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유방암의 조직학적 악성도에 따른 에스트로겐 수용체(ER)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그리고 C-erbB-2 종양단백질 발현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ER, PR and C-erbB-2 Protein as Histologic Grade of Breast Cancer원문보기
Overexpressions of the estrogen receptors(ER), progesterone receptors(PR) and C-erbB-2 protein are important determiners of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in the breast cancer. For detecting ER, PR and C-erbB-2, immunohistochemistry are currently regarded as standard method. The purposes of this study...
Overexpressions of the estrogen receptors(ER), progesterone receptors(PR) and C-erbB-2 protein are important determiners of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in the breast cancer. For detecting ER, PR and C-erbB-2, immunohistochemistry are currently regarded as standard method. The purposes of this study compared to histologic grade and expression of the ER, PR and C-erbB-2 in breast cancer. We examined overexpression of ER, PR and C-erbB-2 protein in 84 breast carcinomas by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or histologic grade, 10 cases(11.9%) showed carcinoma in situ, 16 cases(19%) showed grade I, 36 cases (42.9%) showed grade II, and 22 cases(26.2%) showed grade III among the 84 test samples. The average positive rate ER and PR was 63%, 46% showed carcinoma in situ, 80%, 60% showed grade I, 64%, 41% showed grade II, 34%, 23% showed grade III, respectively. The induction of PR increased when induction of ER increased, thus showing significant relationship(p<0.05). The expression of C-erbB-2 protein was 9 cases(10.7%) in one positive(1+), 9 cases(10.7%) in two positive(2+), and 9 cases(10.7%) in three positive(3+). C-erbB-2 protein expression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ER and PR positive rates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histologic grades significantly(p<0.05). C-erbB-2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histologic grade. However ER, PR and C-erbB-2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p<0.05). Therefore, these findings might be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and might be arranged as a regular pathological examination in cases of breast cancer.
Overexpressions of the estrogen receptors(ER), progesterone receptors(PR) and C-erbB-2 protein are important determiners of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in the breast cancer. For detecting ER, PR and C-erbB-2, immunohistochemistry are currently regarded as standard method. The purposes of this study compared to histologic grade and expression of the ER, PR and C-erbB-2 in breast cancer. We examined overexpression of ER, PR and C-erbB-2 protein in 84 breast carcinomas by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or histologic grade, 10 cases(11.9%) showed carcinoma in situ, 16 cases(19%) showed grade I, 36 cases (42.9%) showed grade II, and 22 cases(26.2%) showed grade III among the 84 test samples. The average positive rate ER and PR was 63%, 46% showed carcinoma in situ, 80%, 60% showed grade I, 64%, 41% showed grade II, 34%, 23% showed grade III, respectively. The induction of PR increased when induction of ER increased, thus showing significant relationship(p<0.05). The expression of C-erbB-2 protein was 9 cases(10.7%) in one positive(1+), 9 cases(10.7%) in two positive(2+), and 9 cases(10.7%) in three positive(3+). C-erbB-2 protein expression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ER and PR positive rates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histologic grades significantly(p<0.05). C-erbB-2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histologic grade. However ER, PR and C-erbB-2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p<0.05). Therefore, these findings might be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and might be arranged as a regular pathological examination in cases of breast canc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또한 유방암의 관내 암종과 침윤성 관암종에서 C-erbB-2 단백질이 높은 발현율을 보인다고 보고되었다(Gusterson 등, 1988 ; Barnes 등, 199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 관암종의 조직학적 악성도를 평가하고,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하여 예후인자인 ER 및 PR의 양성률과 C-erbB-2 종양단백질의 발현율을 평가하여, 조직학적 악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예후인자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외과적 수술로 절제된 유방암 조직을 일반적인 조직표본 제작과정인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파라핀 침투과정을 거쳐 포매하여 파라핀블록을 만들었다. 파라핀블록은 박절기(microtome, Microm)를 이용하여 3㎛ 두께로 박절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부착시키고, xylene용액으로 탈파라핀 과정을 거친 후 단계적 알코올로 함수과정을 실행한 다음, hematoxylin & eosin 염색액으로 핵과 세포질을 염색하였고, 알코올로 탈수과정을 거쳐, xylene으로 투명과정을 실시한 후, histomount액으로 봉입 하였다.
외과적 수술로 절제된 유방암 조직을 일반적인 조직표본 제작과정인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파라핀 침투과정을 거쳐 포매하여 파라핀블록을 만들었다. 파라핀블록은 박절기(microtome, Microm)를 이용하여 3㎛ 두께로 박절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부착시키고, xylene용액으로 탈파라핀 과정을 거친 후 단계적 알코올로 함수과정을 실행한 다음, hematoxylin & eosin 염색액으로 핵과 세포질을 염색하였고, 알코올로 탈수과정을 거쳐, xylene으로 투명과정을 실시한 후, histomount액으로 봉입 하였다. 유방암의 조직학적 악성도 판정은 Elston과 Ellis(1991)의 반정량적 방법을 사용하여 병리의사에 의해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여 판정하였다.
