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집단 실험활동에 나타난 중학생 질문 - 응답의 유형과 빈도
Types and Frequencies of Questions - Answers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a Small Group Activities During School Experim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4 no.2, 2004년, pp.277 - 286  

이명숙 (중원중학교) ,  조광희 (서울대학교) ,  송진웅 (서울대학교)

초록

소집단 실험활동에서 학생간 질문의 유형과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소재 여자중학교 1학년 학생 5명의 실험수업을 관찰하고 관찰학생을 면담하였다. 소집단 실험활동에서 학생간 질문을 분석한 결과, 사고형 질문보다 정보형 질문의 빈도가 높았다. 정보형 질문의 대부분은 실험과정이나 결과를 묻는 절차질문이었다. 사고형 질문의 대부분은 결과를 해석하면서 잘 이해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요구하는 이해질문이었다. 드물게 변칙발견질문이 제기되었으나 학습을 위한 토론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2인1조로 활동을 한 경우에 5인1조의 경우보다 응답률이 높았고, 도움을 받는 질문의 비율도 높았다. 2인1조 활동에서는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이 질문하고 성취도가 높은 학생이 응답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 구성원의 성취도 차이가 큰 조에서는 질문의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구성원의 성취도 차이가 적은 조에서는 성취도에 따라 질문 유형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집단 실험활동에서 제기되는 학생간 질문은 사고형 질문보다 정보형 질문의 빈도가 높으며, 구성원의 수가 적을 때 응답을 통해 도움 받는 질문의 비율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student-student questioning (SSQ) in a small group activities, 5 in one group or 2 in one group, during school experiments. Five girls of seventh grade were observed during school experiments and interviewed afterward. Between students, inform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과학교육 분야에서 학생간 질문과 응답을 분석한 참여 관찰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의문이 생기는 순간 자연스럽게 질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소집단 실험 활동에서 실제로 학생들이 어떤 질문을 얼마나 주고받으며, 질문과 응답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질문은 학습내용과 관련하여 의문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하며, 답변을 요구하는 어조나 몸짓이 드러나는 경우에 질문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의문형으로 답변을 하거나,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 다시 묻거나, 상대방의 질문이나 말을 이해하지 못하여 다시 묻는 것들은 질문에서 제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대식, 박인근, 성은모, 국동식, 김익균, 손영철, 노승호, 김학기(1993). 전통적 수업에 의한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개념 변화. 한글과학교육학회지, 13(1), 100-120 

  2.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1999a). 과학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I) -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77-388 

  3.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1999b). 과학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II) - 학생 질문의 유형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60-569 

  4. 김은숙, 박승재(2002). 전문가의 물리 문제 풀이 방략 가시화 연습에 의한 대학생의 질문 향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66-477 

  5. 김정자(2001). 불일치 상황제시 수업에서 나타난 고등학생 질문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희경, 강태욱, 송진웅(2003).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단원 실험의 특정. 새물리, 47(6), 387-394 

  7. 박은주(1998). 교실수업에서 안내된 상호 질문활동이 중학생의 힘 관련 단원학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이무, 박승재(1987).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교육 실태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2), 71-87 

  9. 이명숙(2003).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질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질문의 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 정영란, 배재희(2002). 질문 강화 수업이 중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72-881 

  11. Ashmore, A. D., Frazer, M. J. & Casey, R. J.(1979). Problem solving and problem solving networks in chemist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56, 377-379 

  12. Carlsen, W. S.(1991). Questioning in classrooms: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1(2), 157-178 

  13. Chin, C. & Brown, D. E.(2002). Student-generated question: a meaningful aspect of learn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2, 24(5), 521-549 

  14. Cuccio-Schirripa, S. & Steiner, H. E.(2000). Enhancement and analysis of science question lev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2), 210-224 

  15. Dillon, J. T.(1982a). Effect of the question in education and other enterpris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4(2), 127-152 

  16. Dillon, J. T.(1982b), The multidisciplinary study of questioning.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74(2), 147-165 

  17. Dillon, J. T.(1988a). The remedial status of student question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3), 197-210 

  18. Dillon, J. T.(1988b). Questioning and Teaching: A manu떠 of practice. Croom Helm Ltd. : London 

  19. Dori, Y. J. & Herscovitz, O.(1999). Question-posing capability as an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 analysis of an environmental case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4), 411-430 

  20. Marbach-Ad, G. & Sokolove, P. G.(2000). Can undergraduate biology students learn to ask higher level ques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8), 854-870 

  21. Maskill, R. & de Jesus, H. P.(1997). Pupils’ questions, alternative frameworks and the design of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7), 781-799 

  22. Olsher, G. & Dreyfus, A.(1999). Biotechnologies as a context for enhancing junior high-school students' ability to ask meaningful questions about abstract biological proces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2), 137-153 

  23. Webb, N. M., Sydney,H. F., & Ann M. M.(2002). Productive helping in cooperative groups. Theory into Practice, 41(1), 13-21 

  24. White, R. T. & Gunstone , R. T.(1992). Probing Understanding. Falmer. : London 

  25. Woodward, C.(1992). Raising and answering question in primary science: some considerations. Evaluation and Research in Education, 6, 145-1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