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젝 특성에 관한 연구-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in Contemporary Fashion -Focused on since the 1990'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4 no.8, 2004년, pp.147 - 162  

남미현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  박명희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in Contemporary Fashion. The study selected the 1990's or after fashion material by the material of both $pr{\hat{e}}t-{\grave{a}}-porter$ collection and haute couture collection based on Europe. These days, the ...

주제어

참고문헌 (35)

  1. 최정화 (1998). 현대 패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유경 (2002). 무대의상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이미지-1990년대 무대의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은경 (2000).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한 표현에 관한 연구. 안양과학대학 논문집. p. 23 

  4.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ged (1981). Springfield: Marriam-Webster. p. 1002 

  5. Adams, J. L. & Yates. W(1997), The grotesque in art literature. Cambridge: Eerdmans. pp, 5-6 

  6. Thomson. P. (1972). The grotesque. 김영무 역(1986) 서울울대학교 출판부. pp. 17-18 

  7. 신창규 (1995). 뒤렌마트 희극의 근본 구조로서의 그로테스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 

  8. Thomson. P. (1972). The grotesque. p. 17. pp. 22-23 

  9. Thomson. P. (1972). The grotesque. p. 14 

  10. 김홍희 (1997). 미국 페미니즘 비디오 미술 연구-나르시즘과 그로테스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14 

  11. Harpham. G. G. (1982). On the grotesque. Princeton University, p. 14 

  12. Bynum. C. W. (1989). The female body and religeous practice in the later middle ages, In Fragments for a History the Human Body, New York: Zone Books. pp. 170-171 

  13. 임석재 (1997). 장석과 구조 미학: 불어권 아르누보 건축 I , 서울: 문예마당. p. 23 

  14. 서영철 (2000). 포스트모던 세기말: 죽음(의 공포). 새한영어영문학, 42(2), pp. 455-487 

  15. 이민선 (2000).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9 

  16. Rucker. R. Sirius, R.U. & Queen, M.U. Mondo 2000, N.Y.:Harper Perennial. p.64: 이민선 (2000).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2 재인용 

  17. Thomson. P. (1972). The grotesque. pp. 24-25 

  18. Bakhtin. M. (1964). Rabelais and his world, pp. 47-51: Helene Iswolskytrans(1984).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p. 30. 

  19. ВахТИН гЛаЗМИ МеТафИКа //ДИаЛог. Карнавал. Хронотоп: (1998), 1. c.139. 141: 변현태 (2001). 바흐친의 라블레론. 한국러시아문학회, 10(1), pp. 229-230 재인용 

  20. Лосев А.Ф. (1973). 3стетика Возро?дении, М., С.569. 592. 593. 변현태 (2001). 바흐친의 라블레론. 한국러시아문학회, 10(1), p. 230 재인용 

  21. Pietzker. C. Das Groteske. In: Best (Hg.)(Wie Anm. 10), S.85-102; 권선형 (2000). 사실주의와 그로테스크-빌헬름 라베의 소설 '포겔장의 서류들' 고찰. 독일문학, 73(1), 한국독어독문학회,p.5 재인용 

  22. 김홍희 (1997). 미국 페미니즘 비디오 미술 연구-나르시즘과 그로테스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30-231. p. 218 

  23. Heidsieck. A. (1969). Das Groteske une das Absurde im Modernen Drama. Sprache und Literatur 53. Stuttgart-Berlin-K $o\ddot{}$ In-Mainz, S.17: 미국 페미니즘 비디오 미술 연구-나르시즘과 그로테스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 재인용 

  24. 임호준 (2000). 그로테스크 육체: 니에바와 알모도바르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서어서문연구, 17(1), p. 1 

  25. 여홍상 (1995). 바흐친과 문화이론. 현대의 문학이론 24. 서울: 문학과 지성사, p. 60 

  26. Thomson. P. (1972). The grotesque. pp. 27-79 

  27. Thomsen. C. W. Aspekte des Grotesken im. >Lazarillo de Tormes<, in: GD. s.181: 신창규 (1995). 뒤렌마트 희극의 근본 구조로서의 그로테스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4 재인용 

  28. Thomsen. C. W. (1977). Das Grotesk und die englische Literatur, Darmstadt, S.10: 미국 페미니즘 비디오 미술 연구-나르시즘과 그로테스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 재인용 

  29. Thomson. P. (1972). The grotesque. p. 27 

  30. Vogue Korea (1998). 2. p. 82 

  31. Larson. B. 주홍근 . 이종전 역 (1989). 록음악의 사탄적 현상. 서울: 예루살렘. p. 5 

  32. Wilcox. C. (2001). Radical fashion. N.Y.: Victoria & Albert Publications, p. 50 

  33. Derycke. L. & Veire. S. V. (1999). Belgian fashion design. Belgium: die keure. p. 230 

  34. Derycke. L. & Veire. S. V. (1999). Belgian fashion design. Belgium: die keure. p. 203 

  35. 학원사 편집부 (1985). 철학대사전. 서울: 학원사. p. 8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