ER과 PR은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하여 핵에 염색된 것을 양성으로 판정하여 양성(+)과 양성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C-erbB-2 단백질은 세포막을 따라 염색된 것을 양성으로 하여 종양조직에서 양성세포의 백분율이 0%인 경우 음성(-), 1-30%인 경우 1+, 31-60%인 경우 2+, 그리고 61% 이상인 경우 3+로 하였다.
유방암에서 병리조직학적 예후인자들인 ER, PR과 C-erbB-2 사이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보았다(Table 5). ER, PR과 C-erbB-2사이의 상관성을 카이제곱 검정한 결과 p값이 ER과 PR 모두에서 p<0.
유방암의 종양조직 총 84예를 H&E염색으로 조직학적 악성도 검사를 하였으며,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하여 ER 및 PR과 C-erbB-2 종양단백질을 평가하여, 조직학적 악성도와 ER, PR과 C-erbB-2 종양단백질 사이에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본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2003년 1월부터 2003년 12월 사이에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진단을 받고 유방 절제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종양조직을 사용하였으며, 유방관암종(breast ductal carcinoma)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받은 84예로 하였다. 연령 분포는 28~76세로 평균 47.
데이터처리
통계 분석은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직학적 악성도와 예후인자들인 ER, PR과 C-erbB-2 종양단백질 사이에 상관관계를 Chi-square검정과 Fisher의 정확 검정을 사용하여 검정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성은 p<0.05인 경우로 하였다.
이론/모형
파라핀블록은 박절기(microtome, Microm)를 이용하여 3㎛ 두께로 박절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부착시키고, xylene용액으로 탈파라핀 과정을 거친 후 단계적 알코올로 함수과정을 실행한 다음, hematoxylin & eosin 염색액으로 핵과 세포질을 염색하였고, 알코올로 탈수과정을 거쳐, xylene으로 투명과정을 실시한 후, histomount액으로 봉입 하였다. 유방암의 조직학적 악성도 판정은 Elston과 Ellis(1991)의 반정량적 방법을 사용하여 병리의사에 의해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여 판정하였다.
성능/효과
유방암의 조직학적 악성도는 H&E로 염색한 슬라이드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핵의 다형성 및 분열 수, 세관의 형성 등을 종합하여 판정하였으며, 총 84예 중 관내암종(in situ ca)이 10예(11.9)였고, grade Ⅰ이 I6예(19%), grade Ⅱ가 36예(42.9%), grade Ⅲ가 22예(26.2%)로 나타났다(Table 2).
1A, B). 유방 관암종에서 검체의 ER, PR 양성률(%)의 평균은 관내암종에서 63%, 46%였고, grade Ⅰ에서 80%, 60%였으며, grade Ⅱ에서 64%, 41%였고, grade Ⅲ에서 34%, 23%로 나타났다(Fig. 2). 또한 ER, PR의 양성검체 수는 관내암종에서 9예(10.
9%)였다(Table 3). 조직학적 악성도와 ER, PR사이의 상관관계는 카이제곱 검정한 결과 p<0.05를 나타내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에서 병리조직학적 예후인자들인 ER, PR과 C-erbB-2 사이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보았다(Table 5). ER, PR과 C-erbB-2사이의 상관성을 카이제곱 검정한 결과 p값이 ER과 PR 모두에서 p<0.05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Osborne 등(1980)은 ER과 PR의 양성률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두가지 중 하나만 시행해도 된다고 주장하였고 Vollenweider-Zerargui 등(1986)은 ER이 PR보다 더욱 민감한 표지자 역할을 하며 ER+/PR+인 경우와 ER+/PR-인 경우가 서로 대등한 관계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유방 관암종의 조직학적 악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ER과 PR의 양성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냈으며(p<0.05), ER의 발현율이 상승함에 따라서 PR의 발현율도 상승하여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으로 보아 조직학적 악성도와 ER, PR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여졌다. Khan 등(1994)과 Karayiannakis 등(1996)은 ER 및 PR은 양성종양보다 악성종양에서 발현율이 높고 ER과 PR의 발현율은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한 것과 본 연구 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Khan 등(1994)과 Karayiannakis 등(1996)은 ER 및 PR은 양성종양보다 악성종양에서 발현율이 높고 ER과 PR의 발현율은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한 것과 본 연구 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ER 및 PR의 발현율과 C-erbB-2 종양단백질 발현율과의 사이에도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으나(Table 5), 조직학적 악성도와 C-erbB-2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4). 유선이나 자궁내막의 성장에 있어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유방암에서 약 20%가 과발현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Ali 등, 1988; Berger 등, 1988; Wright 등, 1989). 본 연구에서는 유방 관암종에서 약 32%가 발현되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학적 악성도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Table 4). Wright 등(1989)은 C-erbB-2 종양단백질 발현과 림프절 전이와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하였으나, Tandon 등(1989)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Berger 등(1988)은 C-erbB-2 종양단백질과 조직학적 악성도와의 상관관계는 유의하다고 하였고, Tsuda 등(1992)은 상관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예후인자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학적 악성도와 C-erbB-2 종양단백질 사이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조직학적 악성도의 모든 등급에서 C-erbB-2가 총 32.1% 발현되어 유방암의 종양단백질이 증폭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 지므로 C-erbB-2 종양단백질이 양성인 경우에는 C-erbB-2(HER-2/neu) 유전자의 검출을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유방 관암종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와 C-erbB-2 종양단백질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1% 발현되어 유방암의 종양단백질이 증폭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 지므로 C-erbB-2 종양단백질이 양성인 경우에는 C-erbB-2(HER-2/neu) 유전자의 검출을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유방 관암종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와 C-erbB-2 종양단백질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유방암에서 ER과 PR은 양호한 예후인자라고 판단되어지며, 이들 예후인자들은 유방암 환자의 예후 및 치료에 필요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1. 조직학적 악성도는 총 84예 중 관내암종이 10예 (11.9%)였고, grade Ⅰ이 16예(19%)였으며, grade Ⅱ가 36예(42.9%)였고, grade Ⅲ가 22예(26.2%)로 나타났다.
