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능력시험 영어 읽기 지문의 응집성과 문항 난이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hesion and Item Difficulty in English Reading Section of CSA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5, 2020년, pp.344 - 350  

황이수 (전주대학교 영어교육과) ,  이제영 (전주대학교 영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문항의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응집성 관련 텍스트 요인을 찾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4~2018학년도 수능 및 수능 모의고사의 읽기 지문 299개를 수집하여 응집성 관련 지표를 코메트릭스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실제 문항 정답률과 상관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 사이의 특정 논항이 반복되어 응집성이 강해지면 학습자의 언어적 부담이 줄어들면서 문항 정답률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잠재 의미 분석의 8개 하위 영역과 문항 정답률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hesion-related text factors that affected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English reading section in the Korean CSAT. To this end, reading passages of the 2014-2018 CSAT and CSAT mock tes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cohesion. And then, c...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능 영어 영역 문항의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응집성 관련 텍스트 요인을 찾기 위해 2014~208학년도 수능 및 평가원 수능 모의고사의 지문을 수집하여 코메트릭스를 통해 응집성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실제 문항 정답률과 상관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메트릭스로 분석할 수 있는 텍스트 요인 중 응집성(cohesion)과 관련된 지시적 응집성(referential cohesion)과 잠재 의미 분석(latent semantic analysis) 지표의 분석 결과와 실제 수능 문항의 정답률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잠재 의미 분석은 단어, 문장, 단락과 같은 두 텍스트 요소 사이의 의미적 유사성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단어와 의미적으로 관계가 있는 다른 단어들이 얼마나 중복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12][30]. 이 경남[31]에 따르면 이 분석은 독자의 의미 표상 과정에서 잠재 변수(latent variable)가 영향을 주는데, 잠재 변수는 통계 용어로 직접 관찰한 것은 아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영향을 주는 변수가 있다고 가정하는 변수이다. 즉, 어떤 현상이 발생하였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영향을 주는 의미와 관련한 변수가 있다고 가정하고 분석하는 방법이 잠재적 의미 분석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ttp://www.suneung.re.kr/sub/info.do?m0401&ssuneung 

  2. 조성준, "성취평가중심 영어수업 활성화를 위한 고등학교 성취평가 현황 분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550-566, 2018. 

  3. 이종승, 김성훈, 김재철, 손형정, 박문환, 장경숙,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난이도 추정모형 개발: 언어 영역, 수리 영역, 영어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제16권, 제2호, pp.1-24, 2003. 

  4. 고나은, 신정아, "Coh-Metrix를 이용한 수능 영어읽기 영역 지문 난이도 비교: EBS-수능 연계 정책 전후," 중등영어교육, 제10권, 제4호, pp.3-24, 2017. 

  5. 신유선, 정영경, "코메트릭스(Coh-Metrix)를 활용한 공무원 7급과 9급 영어 시험 지문 분석: 어휘 다양성, 통사적 복잡성, 응집성과 이독성 지수를 중심으로," 영미어문학, 제129호, pp.143-161, 2018. 

  6. 이혜진, 이제영, "한.중.일 대학 입학시험 영어 지문의 이독성 비교 분석," 인문사회21, 제9권, 제5호, pp.441-453, 2018. 

  7. 최민주, 김정렬, "수능 영어 문항 유형간 응집력과 어휘정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378-385, 2017. 

  8. 황이수, 이제영, "수학능력시험 영어 지문의 텍스트 요인과 문항 난이도의 상관관계 분석: 통사적 복잡성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연구, 제46권, 제1호, pp.265-283, 2020. 

  9. 지슬기, 김해동, "문항 유형과 지문 친숙도가 영어 읽기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외국어교육, 제21권, 제1호, pp.215-239, 2014. 

  10. 이경숙, "문제 수, 지문길이, 지문 친숙도가 영어 청해와 독해시험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육, 제54권, 제4호, pp.327-351, 1999. 

  11. 박희진, 장경애, 이윤호, 김우제, 강필성,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정답률 예측,"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p.2277-2288, 2015. 

