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개념변화 연구에서 학생의 개념에 대한 이해: 오개념(misconception)에서 정신모형(mental model)까지
Understanding Students' Conceptions in the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from Misconception to Mental Model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4 no.3, 2004년, pp.621 - 637  

박지연 (서울대학교) ,  이경호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70년대 초반 시작된 학생들의 과학개념에 관한 연구는 80년대 들어서면서 자연스럽게 과학개념변화연구로 발전하였다. 한편 학생의 과학 개념변화의 본질, 어려움 등에 관한 논의과정에서 학생의 개념에 대한 연구 또한 한층 더 발전되어 왔다. 특히, 최근 과학교육 연구에서 학생의 과학개념 형성과 변화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의 한 가지 이론적 배경으로 정신모형(mental model)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신모형(mental model)은 일찍이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연구되어왔으며, 과학교육분야에서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논의되어왔다. 그러나 정신모형(mental model)이 학생의 개념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한 용어나 설명 등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밝힌 논문은 찾아보기 어렵다. 더불어 과학교육 분야에서 정신모형(mental model)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와 실증적인 자료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개념변화와 학습을 설명하는 한 가지 틀로서 정신모형(mental model)의 의미와 향후 연구방향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cience education, the research on students' conceptions has been started in early 1970. From the early 1980, the research on students' conceptions stimulated the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 Recently, mental model has been a theoretical background in concrete arguments on "how students' concep...

주제어

참고문헌 (59)

  1. 김범기, 권재술(1995). 과학개념과 인지적 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2), 472-486 

  2. 김판수, 박수자, 심성보, 유병길, 임체성, 허승희, 황홍섭 (2003), 구석주의와 교과교육. 서울: 학지사 

  3. 권재술(1999). 오개념과 유사한 용어들. http://jskwon. knue.ac.kr(2003. 10. 11. 검색) 

  4. 권재술, 이경호, 김연수(2003).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74-591 

  5. 도경수(2003). 사적인 대화(e-mail) 

  6. 박종원(2002). 학생 개념체계의 연속적 세련화와 정교화를 통한 개념 변화과정 -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57-377 

  7. 안수영(1989), 전류현상 관찰 전후에 있어서 학생들의 오인유형 및 그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안수영, 권재술(1995). Pascual-Leone의 신 피아제 이론에 의한 오개념의 본질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15(2), 185-193 

  9. 이명제, 김찬종, 최승언(1993). 실험실맥락과 지구환경맥락의 문제해결에서 활성화되는 지식의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57-271 

  10. 이명제(1994). 고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에서 맥락에 따라 활성화되는 지식의 우선순위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304-311 

  11. 이명제(1995).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지각평형 개념에 대한 사고유형의 맥락에 따른 차이.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7(1), 31-38 

  12. 이선경, 박현주, 김우회(2000), 일반화학 학습의 맥락에서 동기적 신념과 사회-문화적 가치에 관한 개념 생태의 범주. 대한화학회지, 44(3), 266-280 

  13. 유병길(2000). 개념변화: 급진적 구성주의에 의한 해석(I).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85-99 

  14. 조희형(1984). 선입관의 철학척 배경 및 오인과 과학학습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 34-43 

  15. 조희형(1988). 과학교육과정 및 과학 교수/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미래의 과학교육에 대한 시사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2), 33-41 

  16. 조희형, 박승재(1995). 과학 학습지도 : 계획과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17. 최정렬(2003). 초등학생들의 별에 대한 질적 연구. 채동현, 박현주, 이수영 공저. 과학교육의 질적 접근. 서울: (주) 북스힐. 161-181 

  18.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연구실(1993). 과학 오개념 편람 (역학편) 

  19. Carey, S.(1985).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MIT Press: Cambridge, MA 

  20. Chi, M. T. H.(1992). Conceptual change and ontological categories: Examples from learning and discovery in science. In R. N. Giere(Ed.), Cognitive Models of Science, Minnesota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Vol. 15,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 Chi, M. T. H., Slotta, J. D., & de Leeuw.(1994). From things to processes: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for learning science concepts. Learning and Instruction, 4, 27-43 

  22. diSessa, A. A.(1993). Toward an Epistemology of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10, 105-225 

  23. diSessa, A. A., & Sherin, B. L.(1998). What change in conceptual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0), 1155-1191 

  24. Driver, R., Guesne, E., & Iberghien, A(1985). Some features of children's idea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eaching. In R. Driver, E. Guesne & A. Tiberghien(Eds.), Children's Ideas in Scienc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193-201 

  25. Franco, C., de Barros, H. L., Colinvaux, D., Krapas, S., Queiroz, G., & Alves, F.(1999). From scientist's and inventors' minds to som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ducts: relationships between theories, models, mental models and conce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3), 277-291 

  26. Franco, C., & Colinvaux, D.(2000). Grasping mental models. In G. John & B. Carolyn(Ed.),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93-118 

  27. Galili, I. (1996). Students' conceptual change in geometrical op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847-868 

  28. Gelman, R.(1990). First principles organize about relevant data: Number and the animate-inanimate distinction as examples. Cognitive Science, 14, 79-106 