2. ER과 PR은 조직학적 악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반대로 양성률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R의 발현이 증가하면 PR의 발현도 증가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3. C-erbB-2 종양단백질 발현은 총 84예 중 음성(-)이 57예(67.86%), 1+가 9예(10.7%), 2+가 9예(10.7%), 3+가 9예(10.7%)로 나타났으며, 조직학적 악성도와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4. ER 및 PR과 C-erbB-2 종양단백질과의 상관관계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내어(p<0.05), 예후인자들간에 상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이상을 종합하면, ER과 PR의 발현은 유방암의 양호한 예후인자로 볼 수 있으며, C-erbB-2 종양단백질은 조직학적 악성도와 상관관계가 적으나 모든 등급에서 발현되므로 C-erbB-2(HER-2/neu) 유전자 검출방법인 FISH(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법 등을 이용하여 유전자 검출을 실행하여야 한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방암 환자의 예후 및 치료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병리조직검사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의 발생에 관련되어 있는 호르몬은 무엇인가?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가 검진과 유방 촬영술의 발달로 발견율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유방암의 발생에는 에스트로겐 호르몬이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유방암 환자의 호르몬 수용체 유무는 예후와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Taylor 등, 1981 ; Scottish 등, 1993). 이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가 음성인 유방암의 항호르몬 치료에 대한 반응은 3~10%인 반면, ER에 양성인 경우에는 50~60%에서 좋은 반응을 보인다(Osborne 등, 1980; Wittliff, 1984).
조직학적 악성도와 ER, PR과 C-erbB-2 종양단백질 사이에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어떤 결론을 얻을 수 있었는가?
1. 조직학적 악성도는 총 84예 중 관내암종이 10예 (11.9%)였고, grade Ⅰ이 16예(19%)였으며, grade Ⅱ가 36예(42.9%)였고, grade Ⅲ가 22예(26.2%)로 나타났다.
2. ER과 PR은 조직학적 악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반대로 양성률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R의 발현이 증가하면 PR의 발현도 증가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3. C-erbB-2 종양단백질 발현은 총 84예 중 음성(-)이 57예(67.86%), 1+가 9예(10.7%), 2+가 9예(10.7%), 3+가 9예(10.7%)로 나타났으며, 조직학적 악성도와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4. ER 및 PR과 C-erbB-2 종양단백질과의 상관관계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내어(p<0.05), 예후인자들간에 상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ER과 PR의 발현은 유방암의 양호한 예후인자로 볼 수 있으며, C-erbB-2 종양단백질은 조직학적 악성도와 상관관계가 적으나 모든 등급에서 발현되므로 C-erbB-2(HER-2/neu) 유전자 검출방법인 FISH(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법 등을 이용하여 유전자 검출을 실행하여야 한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방암 환자의 예후 및 치료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병리조직검사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C-erbB-2 단백질은 어떤 부위에 존재하는가?
특히 ER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ogesterone receptor, PR) 모두에서 양성인 유방암에서는 75~80%의 높은 호전율을 보인다(Wittliff, 1984). C-erbB-2 단백질은 유방, 타액선, 장상피, 신세뇨관 등의 정상 선상피에 존재하며, C-erbB-2 단백질의 발현은 C-erbB-2(HER-2/neu) 유전자의 증폭을 반영하여 악성종양에서 증폭되어 나타난다(Park 등, 2000). 그래서 면역조직화학 염색에 의한 C-erbB-2 종양단백질의 발현을 이 종양유전자의 증폭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De Potter 등, 1989).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