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식이 소재의 이해
Understanding of Functional Foods for Nutritional Skin Car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0 no.3 = no.47, 2004년, pp.313 - 320  

김주영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김현애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박경호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조윤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은 건강함과 더불어 아름다운 피부를 갖기를 원한다. 산업화에 의한 대기 오염의 증가 및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증가하는 스트레스는 피부에 부담을 증가시키고 건강한 피부를 가졌다 하더라도 꾸준히 관리를 해야 만이 유지되기에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 미용을 위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특히 피부 미용은 건강 차원에서 영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인식 변화에 따라 특정 영양소 성분을 이용한 먹는 화장품이나 건강 기능 식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한 주된 소재로 비타민 A, C, E, Bl, B2, 나이아신, 엽산 등의 비타민류, 셀레늄, 황 등의 무기질류, 단백질 및 아미노산, 불포화 지방산, 약초 추출물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콜라겐 단백질 분해물, 대두 추출물, 석류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화분 등과 수용성 키틴 등의 기능성 단일 물질을 함유한 제품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식이 소재가 건강한 피부 유지를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 효과는 확실한 검증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 미용의 관점에서 이들 소재들의 효능을 살펴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식이 소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man skin is continuously exposed to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s that may affect its condition and functioning. To maintain and improve skin condition, a wide variety of skin-care products is in the market. However, many of skin problems originate from internal causes, and the new insight in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 기능 식품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01년도에 약 1,120 억불의 규모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중 미국, 유러 일본 등이 각각 35%, 33%, 18%의 점유율과 함께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1]. 본 종설에서는 미국, 유럽, 일본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 시판되는 피부 미용 분야의 건강기능 식품에 사용되는 특정 영양소 성분이나 기능성 식이 소재의 피부 관련 기능 및 효능을 살펴 피부 미용은 건강 차원에서 영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인식 변화와 함께[3],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고 효능이 뛰어난 피부 미용 관련 건강 기능 식품의 개발에 일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허석현, 세계건강기능식품의 관련 제도와 식품 기능의 과학적 평가방법, 한국건강보조, 특수영양식품협회, 서울 (2000) 

  2.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 운영위원(손동화 등), 건강기능식품법의 시행에 즈음한 대토론회, 한국식품과학회, 서울 (2003) 

  3. E. Boelsma, L. P. L. van de Vijver, R. A. Goldbohm, I. A. A. Klopping- Ketelaars, H. F. J. Hendriks, and L. Roza, Human skin condition and its associations with nutrient concentrations in serum and diet, Am J. Clin Nutr., 277, 348 (2003) 

  4. 최혜미 외 공저, 21세기 영양학, 203, 교문사, 서울(1998) 

  5. 이숙경, 피부미용과 영양, 119, 도서출판 정담, 서울(2000) 

  6. R. A. Eckstein and Biokosmetik. Aus Forschungund Praxis (바이오 코스메틱 연구와 실습), 469, 중원코스메틱, 서울 (1999) 

  7. L. C. Parish and J. A. Witkowski, Dermatologic balneology: the American view of waters, spas, and hot springs,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3, 465 (1994) 

  8. S. Parcell, Sulfur in human nutrition and applications in medicine, Alt. Med. Rev., 7(1), 22 (2002) 

  9. J. Koyama, I. Horii, K. Kawasaki, Y. Nakayama, Y. Morikawa, and T Mitsui, Free amino acids of stratum corneum as a biochemical marker to evaluate dry skin, J Soc. Cosmet. Chem, 35, 183 (1984) 

  10. G. M. Gray and H. J. Yardley, Lipid compositions of cell isolated from pig epidermis, and rat epidermis, J. Lipid Res., 16, 434 (1975) 

  11. R. S. Chapkin, V. A. Ziboh, C. L. Marcelo, and J. J. Voorhees, Metabolism of essential fatty acids by human epidermal enzyme preparations: evidence of chain elongation, J. Lipid Res., 27, 945 (1986) 

  12. H. J. Yardley and R. Summer, Lipid composition and metabolism in normal and diseased epidermis, Pharmacol. Ther., 13, 357 (1981) 

  13. P. W. Wertz and D. T. Downing, Metabolism of linoleic acid in porcine epidermis, J. Lipid Res., 31(10), 1839 (1990) 

  14. G. O. Burr and M. M. Burr, A new deficiency disease produced by the rigid exclusion of fat from the diet, J. Biol. Chem, 82, 345 (1929) 

  15. G. O. Burr and M. M. Burr, on the nature of the fatty acids essential in nutrition, J. Biol. Chem, 86, 587 (1930) 

  16. G. O. Burr, Significance of the essential fatty acids, Fed. Proc., 1, 224 (1942) 

  17. P. W. Wertz, D. C. Swartzendruber, W. Abraham, K. C. Madison, and D. T. Downing, Essential fatty acids and epidermal integrity, Arch Dermatol., 123, 1381 (1987) 

  18. P. M. Elias and B. E. Brown, The mammalian cutaneous permeability barrier: defective barrier function in essential fatty acid deficiency correlates with abnormal intercellular lipid deposition, Lab. Invest., 39, 574 (1978) 

  19. V. A. Ziboh and R. S. Chapkin, Biologic significance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skin, Arch Dermatol., 123, 1686a (1987) 

  20. V. A. Ziboh, Implication of dietary oil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management of cutaneous disorders, Arch. Dermatol., 125, 241 (1989) 

  21. S. Chung, S. Kong, K. Seong, and Y. Cho, $\gamma$ -Linolenic acid in borage oil reverses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in guinea pigs, J. Nutr., 132, 3090 (2002) 

  22. Y. Cho and V. A. Ziboh, 13-Hydroxyoctadecadienoic acid reverses epidermal hyperproliferation via selective inhibition of protein kinase C- $\beta$ activity,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 257 (1994) 

  23. Y. Cho and V. A. Ziboh, Nutrition modulation of guinea pig skin hyperproliferation by essential fatty acid deficiency is associated with selective down regulation of protein kinase C $\beta$ , J. Nutr., 125, 2741 (1995) 

  24. A. L. Wills, Nutritional and pharmacological factors in eicosanoid biology, Nutr. Rev., 39, 289 (1981) 

  25. 안덕균, 한국본초강목, 134, 162, 690, 교학사, 서울 (1998) 

  26. J. L. Groff and S. S. Gropper, Advanced nutrition and human metabolism, 475, 3rd ed. Wadsworth (1999) 

  27. V. Schulz, R. Hansel, and V. E. Tyler, Rational Phytotherapy: A physicians' guide to herbal medicine (2000) 

  28. L. Skidmore-Roth, Mosby's handbook of herbs & natural supplements, 25, Mosby Inc., (2001) 

  29. J. T. Landrum and R. A. Bone. Lutein, Zeaxathin and the Macular pigment, Arch Biochem Biophy., 385(1), 28 (2001) 

  30. 김세권, 전유진,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이 키틴, 키토산, 한국키틴, 키토산 연구회지, 2(4), 5 (1997) 

  31. 고석원, 조용우, 키틴(또는 키토산) 블렌드와 그 응용, 고분자과학과 기술 8(5), 538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