour Society Bulletin, 188, 126-137. 

  16. Kim, Y. K., & Cha, N. H. (2015). Correlations among occupational stress, fatigue, and depression in call center employees in Seoul.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10), 3191-3194. http://dx.doi.org/10.1589/jpts.27.3191 

  17. Lallukka, T., Rahkonen, O., & Lahelma, E. (2011). Workplace bullying and subsequent sleep problems-the Helsinki Health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204-212. http://dx.doi.org/10.5271/sjweh.3137 

  18. Lee, B. (2007). Development of a model for emotional labor worker's health.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1), 78-88. 

  19. Lee, B.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working hour and muscle pai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4), 269-276. http://dx.doi.org/10.5807/kjohn.2014.23.4.269 

  20. Lee, S., Park. J. O., Park. J., & IRC Inc. (2015). Current status, risk factors, and health effect of emotional labor among workers dealing with clients (2015-Research Institute-1148), Uls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1. Mueller, S., & Tschan, F. (2011). Consequences of client-initiated workplace violence: The role of fear and perceived preven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6(2), 217-229. http://dx.doi.org/10.1037/a0021723 

  22.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2017). Recommendation for human rights management and improvement to female emotional laborer. Seoul: Author. 

  23. Park, S. H. (2015).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emotional labor occupation using KNOW and its policy implication, Employment trends brief, 45(10), 2-13. 

  24. Pugliesi, K. (1999).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Motivation and Emotion, 23(2), 125-154. http://dx.doi.org/10.1023/a:1021329112679 

  25. Schaubroeck, J., & Jones, J. R. (2000). Antecedents of workplace emotional labor dimensions and moderators of their effects on physical symptom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2), 163-183. 

  26. Shin, M. K., & Kang, H. L. (2011).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2), 158-167. 

  27. VandenBos, G. R., & Bulatao, E. Q. (1996). Violence on the job: Identifying risks and developing solutions.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dx.doi.org/10.1037/10215-000 

  28. Wieclaw, J., Agerbo, E., Bo Mortensen, P., Burr, H., Tuchsen, F., & Bonde, J. P. (2008).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the risk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in the Danish workforce. BMC Public Health, 8, 280-280. http://dx.doi.org/10.1186/1471-2458-8-280 

  29. Yoo, M., Lee, S., & Kang, M. Y. (2015).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mod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mistreatment and health problems: a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 and EU countri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57(5), 427-437. http://dx.doi.org/10.1539/joh.14-0270-OA 

  30. Yoon, S. L., & Kim, J. H. (2013). Job related stress,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5(2), 169-176. http://dx.doi.org/10.1111/jnu.1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