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disability weights for the Korean Burden of Disease study, and to compare them with those adopted in the Australian study to examine the validity and describe the distinctive features. Methods : The standardized valuation protocol was developed from the G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계보건기구와 GBD 연구자들은, 국가질병부담 연구를 수행할 때 공통적인 GBD 장애가중치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면서도, 각국이 원한다면 독자적으로 측정 한 장애가중치 를 사용하는 것도 동시에 권장하였다 [8]. GBD 장애가중치사용을 권장한 일차적 인 이유는 단일한 장애가 중치를 사용함으로써 질병부담 연구의 주요 목적인 국가·지역간 질병 부담의 비교가능성(Gomparability)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 었으나, 많은 나라에서 신속하고 원활한 연구 진행을 위해 연구 수행의 어 려움을 최소화하고자 한 목적도 있었다. 반면, GBD 연구 이후 장애 가중치 측정 방법론이 지속적으로 보완되고 있으며 국가·문화간 비교가능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자료가 아직 충분하지 않은 현실을 감안하여, 연구 여건이 비교적 양호한 나라에서는 국가별로 질병의 사회적 선호를 더 타당하게 반영할 수 있는 장애 가중치를 측정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 장애가중치의 비교는, 장애가중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분석적 접근보다는, 이미 질병 부담산출에 활용되고 있는 장애가중치를 대상으로 특징적 양상을 기술하는 것에 주 목적 을 두었다. 장애가중치 차이에 관한 분석적 연구는 측정 전과정의 표준화를 포함한 추가적인 연구를 요할 것이다.
  • 있다. 또한 기존 외 국 연구에서 사용된 장애가 중치와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장애 가중치 측정 결과의 타당도를 평가하고 향후 장애가중치의 국가간 비교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장애가중치의 특징적 양상 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가중치 측정과 호주와의 비교 면에서 각각 제한점을 지적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질병부담 연구를 위하여 개발된 한국형 질병분류체계에 속한 123 개 질병에 대하여 국제질병부담 연구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장애 가중치를 측정,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질병부담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 107개 질병을 포함하고 있다. 중국 내 발생이 거의 없는 전염성 질환을 제외하고 비전염성 질환 중 일부를 세분화하여 123개 질병으로 구성된 한국형 질병분류체계를 개발하였고 [14], 이 체계에 따라 포괄적 인 범위 에서 질병의 장애 가중치 를 측정 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포괄적인 질병분류체계에 따른 한국인 질병의 장애가 중치를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한국인의 질병부담 연구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일차적 목적 을 두고 있다. 또한 기존 외 국 연구에서 사용된 장애가 중치와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장애 가중치 측정 결과의 타당도를 평가하고 향후 장애가중치의 국가간 비교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장애가중치의 특징적 양상 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질병분류와 질병상태 기술(desm. ption)의 어려움이다. 우리나라 장애 가중치 측정 과정의 제한점에서 기술했던 문제점들은 질병부담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urray CJ, Lopez AD.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mortality and disability from diseases, injuries and risk factors in 1990 and projected to 2020. Global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Series. Volume 1.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1996 

  2. Hyder AA, Morrow RH. Applying burden of disease methods in developing countries: a case study from Pakistan. Am J Public Health 2000; 90(8): 1235-1240 

  3. Mathers C, Sadana R, Salomon J, Murray CJL,LopezAD. Estimates of DALE for 191 countries: methods andresult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4. Kwon YH, Lee JK, Do YK, Yoon SJ, Kim CY, Kim YI, Shin Y. Study of Disability- Adjusted Life Expectance(DALE) using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in Korea. Korean J Prev Med 2002; 35(4): 331-339 (Korean) 

  5. Hyder AA, Morrow RH. Healthy Life Years. In: Murray CJL, Salomon JA, Mathers CD, Lopez AD. (eds.)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6. Choi YJ, Yoon SJ, Kim CY, Shin Y. Measuring theburden of major cancers in Korea using Healthy Life- Year(HeaLY). Korean J Prev Med 2001; 34(4): 372-378 (Korean) 

  7. World Health Organization. Investing in health research and develop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6 

  8. Mathers CD, Vos T, Lopez AD, Salomon J, Ezzati M. National burden of disease studies: a practical guide, Edition 2.0. WHO,2001 

  9. Stoudhard MEA, Essink-Bot ML, Bensel GJ, Kramers PGN, van de Water HPA, Gunning-Schepers LJ, van de Maas PJ. Disability weights for diseases in the Netherlands. 1997 