  29. Gentner, D., & Stevens, A. L.(Eds.).(1983). Mental Mode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0. Gilbert, J. K., Osborne R., & Fensham P.(1982). Children's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4), 623-633 

  31. Glynn, S. M., Yeany, R. H., & Britton, B. K.(1991), A constructive view of learning science. In S. M. Glynn, R H. Yeany & B. K. Britton(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19 

  32. Greca, I. M., & Moreira, M. A.(2000). Mental models, conceptual models, and model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 1-11 

  33. Greca, I. M., & Moreira, M. A.(2001). Mental, physical, and mathematical model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hysics. Science Education, 86(1), 106-121 

  34. Johnson-Laird, P. N. (1983). Mental Models: Towards a cognitive science of language, inference and consciousnes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Mayer, R. E.(1992). Knowledge and thought: Mental models that support scientific reasoning. In R. A. Duschl & R. J. Hamilton(Eds.), Philosophy of Science,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26-243 

  36. Medin, D. L., Ross, B. H., & Markman, A B.(2001), Cognitive Psychology. Harcourt College Publishers 

  37. Minstrell, J.(1992). Facets of students' knowledge and relevant instruction. In R Duit, F. Goldberg, and H. Niedderer(Eds.), Research in Physics Learning: Theoretical Issues and Empircal Studies. Kiel, Germany: Institute for Scienc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Kiel, 110-128 

  38. Nussbaum, J.(1985). The Earth as a cosmic body. In R Driver, E. Guesne & A. Tiberghien(Eds.). Children's Ideas in Scienc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39. Norman, D, A.(1983). Some observations on mental models. In D. Gentner & A. L. Stevens(Eds.), Mental Models. Hillsdale, 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14 

  40. Osborne, R., & Freyberg, P.(1985). Children's Science Learning in Science. Auckland: Heineman 

  41. Pintrich, P. R., Mark, R. W., & Boyle, R. A.(1993). Beyond cold conceptual change: The role of motivational beliefs and classroom contextual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 167-199 

  42.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rtzog, W. A.(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 211-227 

  43. Radish, E. F.(2003). Teaching Physics. John Wliey & Sons, INC 

  44. Rouse, W. B., & Morris, N. M.(1986). On looking into the black box: Prospects and limits in the search for ment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0, 349-363 

  45. Samarapungavan, A, Vosniadou, S., & Brewer, W. F.(1996). Mental models of the Earth, Sun, and Moon: Indian children's cosmologies. Cognitive Development. 11, 491-521 

  46. Saunders, W. L., & Jesunathadas, J.(1998). The effect of task content upon proportional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5(1), 59-67 

  47. Schnotz, W., & Preu $\beta$ , A.(1999). Task-dependent construction of mental models as a basis for conceptual change. In W. Schnotz, S. Vosniadou & M. Carretero(Eds.), New Perspectives on Conceptual Change. New York: Pergamon, 193-222 

  48. Strike, K. A., & Posner, G. J.(1985). Conceptual change view of learning and understanding. In L. West & L. Pines(Eds.), Cognitive Structure and Conceptual Change. Orlando: Academic Press, 211-231 

  49. Vosniadou, S.(1991), Conceptual Development in Astronomy. In S. M. Glynn, R. H. Yeany, & B. K. Britton(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9-177 

  50. Vosniadou, S., & Brewer. W. F.(1992). Mental models of the Earth: A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Cognitive Psychology. 24, 535-585 

  51. Vosniadou, S., & Brewer, W. F.(1994). Mental models of the day/night cycle. Cognitive Science. 18. 123-183 

  52. Vosniadou, S.(1994). Capturing and modeling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Learning and Instruction. 4. 45-70 

  53. Vosniadou, S., & Ioannides, C.(1998). From conceptual development to science education: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0), 1213-1230 

  54. Vosniadou, S.(1999). Conceptual change research: State of the art and future direction. In W. Schnotz, S. Vosniadou & M. Carretero(Eds.), New Perspectives on Conceptual Change. New York : Pergamon, 3-13 

  55. Vosniadou, S., Kayser, D., Champesme, M., Ioannides, C., & Dimitracopoulou, A.(1999). Modell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lution of mechanics problems. In D. Kayser & S. Vosniadou(Eds.), Modelling Changes in Understanding: Case Studies in Physical Reasoning. Oxford: Pergamon, 61-105 

  56. Vosniadou, S. Learning, Cognition and the Problem of Conceptual Change. In vosnladou.pps. http://primus.arts.u-szeged.hu/pedkonf/vosniadou.html(2003.4.4. 검색) 

  57. Wandersee. J. H., Mintzes, J. J., & Novak. J. D.(1994). Research on alternative conceptions in science. In D. L. Gabel(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77-210 

  58. Wellman, H. M., & Gelman, S. A.(1992). Cognitive development. Foundational theories of core domai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3. 337-375 

  59. Wittmann, M. C. (2002). The obiect coordination class applied to wave pulses: Analysing student reasoning in wave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 97-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