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뇌기능 분화에 따른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Mind Map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4 no.5, 2004년, pp.805 - 813  

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  이주연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의 교육과정은 좌반구 중심의 활동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우반구 중심으로 사고하는 학생들은 학습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다. 따라서 우뇌 우세 학생 집단에서 학습부진아가 많이 나타난다. 특히, 과학은 좌반구 중심의 사고가 많이 요구되는 과목으로 우뇌 우세 학생들이 흥미를 잃기 쉽고 학업성취도도 낮다. 본 연구에서는 좌뇌 중심의 과학 학습에서 소외되기 쉬운 우뇌 우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방법으로 좌 우뇌 요소를 고루 활용하는 마인드 맵을 적용하여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뇌 기능 분화와 성별에 따라서 수업의 효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158명으로, 통제반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였고, 실험반은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단원은 "생물의 구성", "상태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호흡"단원으로 약 17주간 50차시에 걸쳐 수업 처치를 하였다. 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는 SOLAT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연구 결과는 SPSS 10.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x^2$검정과 공분산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다. 중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 양상을 분석해 본 결과, 좌뇌형이 21.6%, 우뇌형이 31.4% 그리고 양뇌형이 47.1%이었고 뇌 기능 분화의 분포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p>.05).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함으로써 우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좌뇌 학생 이상으로 높힐 수 있었다. 사전검사에서는 우뇌형 학생의 성취도가 가장 낮았으나 사후검사때서는 우뇌형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은 우뇌형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고 우뇌형 학생들에게 고무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남학생들보다는 여학생에게 효과적이어서 여학생들에게 고무적인 여학생 친화적인 과학 학습전략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ur educational system clearly places much greater value on left hemisphere learning. Students who process information in other ways are at a serious disadvantage and may not be learning efficiently. Since mind mapping emphasizing visual and spatial language, it helps students to use the whole br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중학교 과학 과목에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와 성별에 따른 마인드 맵의 적용 효과를 밝혀 교육현장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수업 처치에 따른 사전 .
  • 본 연구에서는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와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마인드 맵이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마인드 맵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과학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과학 학습 태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두뇌 반구성과 마인드 맵에 관한 자료 및 선행 연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본 연구에 대한 교수 . 학습 과정을 정립하였다.
  • 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 유형에 따라서 전통적 수업과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검사 결과에 따라 좌뇌형 학생으로 분류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는 Table 4와 같다.
  •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과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Table 10>. 남학생의 경우, 사전 검사에서 통제반은 7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호감(1991). 두뇌의 기능분화에 따른 교수전략이 창의력 및 자연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고영희 (1982). 뇌 연구와 교육. 교육개발, 21, 12-14 

  3. 고영희 (1989). 한국인의 뇌. 아주대학교 논문집, 11, 141-174 

  4. 김낙현(1996). 개념학습에 있어서 MIND MAP을 이용한 학습 및 노트방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주현(1998). 마인드 맴 노트방법이 아동의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효과.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6(4), 281-308 

  6. 박숙희 (1997). 뇌의 기능 분화와 창의성과 학업성취의 관련연구. 교육학연구, 35(3), 97-125 

  7. 방종례(1998). 마인드 맵(mind map)을 활용한 국어교과지도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양선희(1999). 마인드 맵 활용 교수법이 아동의 학습 태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윤성재(1995). 뇌반구의 기능분화와 학업성적과의 관계.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경준(1983 ). 학습 부진아의 인지 특성 분석과 효율적인교수 전략 탐색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이병설(2002). 두뇌의 발달과 반구성을 고려한 과학 교과서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봉호(1999). 뇌 기능 분화와 정보 처리 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의 형성 정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최재환(1993). 뇌 기능 분화가 논리적 사고력과 자연과 단원별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 수학 교육연구. 17, 53-89 

  14. 하종덕(1986). 두뇌기능 특성 및 인지양식과 학업성적과의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Buzan, T.(1989). Use both sides of your brain, 3rd ed., Plenum, New York, NY 

  16. Campbell, L., Campbell, B., & Dickinson, D.(1996).Teaching &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ED 415009 

  17. Gordon, H. W.(1979). Assessment of cognitive asymmetries brain damaged and normal subject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42, 715-723 

  18. Haglund, E.(1981). A Closer look at the Brain as related to teachers and Learner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3, 225-234 

  19. Richards, R. G.(1984). Innovative right brain teaching techniques, ED 246632 

  20. Torrance, E. P.(1988). Style of learning and thinking administrator's manual. Bensenville :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21. Wittrock. M. C.(1978). Education and the cognition processes of the brain. In J. Chall, & A. Mirsky, (Eds,), Education and brain, The 77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