  12. 전문기, 임인재, "코메트릭스(Coh-Metrix)를 이용한 중학교 1학년 개정 영어 교과서의 코퍼스 언어학적 비교 분석," 영어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pp.265-292, 2009. 

  13. 김정렬, 양지윤, "Coh-Metrix를 통한 초중등 영어교과서 연계성 분석," 영어교육, 제67권, 제2호, pp.319-341, 2012. 

  14. 배지영, "중학교 1.2학년 2015 개정 영어교과서 읽기 자료의 가독성 분석과 아동문학 선정 연구," 영어교과교육, 제18권, 제2호, pp.117-141, 2019. 

  15. 송해성,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듣기 과업의 학년별 연계성 연구," 영어어문교육, 제19권, 제4호, pp.279-305, 2013. 

  16. 이승환, "코메트릭스(Coh-Metrix)를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1과 영어2 교과서 문어 텍스트의 코퍼스 언어학적 난이도 분석," 외국어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pp.131-148, 2013. 

  17. 함미영, 이정원, "영어 텍스트 수정이 텍스트 난이도와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영어어문교육, 제19권, 제2호, pp.335-355, 2013. 

  18. 안수진, "한국인 대학생과 영어 원어민 대학생의 영어 설명문, 논설문의 코메트릭스 분석을 통한 비교," 새한영어영문학, 제60권, 제3호, pp.177-205, 2018. 

  19. H. J. Kim and J. Lee, "Investigating linguistic differences in adult EFL learners' writing test performance," Journal of British and America Studies, No.35, pp.205-234, 2015. 

  20. J. Lee, "A Coh-Metrix analysis of lexical, syntactic and discourse aspects in the newspaper articles of Korean and British university students," Modern English Education, Vol.19, No.4, pp.17-26, 2018. 

  21. D. S. McNamara, A. C. Graesser, P. M. McCarthy, and Z. Cai, Automated evaluation of text and discourse with Coh-Metrix,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2. 이슬기, "토픽 모델링에 따른 고등학교 논설문의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분석," 국어교육학연구, 제52권, 제3호, pp.136-173, 2017. 

  23. S. A. Crossley and D. S. McNamara, "Predicting second language writing proficiency: The role of cohesion, readability, and lexical difficulty,"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No.35, pp.115-135, 2012. 

  24. 이동욱, 백서현, 박민지, 박진희, 정혜욱, 이지형, "LSA를 이용한 문장 상호 추천과 문장 성향 분석을 통한 문서 요약,"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제22권, 제5호, pp.656-662, 2012. 

  25. Y. H. Choi, H. Ahn, and J. Lee, "Anaphora resolution strategies in L2 reading,"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Vol.18, No.4, pp.395-422, 2018. 

  26. S. Haviland and H. Clark, "What's new? Acquiring new information as a process in comprehension,"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Vol.13, No.5, pp.512-521, 1974. 

  27. L. Manelis and F. Yekovich, "Repetitions of propositional argument in sentence,"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Vol.15, No.3, pp.301-312, 1976. 

  28. G. Jones, "Lexical cohesion as a predictor of item difficulty," Paper presented European Association for Language Testing and Assessment, University of Turku, 4-7 June. 2009. 

  29. I. Kirsch, The inter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Understanding what was measured (RR-01-25),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001. 

  30. T. K. Landaucer, LSA as a theory of meaning. n T. Landaucer, D. McNamara, S. Dennis and W. Kintsch (Eds.), Handbook of latent semantic analysis (pp.3-34), Erlbaum, 2007. 

  31. 이경남, "잠재적 의미 분석(LSA)을 활용한 독해 과정에서 추론 양상 분석," 독서연구, 제42호, pp.107-131, 2017. 

  32. I. Aldabe and M. Maritxalar, "Automatic distractor generation for domain specific texts," NLP 2010: Advance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p.27-38, 2010. 

  33. N. LaVoie, J. Parker, P. J. Legree, S. Ardison, and R. N. Kilcullen, "Using latent semantic analysis to score short answer constructed responses: Automated scoring of the consequences tes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80, No.2, pp.399-414,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