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적 추론 도구로서 논증구조를 활용한 과학과 예비교사들의 가족유사성 PCK 특성 탐색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Science PCK and the Role of Argumentation Structure as a Pedagogical Reasoning Tool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6 no.1, 2023년, pp.56 - 71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논증구조를 교수적 추론 도구로 활용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말하는 논증구조의 역할과 실효성을 탐구하고,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보여주는 PCK 특성을 탐구하려는 것이다. 논증구조를 활용한 수업 계획과 성찰을 체험하는 일련의 교수적 추론과정에서 교사의 PCK가 발휘되므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보여주는 미래지향적 가족유사성 PCK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15명의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참여하여 논증구조를 활용하여 수업설계와 수업시연을 체험하고, 학기말에 수업 체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함과 동시에 예비교사들의 가족유사성 PCK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은 논증구조를 적용하면서 수업을 조직적으로 계획하고, 사실에서 결론에 이르기까지 관련된 논증요소를 구분함으로써 짜임새 있게 수업을 구성하였다. 논증구조 구성요소별 특징을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은 사실과 결론의 징검다리인 논거, 반박, 한정어 등을 찾아내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증구조로 인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PCK 영역은 과학수업 실천 부분으로, 수업내용에 적합한 수업모형선정, 과학수업을 통한 데이터 리터러시와 디지털 역량개발 등을 예비교사들은 강조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적 추론 도구로서 논증구조의 잠재력과 활용 가능성, 논증구조를 활용한 과학수업을 체험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와 추론 역량 개발의 가능성, 논증구조를 교수적 추론 도구로 활용하는 교사교육 프로토콜 개발의 필요성 등을 결론으로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and effectiveness of argumentation structure 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PCK with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ho used argumentation structure as a pedagogical reasoning tool. Since teachers demonstrate PCK in a series of pe...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19)

  1. 김동희, 김용진(2015). 툴민의 논증 모형을 활용한 과학?교과서의 논증 구조 분석. 교육연구, 63, 37-64. 

  2. 김선아, 이신영, 김희백(2015).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 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1019-1030. 

  3. 박원미(2020). 지구과학 예비교사가 설계한 수업내용의?논증구조에 나타난 반박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38-252. 

  4. 박원미(2021).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지구과학 교사의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박원미, 곽영순(2021).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교수.학습 지도안에 나타난 논증수준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123-135. 

  6. 오준영, 김유신(2009). Toulmin 의 논증의 옹호와 교육적?적용에 대한 탐색. 범한철학, 55, 379-425. 

  7.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9).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멘토링 체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2). 미래 사회 메가트렌드에 따른 학교지식의 구상과 교육과정 재구조화(II).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한상기(2015). 구획 문제와 가족유사성 접근방식. 범한철학, 77, 275-304. 

  10. 홍선주, 안지연, 이정찬, 최정순, 홍미영, 안태연, 박연정(2019). 지능정보사회 교사 역량 제고를 위한 연수프로그램 개발(II): 프로그램 현장 적용.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Carlson, J., Daehler, K. R., Alonzo, A. C., Barendsen, E.,?Berry, A., Borowski, A., ... Wilson, C. D. (2019). The?refined consensus model of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In A. Hume, R.?Cooper, & A. Boroswki (Eds.), Repositio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ers' knowledge for?teaching science (pp. 77-94). Singapore: Springer. 

  12. Gess-Newsome, J. (2015). A model of teacher professional?knowledge and skill including PCK: Results of the?thinking from the PCK summit. In A. Berry, P.?Friedrichsen, & J. Loughran (Eds.), Re-examining?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pp. 14-27). New York: Routledge. 

  13. Kwak, Y. (2022). 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한 과학 PCK 변화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35-248. 

  14. Kwak, Y., & Choe, S. (2007). Research on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with the curriculum?revision. Seoul: KICE. 

  15. Kwak, Y., & Hong, S. Y. (2022). 미래사회 과학 역량에?대한 교사 인식과 역량기반 과학교육을 위한 교사전문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265-275. 

  16. Park, S., & Chen, Y. 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922-941. 

  17.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4-14. 

  18.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35(6), 673-695. 

  19. Wittgenstein, L. (2006). 철학적 탐구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이영철 역, 책세상. (원서출판 19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