  10. Essink-Bot ML, Pereira J, Packer C, Schwarzinger M, Burstrom K, The European disability weights group. cross-national comparability of burden of disease estimates: The european disability weights project. Bull World Health Organ 2002; 80(8): 644-52 

  11. Mathers C, Vos T, Stevenson C. The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in Australia.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1999 

  12. Korea Institute of Health Services Management. A preliminary study in the national burden of disease. Korea In stitute of Health Services Management, 1998 (Korean) 

  13. Yoon SJ, Ha BM, Kim CY. Measuring the burden of hypertension using DALY in Korea. Korean J Health Policy & Admin 2001; 11 (3): 90-101 (Korean) 

  14. Jo HS, Sung J, Choi IJ, Lee TJ, Kim JY, Song YM, Chung EK, Shin HR, Shin Y. Estimating years of life lost based on Korean version of disease classification. The 53rd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Preventive Medicine, 2001 (Korean) 

  15. Sung J, Jo HS, Son M, Choi I, Kim JH, Song YM, Shin Y., Estimating epide miologic parameters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availability in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for cancers. The 54th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Preventive Medicine, 2002 (Korean) 

  16. Lee JK, Yoon SJ, Do IT, Kwon YH, Kim CY, Park K, Kim YI, Shin Y., Disability weights for diseases in Korea. Korean J Prev Med 2003; 36(2): 171-178 (Korean)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Reducing risks, promoting healthy lif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18. Yoon SJ, Kim YI, Kim CY, Chang HJ. Measuring burden of major cancers due to premature death in Korea. Korean J Prev Med 2000; 33(2): 231-238 (Korean) 

  19. Chang HJ. Myung Jl, Shin Y. Burden of disease in Korea: Years of life lost due to premature deaths. Korean J Prev Med 2001; 34(4): 354-362 (Korean) 

  20. Yoon SJ, KwonYD, Kim BY. Estimating the disability weight of major cancers in Korea using Delphi method. Korean J Prev Med 2000; 33(4): 409-414 (Korean) 

  21. Vos T, Mathers CD. The burden of mental disorders: a comparison of methods between the Australian burden of disease studies and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Bull World Health Organ 2000; 78(4): 427-438 

  22. Sadana R. Development of standardized health state descriptions. In: Murray CJL, Salomon JA, Mathers CD, Lopez AD. (eds.)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23. Mahapatra P, Salomon JA, Nanda L. Measuring health state values in de veloping countries-results from a commu-nity survey in Andhra Pradesh In: Murray CJL, Salomon JA, Mathers CD, Lopez AD. (eds.)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World Health Or ganization, 2002 

  24. Usun TB, Rehm J, Chatterji S, Saxena S, Trotter R, Room R, Bickenbach J and the WHO/NIH Joint Project CAR Study Group. Multiple-informant ranking of the disabling effects of different health conditions in 14 countries. Lancet 1999; 354(9173): 111-115 

  25. Anand S, Hanson K.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a critical review. J Health Econ 1997; 16: 685-702 

  26. Arnesen T, Nord E. The value of DALY life: problems with ethics and validity of disability adjusted life years. Brit Med J 1999; 319: 1423-1425 

  27. Mooney G. Issues in comparing the health of two populations. In: Murray CJL, Salomon JA, Mathers CD, Lopez AD. (eds.)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28. Brock DW. Empirical ethics, moral philosophy, and the democracy problem. In: Murray CJL, Salomon JA, Mathers CD, Lopez AD. (eds.)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29. Essink-Bot ML, Bonsel GJ. How to derive disability weights. In: Murray CJL, Salomon JA, Mathers CD, Lopez AD. (eds.)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30. Baltussen RM, Sanon M, Sommerfeld J, Wurthwein R. Obtaining disability weights in rural Burkina Faso using a culturally adapted visual analogue scale. Health Econ 2002 Mar; 11(2): 155-163 

  31. Froberg DG, Kane RL. Methodology for measuring health-state preferences II : scaling methods. J Clin Epidemiol 1989; 42(5):459-471 

  32. James KC, Foster SD. Weighing up disability. Lancet 1999; 354(9173): 87-88 

  33. Patrick DL, Erickson P. Type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s. In: Health Status and Health Poli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34. McHorney C. Health status assessment methods for adults: past accomplishments and future challenges. Ann Rev Public Health 1999 

  35. Guyatt GH, Fenny DH, Patrick DL.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n Intern Med 1993 

  36. Salomon JA, Murray CJL. Estimating health state valuations using a multiple-method protocol. In: Murray CJL, Salomon JA, Mathers CD, Lopez AD. (eds.)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