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지역 지하수중 비소의 산출 및 존재형태
Occurrence and Species of Arsenic in the Groundwater of Ulsan A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7 no.6, 2004년, pp.657 - 667  

윤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조병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성규열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광역시 46개 지하수 시료 중 29개 시료에서 비소가 검출되었고, 그 농도는 $<0.1-7.2{\mu}g/L$의 범위를 나타낸다. 그 중 3개의 지하수에서 국내음용수 기준치$(50{\mu}g/L)$를 초과하였고, 10째 시료에서는 세계보건기구 기준치인 $(10{\mu}g/L)$를 초과하고 있음이 이번 연구에서 밝혀졌다. 비소의 농도가 높은 곳은 지질구조선 부근 특히 과거 울산철광 부근인 달천리 일대와 정자역암이 분포하는 효문동 일대이다. 울산철광 부근은 주로 황철석이 산화된 형태로 산화환경을 보이나, 효문동 일대는 환원상태의 FeOOH의 산화에서 야기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pH-Eh 도표에 따른 연구지역 지하수중 비소의 존재형태는 달천리 일대에서는 As(V)로 $H_2AsO_4^-,\;HAsO4_^{-2}$로 존재한다. 효문리등 구조선일대는 As(III)로 $H_3AsO_3$ 형태로 존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senic was detected in the 29 water samples out of the 46 groundwaters located in the Ulsan metropolitan area and it's concentration ranges from $<0.1\;to\;72{\mu}g/L$. Among them the arsenic concentrations of three samples are over domestic drinking-water requirements $(50{\mu}g/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지역 중 달천동 일대는 1906년부터 2002년 9월까지 96년간에 걸쳐 철광석과 사문석을 채취해온 곳으로서, 2003년에는 이 지역 지하수에서 비소 오염 문제가 제기되어 주민사이에 이미 논란이 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 지하수의 비소 농도 및 분포를 확인하고, 음용수 기준치 이상의 농도가 검출되는 지역에서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및 지화학적 검토를 통하여 비소 성분의 거동을 파악하고 기원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가설 설정

  • 지하수 중에 3가지 주요 비소의 자연 오염경로는 1) 대수층내에 있는 함-비소 황철석의 산화작용(Mallick and Rajagopal 1996), 2) 대수층의 광물에 흡착된 비소의 음이온이 인산염과의 이온교환에 의한 치환작용(Acharyya et al., 2000), 3) 혐기성환경 하에서 수산 화철 (FeOOH>의 환원작용에 의해 흡착된 자연 발생 비소의 해리 (Bhattacharya et al; 1997; Nickson et al., 1998, 2000) 등을 가정할 수 있다.
  • a) Radii proportion to EC. b) Radii proportion to arsenic concentr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